380 likes | 555 Views
Table of Contents. iMBC 는 ? 성장을 위한 기반강화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전문기업으로 도약 투자포인트 재무정보 Appendix. ※ 본 자료 안의 예측치는 회사 내부의 추정 자료입니다 . 따라서 사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경영실적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MBC, 보다 넓은 세상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iMBC 는 ?. iMBC 는 ? iMBC 의 현재와 미래. Content. Wired Internet. Digital TV.
E N D
Table of Contents iMBC는? 성장을 위한 기반강화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전문기업으로 도약 투자포인트 재무정보 Appendix ※ 본 자료 안의 예측치는 회사 내부의 추정 자료입니다. 따라서 사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경영실적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MBC, 보다 넓은 세상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iMBC는? • iMBC는? • iMBC의 현재와 미래
Content Wired Internet Digital TV Wireless Internet DMB Multimedia Digital Content Mobile 쌍방향TV iMBC는? 방송 및 부가콘텐츠 결합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Multimedia Digital Content 전문기업 - iMBC
Tomorrow Today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전문기업 [도약시기] 멀티미디어 포털서비스 기업 (기반강화시기] • MBC 방송콘텐츠의 독점적 확보 • 국내 콘텐츠 포털 중 최상위권 기업 • VOD 유료화를 통한 수익모델 검증 • 1,300만 회원 확보 (전체국민의 약1/4) • MBC 그룹의 디지털 영역 사업권 확보 • New Device 등장으로 무한한 성장 가능성 • DMB, 데이터 방송, IP TV & STB, WiBro, • 콘텐츠 해외진출 등 • New Device의 채널사업자로 사업영역 확대 iMBC의 현재와 미래 MBC 미디어그룹의 인터넷 자회사로 출발한 iMBC,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을 준비하는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iMBC는 끊임없는 기술혁신을 통해 여러분의 삶과 또 다른 세상을 연결하는 넓은 창이 되겠습니다. 성장을 위한 기반강화 • New Device의 도래는 Megatrend • New Device는 디지털 콘텐츠를 기반으로 성장 • 디지털 콘텐츠 개발의 핵심기술 확보 • 방송콘텐츠 유료화 성공 • 웹에이전시 사업의 안정화 • 우수한 경영실적 달성
Analog TV 기존 Media 디지털화 이동성요구 정보통신 기술의 진화 고객니즈의 변화 광대역화 (멀티미디어화) 서비스의 개인화 (소비자 주도형 서비스) 변화의 주요요소 보안, 인증, 빌링기술진화 디지털 컨버전스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 Wireless Internet Wired Internet Digital TV New Device 쌍방향 TV DMB Mobile 등 New Device의 도래는 Megatrend New Device는 소비자의 요구와 기술의 진화로 필연적인 산업의 성장방향
디지털 콘텐츠 산업 디지털 콘텐츠 산업 정보통신 서비스 산업 정보통신 서비스 산업 방송 콘텐츠 산업 방송 콘텐츠 산업 New Device는 디지털 콘텐츠를 기반으로 성장 • New Device는 디지털 콘텐츠를 기반으로 성장 • 40년간 축적된 MBC 콘텐츠를 독점적으로 사용 • 국내 최고수준의 양질의 콘텐츠를 보유 정보통신 기술 발달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확장 방송과 통신의 융합 가속화
Web, Media Servers Network xDNS Media Service Media Service STMS KT-IDC KIDC SLB SLB 3Gbps Web Service Web Service 3Gbps GLB Agent GLB Agent Application Database Search Touch Community DW DB Community DB CMS License DB BBS Master DB Billing DB Billing System User DB Content DB Authentication System DRM 디지털 콘텐츠 개발의 핵심기술 확보 _ 01 • iMBC는 MBC 그룹 내 디지털 콘텐츠 개발 및 유통을 위해 설립된 회사 •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핵심보유기술 연구개발기술 • Media Encoding System : • 전송환경이 동일한 조건의 다른 사이트와 비교하여 • 고품질 미디어 서비스 가능 • : 적절한 코덱 및 프레임 수 선택 (자체 개발 기술) iMBC 데이터방송시스템 개발 : - 디지털 방송, DMB, DMC, IP-TV 등에 대응하는 시스템 - 정보수집, 가공, 편집, 제작과 관련된 노하우 및 저작기술보유 (“하나더TV”의 개발경험) 사용자 중심의 서버분산 : - 콘텐츠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서버배치 - 서버 활용도 제고 및 고품질 서비스 제공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 인프라 개발 구축 : - VOD, 인터넷 생방송 등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경험을 기반으로 DMB, DTV 등 다양한 Device에 맞는 방송서비스 인프라 구축 디지털 저작권 보호 : - 파일자체를 암호화하여 보안성 제고 (특허 출원 중) - 외부에 유출되더라도 사용자 인증 및 과금 없이는 이용불가 IP 기반의 멀티캐스팅 시스템 개발 : - IP TV/STB, BcN, 휴대인터넷 등 IP기반의 단말장비와 연계된 멀티캐스팅 서비스 개발 - EPG(방송프로그램 정보)관련 시스템 구축 디지털 콘텐츠 개발의 핵심기술 확보 _ 02 • iMBC는 현재 인터넷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관련 국내 최고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 New Device 시대를 대비하여 관련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Business Model 성 과 B2C 유료서비스 • 성공적인 유료화전환 • 2003년 4월 유료화 실시 이후 빠른 매출 증가세 • VOD 서비스 • : 스트리밍, 다운로드 • 대본미리보기 • 2차 저작물 • : 드라툰, 다이제스트, 스페셜 VOD, 메이킹 필름 등 방송콘텐츠 매출 [B2C, B2B 매출 포함) 단위 : 백만원 11,150 6,268 B2B 마케팅 • 스폰서십 제도 • 대형 포털 콘텐츠 유통 • 모바일 콘텐츠 유통 536 185 2001 2002 2003 2004(E) 방송콘텐츠 유료화 성공 • MBC 방송콘텐츠의 독점적 유료화를 통해 안정적 수익모델 확보 •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가능성 입증 • B2B 마케팅 활동 지원 및 고객에 대한 서비스 이용증대 유도
Business Model 성 과 • 안정적인 매출 발생 • MBC Media Group과의 안정적인 관계에 의한 지속적인 매출발생 웹사이트 구축/운영 대행 MBC Media Group 2001 2002 2003 2004(E) 제작, 운영비 월 3.3억원 월 3.0억원 월 3.3억원 월 3.4억원 대행료 방대한 양의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부가콘텐츠 개발을 통한 노하우 축적 • MBC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웹사이트 개발 및 운영 • VOD/AOD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 방송 부가 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 MBC 방송관련 온라인 이벤트 진행 • 웹사이트개발, 운영에 따른 기술투자 MBC의 방대한 콘텐츠를 사이트에 업데이트 한 후 DB화 고객들에게 방송종합정보 관리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서비스 제공 향후 MBC가 보유중인 방대한 양의 방송 아카이브 디지털 변환작업에 직접참여 웹에이전시 사업의 안정화 •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MBC 미디어 그룹의 “Digital Window” • 방대한 양의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부가콘텐츠 개발을 통한 노하우 축적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18,887 콘텐츠 매출 광고/사업수익 등 웹에이전시 14,697 CAGR 57.1% 11,150 6,268 9,141 536 3,395 4,874 4,524 2,984 185 2,324 5,034 4,753 4,081 2,365 2001 2002 2003 2004(E) 우수한 경영실적 달성 디지털 콘텐츠 시장의 성장가능성을 확인하는 우수한 경영실적 • 안정적인 VOD사업, 웹에이전시, 광고, 부대수익사업(이벤트, CP, 라이센스, 쇼핑 등) • 2003년 4월 VOD 사업 유료화 이후 단기간 내 성공적인 안정으로 성장기반 구축 • 유료화 전환에도 불구하고 U/V, P/V는 줄지 않음
iMBC는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서 만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 최고의 파트너입니다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전문기업으로 도약 • 성장전략 • 디지털 콘텐츠 제작능력 강화 • 디지털 콘텐츠 유통사업 - 기존사업 강화 - New Device 관련 사업 진출 • 쌍방향 디지털 방송사업 • 디지털 라이센스 사업 •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기업으로 도약 • Vision
유비쿼터스 시대의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전문기업 1 2 디지털 콘텐츠 제작사업 디지털 콘텐츠 유통/채널 사업 핵심역량 강화를 통한 성장 3 4 쌍방향 디지털 방송사업 디지털 라이센스 사업 인터넷 중심의 콘텐츠 포털 기업 안정된 서비스 인프라로 New Device에 대비 디지털 콘텐츠 분야 국내 최고수준의 축적된 노하우 Internet VOD Service 무궁무진한 양질의 콘텐츠 확보 성장전략
iMBC의 해외 Site 제작 및 진출 (영어, 일본어, 중국어) • MPEG을 기반으로 한 Device별 다양한 제작능력 강화 • 해외이용자의 iMBC.com의 접속건수 • 증가에 따른 콘텐츠의 다국어 서비스 • 능력 강화 • 2차 저작물 개발을 위한 다양한 시도 해외Site/ 편집 DVD 등 다양한 부가 콘텐츠 • 방송미리보기, NG, 다이제스트 버전, • 드라툰 등 • 편집 저작물의 현지화 New Device용 부가 콘텐츠 • 해외 현지 사정에 맞춘 콘텐츠 편집 • 사업 진행 • iMBC 독자적 콘텐츠 개발 및 투자 • 데이터 방송, DMB, IP기반의 운영기술 확보 및 연구개발 • 인물DB, 스타 페이지, 캐릭터, 드라마 OST, • 애니메이션, 출판 등 • New Device 관련 기술진 확보 • 지속적인 투자 및 연구개발 디지털 콘텐츠 제작능력 강화 • New Device는 본 방송과 차별화 된 콘텐츠 제공이 성공의 필수 요소 •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경험을 통해 각각의 유통 Device에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 최고 수준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능력 확보
Digital Content 품질 개선 : 고화질 제품 다양화 : 패키지 개발 서비스 개선 : DRM 기술 강화 국내포털 (다음, 나우콤) 해외포털 (Yahoo BB, KNTV) 모바일 (SKT, KTF, LGT) 이동방송 (지하철, KTX, 버스) 디지털 콘텐츠 유통/채널 사업 –기존사업 강화 • 품질 개선, 제품 다양화, 서비스 개선으로 유통시장 다변화를 통한 매출 증대
IP 기반 미디어 (IP TV & STB) 휴대폰 무선포털 • IP기반의 미디어는 기존 PC기반의 인터넷 VOD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거대 신규시장 • 2005년으로 예상되는 무선 이동통신망 개방시 직접적인 채널사업전개 • KT등 국내 통신, 전자업체와 공동사업 진행 • KTH 시범서비스 콘텐츠 제공, 추가 확대 계획 • 휴대폰 무선포털에 iMBC 독자 주소 확보 • 일본 NTT, KDDI등과 STB VOD 및 STB 인터페이스 기반의 Web VOD 서비스 진행 • 방송 직접참여 서비스 및 휴대폰 특성에 맞는 서비스 개발 • IP기반 신규사업 (BcN 포함) 채널사업 준비 중 DMB WiBro (휴대 인터넷) • 2006년 본격 상업서비스 예상 • 독자적인 사이트 구축 및 서비스 실시 • 휴대 인터넷 특성에 맞는 콘텐츠 및 서비스 계획 중 • 위성 DMB 투자 및 채널 운용 참여 • 2005년 5월부터 본격개시 • 콘텐츠 제작 및 공급 추진 • 자본투자 •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참여 • 데이터 방송을 위한 기술 및 관련 인력 확보 • 콘텐츠 제작 및 공급추진 • “하나더TV”를 기본으로 한 데이터 서비스 개발 중 • 방송 직접참여, 쌍방향 서비스 중점개발 디지털 콘텐츠 유통/채널 사업 – New Device 관련 사업 진출 • 신규 유통사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 마련 • New Device의 채널 사업자로서의 직접적인 유통 채널 확보
부가정보 제공 및 광고를 통한 T-Commerce 시장 창출 • 데이터 방송을 인터넷상에서 먼저 구현한 “하나더TV”운영을 통한 노하우 축적 (상품, 장소, 음악, 배우 등의 정보) • “하나더TV” 운영을 통한 데이터 방송 신 광고기법 보유 • 방송 노출 상품정보, DB 및 통신판매 기반 사업의 성공적인 시험운영 경험으로 T-Commerce의 가능성 확인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한 방송사업 확대 • 양방향 포맷의 프로그램 제작 경험 및 조직적 인프라 구축 (2002년 한일월드컵, 뉴스데스크, 100분토론 등) • 데이터 방송의 단방향/양방향, 독립형/연동형 서비스의 축적된 경험을 통해 데이터 방송사업 확대 • 위성 및 지상파 DMB의 데이터 방송사업 참여 유무선 인터넷을 통한 방송 참여 프로그램 • TV : 휴대폰 발신문자 메시지 서비스 및 브레인 서바이버 등 방송 참여형 게임의 축적된 노하우 보유 • 라디오 : 실시간 연동되는 라디오 인터넷 게시판 및 보이는 라디오를 통해 방송참여 서비스 강화 • 휴대폰의 **서비스 및 윙크 서비스를 이용한 프로그램 페이지 운영 쌍방향 디지털 방송사업 • “하나더TV”운영을 통한 축적된 노하우로 데이터방송 사업 확대 • 지상파 DTV , DMB 등의 데이터 방송 사업 진출
방송 유관 라이센스 • 대장금, 엠비씨 캐릭터, 삼한지 등 애니메이션, 캐릭터, 출판 사업 런칭 중 • 프로그램 등장인물 내용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제품 개발 디지털 음반제작/ 음원 라이센스 • 드라마 OST 투자 (컬러링, 벨소리 등) • 음악 프로그램 페이지 음원권 확보 및 디지털 서비스 확대 • VOD등 해외 판매시 연계 유통 게임 및 캐릭터 라이센스 • 모바일 및 온라인 게임제작, 유통 사업 • 아바타 및 배경화면 라이센싱 사업 디지털 라이센스 사업 • 디지털 라이센스 확보로 New Device와 연계한 다양한 사업 추진 • 방송 부가콘텐츠, 2차 저작물 콘텐츠 등 디지털 콘텐츠 사업 강화
성장성 위성 및 지상파 DMB IP TV & STB WiBro 이동방송 모바일 유선 및 무선 포털 웹에이전시 VOD Service 해외 콘텐츠유통 광고/부대사업 웹에이전시 광고/부대사업 콘텐츠 활용도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전문기업으로 도약 • 대형 인터넷 포털과 차별화된 성장요인을 지니고 있는 기업 - iMBC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전문기업으로 도약 기존사업의 안정적 성장
“ TV 보다 더 큰 세상 ” Multimedia Digital Content 전문기업 Vision 방송 콘텐츠를 기반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기획,개발,유통 전문회사 구현
iMBC는 디지털 시대에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콘텐츠의 보물창고입니다. 투자포인트 • 국내 최고급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보유 • 다양한 성장 시나리오 • 안정적인 사업구조 • 성장과 안정의 사업구조 Mix • 고부가가치 디지털 콘텐츠 사업
지속적인 양질의 콘텐츠 제공 40년간 축적된 콘텐츠 확보 • 국내 최고의 방송사인 MBC에서 기획, 제작 • 방송하는 최고 수준의 방송콘텐츠의 지속적인 공급 • 드라마, 예능, 다큐멘터리, 시사교양 등 •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 • 1969년부터 축적되어온 MBC의 영상콘텐츠를 활용 • 수사반장, 조선왕조500년, 전원일기, 다모, 대장금 등 • 한국 방송사의 획을 긋는 방대한 콘텐츠 확보 국내 최고의 방송사인 MBC의 막강한 방송콘텐츠 확보 국내 최고급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보유 New Device 시대의 핵심 S/W 국내 최고급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보유
DMB WiBro (휴대인터넷) IP TV & STB (BcN) 국내·외 포털 데이터 방송 Multimedia Digital content 다양한 성장 시나리오 iMBC의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성장산업
안정적인 사업구조 1,300만명의 회원 확보 • 지속적인 회원 수 증가 • 충성도 높은 1,300만명의 회원을 통한 신규비즈니스 기회창출 • MBC Media Group과 연계한 안정적인 사업구조 • 검증된 Business Model을 통한 수익창출 누적회원 수 현황 유료 방송콘텐츠 (단위 : 백만명) 15 12 9 6 3 웹에이전시 광고/수익사업 0 00.09. 00.12. 01.03. 01.06. 01.09. 01.12. 02.03. 02.06. 02.09. 02.12. 03.03. 03.06. 03.09. 03.12. 04.03. 04.06. 안정적인 사업구조 독점적 Business Model을 통한 안정적인 사업구조 및 충성도 높은 1,300만명의 회원
매출계획 단위 : 백만원 25,000 23,000 18,887 20,000 14,697 15,000 9,141 10,000 5,000 0 2002 2003 2004(E) 2005(E) 성장과 안정의 사업구조 Mix 안정적 성장을 기반으로 New Device의 Megatrend를 준비하는 기업
높은 수익성 단위 : 백만원 단위 : % 6,000 35 영업이익 (우) 당기순이익 (좌) 29.5% 30 5,000 27.1% 23.7% 25 4,000 20 3,000 15 5,044 2,000 10 3,572 1,000 5 1,948 0.8% 0 0 252 2002 2003 2004(E) 2005(E) 고부가가치 디지털 콘텐츠 사업 콘텐츠 유료화를 통한 고수익 사업구조 변신 New Device 적용 시 One Source Multi Use를 통한 고부가가치 가속화
iMBC는 기본과 원칙에 일관한 투명한 윤리경영으로 주주와 고객에게 신뢰와 지지를 받는 기업으로 성장하겠습니다 재무정보 • 주요 재무비율 • 대차대조표 • 손익계산서 • IPO 정보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단위 : 억원 단위 : % 유동비율(우) 부채비율(좌) 단위 : % 50 500 매출액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188.9 441.1 순이익 27.1 40 400 147.0 341.1 23.7 339.8 30 300 91.4 20.8 20 200 26.6 26.3 13.3 35.7 10 100 16.1 19.5 0.8 2.5 0 0 2.8 2002 2003 2004(E) 2002 2003 2004(E) 2002 2003 2004(E) 주요 재무비율 단위 : 원. %
대차대조표 단위 : 백만원
손익계산서 단위 : 백만원
IPO Plan 주주구성(공모 후) 1. 공모할 주식에 관한 사항 공모주 11.1% 공모주식수 3,000,000주 공모예정가 4,000원~4,800원 액면가 500원 문화방송 및 특수관계인 59.2% 총공모금액 120억원~144억원 구주주 26.3% 등록예정주식수 23,000,000주 2. 등록일정 유가증권 신고서 제출 2004년 12월 07일 우리사주 조합 3.4% 수요예측 2005년 01월 06일 청약 2005년 01월 11~13일 공모 후 주식수 : 23,000,000주 코스닥 등록예정일 2005년 01월 21일 IPO 정보
iMBC는 한국 인터넷 사회의 문화게릴라가 되기를 자임하고 있습니다. Appendix • 회사소개 • 주요 경영진 • 연혁
CEO 하동근 주요 경영진 이름 직책 학력 및 경력 권오형 이사 현, iMBC 이사 (주)엠비씨플러스 기획국장 SkyLife광고판촉 팀장 (주)문화방송 편성, 제작PD Wharton MBA 서울대 신문학과 졸 한귀현 이사 현, MBC 정책기획실장 (주)문화방송 총무국장 (주)문화방송 광고기획부장 연세대학원 도시행정학 졸 중앙대 사회사업학과 졸 • 03.06~ 현재 : iMBC 대표이사 • 02.03~03.06 : 정책특보 • 01.03~02.03 : 보도제작국 보도제작부장 • 00.03~01.03 : 보도국 국제부장 • 99.12~00.03 : 보도국 인터넷뉴스 부장 • 96.05~99.12 : 보도국 보도기획팀장 • 93.06~96.05 : 보도국 뉴스데스크, 뉴스와이드 제작 CP • 90.06~93.06 : 동경 특파원 • 81.01~02.03 : (주)문화방송 보도국 기자 •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 졸 • 일본 와세다대 정치대학원 수료 • 한국외국어대 영어과 졸 장명호 감사 현, MBC 감사 방송문화진흥회 사무처장 (주)엠비씨애드컴 대표이사 (주)문화방송 정책기획실장 연세대 경제학과 졸 최민 감사 현, 영화회계법인Senior Manager 청운회계법인 Senior 삼일회계법인 Senior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졸 주요 경영진
디지털콘텐츠 전문기업으로 도약(2004~) 2004.02. 예당과 온라인 음악사업 계약 2004.03. IMX와 콘텐츠 공급계약 2004.07. 유료콘텐츠 이용 정액제 서비스 오픈 2004.07. 화상전송방법에 대한 BM 특허출원 2004.07. SONY와 콘텐츠 공급계약 2004.07~09. KT컨소시엄 양방향 데이터방송 운영대행 2004.10. 웹DRM 기술 특허 출원 내부 역량강화 및 수익모델 확보 (2002~2003) 2002.01. KTF 무선인터넷 동영상 VOD 공급협정 2002.05~06. 2002년 한일월드컵 데이터 방송운영 2002.06. 지하철 3호선 이동방송 서비스 런칭 2002.09~10. 부산 아시안게임 데이터 방송운영 2002.10. 방송 콘텐츠 다국어 서비스 런칭 2003.04. 방송 콘텐츠 전면 유료화 2003.04. SKT : June 콘텐츠 공급 계약 및 서비스 2003.05. KTF : Fimm 콘텐츠 공급 계약 및 서비스 2003.08. “TV보다 더 큰 세상”슬로건 선정 사업기반마련 및 인프라 구축 (2000~2001) 2000.03. ㈜인터넷엠비씨 설립 2000.07. iMBC.com 사이트 개국 2000.11. 신세기통신, LGT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업무제휴 2001.11. 방송 부가정보 서비스 “하나더TV”런칭 연 혁
감사합니다. Investor Re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