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8

네트워크와 TCP/IP

네트워크와 TCP/IP. 전 진 오 lovewind@hitel.net. 네트워크 구성도. 네트워크가 없는 세상. 프린터 출력 : 물리적으로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어야만 함 .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 필요 . 파일 복사 : 파일 용량의 제약 게임 : 사람과 사람의 게임 불가능. 인터넷의 관리기구.

debra
Download Presentation

네트워크와 TCP/IP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네트워크와 TCP/IP 전 진 오 lovewind@hitel.net

  2. 네트워크 구성도

  3. 네트워크가 없는 세상 프린터 출력 : 물리적으로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어야만 함.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 필요. 파일 복사 : 파일 용량의 제약 게임 : 사람과 사람의 게임 불가능

  4. 인터넷의 관리기구 o ISOC (Internet Society) ISOC는 1992년에 설립된 국제적 비영리 단체로 인터넷의 절차와 기술적 표준에 관한 포럼을 제공한다. o IAB (Internet Architecture Board)IAB는 ISOC에 기술적 조언을 하는 단체로 TCP/IP 관련 프로토콜의 개선과 발전을 선도하며 RFCs(Request for Comments)를 관리한다. 산하단체로 IETF(Internet Enginnerihg Task Force)와 IRTF(Internet Research Task Force)를 두고 있다.

  5. 인터넷의 관리기구 *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IETF는 IESG(Internet Engeering Steering Group)에 의해 관리되는 작업 그룹의 포럼이다. IETF는 인터넷 표준에 관한 기술적 문제에 책임이 있는 단체로 9개의 기술분야가 있다. Applications (응용) Internet Protocols (인터넷 프로토콜) Routing (라우팅) Operation ( 작동 ) User Services (사용자 서비스) Network management (네트워크 관리) Transport (전달) Internet Protocol next generation Security (보안)

  6. 인터넷의 관리기구 * IRTF (Internet Research Task Force)IRTF는 인터넷 프로토콜,응용프로그램,구조에 관한 장기 연구에 초점을 맞춘기구로 IRSG(Internet Research Steering Group) 에 의해 관리된다.

  7. intranet 하나의 조직이나 회사내부의 컴퓨터들을 연결한 네트워크의 단위 Internet intranet과 intranet을 연결한 네트워크 Internet 전세계의 컴퓨터들을 하나로 연결한 대규모 네트워크 네트워크 세상 • 네트워크의 목적 : 자원의 효율적이고 편리한 공유 • Intranet /internet / Internet

  8.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 장비 : 네트워크 카드, 케이블 • 프로그램 : 네트워크 OS,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 • 네트워크 프로토콜 : 네트워크에서의 언어 • 컴퓨터 이름/주소 : 네트워크상에서 상대방 컴퓨터들을 구분하는 방법

  9. 네트워크 기본 장비 • 네트워크 카드 컴퓨터에 설치하여 다른 컴퓨터들과 통신하기 위한 기본 장비 • 네트워크 케이블과 컨넥터 • TP 케이블 : 일반 전화선과 같은 모양 • 동축 케이블 : 안테나선과 같은 모양 • BNC : 동축 케이블을 연결할때 사용 • RJ-45 : TP케이블을 연결할때 사용

  10. Category 1 (CAT 1) 일반 전화선 수준 Category 2 (CAT 2) 4 Mbps Category 3 (CAT 3) 10 Mbps Category 4 (CAT 4) 16 Mbps Category 5 (CAT 5) 100 Mbps TP케이블의 category

  11. 크로스 케이블 crossover cable / PC to PC cable 두대의 컴퓨터에 있는 네트워크 카드를 직접 연결 • 다이렉트 케이블 PC to HUB cable 컴퓨터의 네트워크 카드와 허브를 연결

  12. 크로스 케이블의 내부 배선

  13. 기타 네트워크 장비 • 리피터 : 신호 증폭 역할 • 허브 : 스타방식의 네트워크 구성 • 브리지 동축 케이블이나 TP케이블과 같이 종류가 다른 네트워크 매체를 연결 시켜 준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카드들을 연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여러개의 세그먼트로 분리시켜 줌으로써 네트워크의 병목 현상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컴퓨터의 댓수를 늘려주고, 네트워크의 길이를 연장해 준다.

  14. 스위치

  15. 라우터 브리지는 MAC주소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나누어 주고 라우터(router)는 IP와 같은 논리적인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나누어 주는 장비이다. •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gateway)는 브리지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매체를 서로 연결해 준다. 또한 양쪽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이 다른 경우에도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이다.

  16. Bluetooth;블루투스 블루투스는이동전화,컴퓨터,PDA등이근거리무선접속을사용하고있는가정이나회사의전화나컴퓨터들과어떻게서로쉽게연결될수있을까를기술하고있는컴퓨터및통신산업계의규격이다.블루투스는덴마크전설에나오는왕의이름이다.인텔,IBM,노키아,에릭슨등5개의업체가공동개발했다.이기술을이용하면,셀룰러폰,무선호출기및PDA사용자들은세가지가하나에들어있는전화기를살수있을것이며,이전화기는가정과사무실의휴대용전화기로서두가지일을할수있다.또한,데스크탑이나노트북컴퓨터내에있는정보와신속하게동기화할수있으며,팩스를보내거나받을수있고,프린트출력을할수도있다.그리고일반적으로모든휴대용및고정식컴퓨터장치들과완전한공동작용이가능하다.이기술을이용하려면각장치마다저가의트랜시버칩이장착되어야한다.블루투스기술이적용된제품들은2000년대초에대거출시될것으로보인다.

  17. Bluetooth;블루투스 -작동원리 각장치는이전에는사용되지않아,전세계적으로가용주파수대역인2.45GHz에서송수신할수있는마이크로칩트랜시버를장착한다(일부국가에서다소다른주파수대역이있을수있다).데이터외에도음성채널을최대3개까지사용할수있다.각장치는IEEE802표준으로부터나온고유한48비트주소를가지고있다.접속은점대점이나멀티포인트가가능하다.통신이가능한최대범위는10m이다.데이터는전송은1Mbps의속도에서이루어진다(2세대기술에서는최고2Mbps까지).주파수홉설계는장치들이엄청난량의전자기장해가있는지역에서도통신할수있게해준다.내장암호화및검증기능이제공된다.

  18. WAP(WirelessApplicationProtocol);무선응용통신규약 WirelessApplicationProtocol의약어.휴대용무선기기를통해,관련된정보(주로인터넷서비스)를받을수있도록결정된표준전송규약.휴대용무선기기라함은,일반휴대용전화기(mobilephone),삐삐(pager),쌍방향라디오(two-wayradio)등이다.특히,휴대용전화기를인터넷폰(Internetphone)이라고한다.2000년초에,2003년도까지약5억대의WAP통신기기가판매될것이라고예측하고있다.이전송규격이적용되는무선통신시스템으로는CDPD,CDMA,GSM,PDC,PHS,TDMA,FLEX,ReFLEX,iDEN,TETRA,DECT,DataTAC,Moditex등이있다.

  19. WAP(WirelessApplicationProtocol);무선응용통신규약 WAP은셀룰러폰이나무선호출기등과같은무선장치들이전자우편,웹,뉴스그룹및IRC등의인터넷액세스에사용될수있는방법을표준화하기위한통신프로토콜들의규격이다.과거에도인터넷접속은가능했지만,제작회사마다모두다른기술을사용하였다.앞으로는,WAP을쓰는장치들과서비스시스템들끼리호환성과상호운용성을갖게될것이다.

  20. 1.허브(Hub) 허브는한사무실이나가까운거리의컴퓨터들을UTP케이블을사용하여연결하기위해사용하는네트워크장비이다. 1)허브의기능 ①컴퓨터끼리의네트워크연결 ②근거리의다른네트워크(즉,다른허브)와의연결 ③라우터(Router)등의네트워크장비와연결 ④네트워크상태점검(모니터링기능) ⑤신호증폭기능(리피터의역할) 2)허브사용의장점 ①네트워크관리가용이해진다. ②네트워크에러를검출해내기쉽다. ③병목현상을어느정도줄여준다. ④확장이용이하다. ⑤다른네트워크와네트워크장비에연결할수있다. ⑥신호를증폭해준다.

  21. 1.허브(Hub) 3)허브의종류 ①포트수에따른분류 -.4포트,8포트,12포트,16포트,24포트,32포트 -.허브의포트는RJ-45커넥터를연결할수있는포트 -.이포트외에BNC포트를하나씩가지고있다. -.BNC포트에8개의컴퓨터와직렬로연결할수있다. ②기능에따른분류 *더미허브(DummyHub) -.단순히중계기의역할만을수행 -.10Mbps의속도를모든포트가공유하여사용 -.포트수증가시트래픽이문제가된다. *스위칭허브(SwtchingHub) -.각각의포트마다10Mbps의속도를할당 -.사용자가증가하더라도빠른속도로데이터를전송 -.화상통신이나DB를빈번하게사용하는경우에사용 -.인터넷서버에연결하는허브로사용

  22. II.리피트(Repeater) ①네트워크선로를통해전달되는신호를증폭하여연결된네 트워크로전송하는장치 ②OSI7계층참조모델의물리계층(PhysicalLayer)을연결하 는장치 ③신호를재생하여전달되는거리를증가시킨다. ④케이블길이가길경우약해진신호를증폭시킬때사용 [리피트를사용하면안되는경우] -.네트워크트래픽이많을때 -.세그먼트에서사용되는억세스방법들이다를때 -.어떤종류이건데이터필터링이필요할때

  23. III.브리지(Bridge) ①동일한프로토콜을사용하거나다른프로토콜을사용하 는LAN을연결하는장치 ②물리계층및데이터링크층(MAC계층)의연결기능을제공 ③네트워크를분리하는기능을담당 ④공간의부서,팀,건물의구조에따라서로분리 ⑤서로다른종류의네트워크를연결 ⑥연결된네트워크의구성(OS,프로토콜)을알고있는경우연 결하는장비 ⑦네트워크를일정한규칙에따라분리하여검사대상을 줄인다 ⑧백본(Backbone)망이구축된상태에서주로사용 ⑨리피트보다지능적이며리피트의기능을모두갖고있다.

  24. [장점] -.설치가용이 -.환경설정이불필요 -.상위계층프로토콜과무관 -.물리적인제한(최대길이,최대연결컴퓨터수)을 극복가능 -.다양한속도를사용할수있다 -.네트워크관리가용이하며,구조가단순하여값이싸다. -.다른타입의LAN연결이가능 [단점] -.다양한경로의선택이어렵다. -.적절치않은경로선택이될수있다:지연유발 -.장애시대처가어렵고응용에제한이있다.

  25. IV.라우터(Router)와브라우터(Brouter) 1.라우터(Router) ①다른기종간의네트워크를연결하는역할을하는네트워크장비 ②알수없는임의의네트워크와내부네트워크를연결 ③LAN을WAN과연결하는데많이사용 ④OSI7계층참조모델의물리계층,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계층간을연결 ⑤여러가지프로토콜에서전송되는패킷을받아드릴수있어야 ⑥네트워크의가장트래픽이적은경로를찾아목적지로데이터를전송 하는기능 즉,브리지+경로배정 ⑦전용선을통해인터넷을사용할때반드시필요 ⑧네트워크의보안을위한Firewall기능을하는기종도있음 *Static라우터 네트워크관리자가패킷에대한전송경로를어떻게선택할것인가를결정 해주는라우터관리가어렵다. *Dynamic라우터 Static라우터에비해지능적이며,모든인터페이스를검사하여최적경로 를찾을수있는 테이블을만든다

  26. IV.라우터(Router)와브라우터(Brouter) [장점] -.환경설정이가능 -.유지,보수가용이 -.알고리즘에따라자동으로경로가결정됨 -.확장이용이 -.토폴로지에구애받지않으므로대규모네트워크구성에용이 -.다양한경로가존재하므로트래픽이분산 [단점] -.초기환경설정이어렵다. -.특정프로토콜에의존,다영한프로토콜지원이어렵다. -.하위프로토콜지원이불가능하다. -.복잡하여가격이비싸다.

  27. IV.라우터(Router)와브라우터(Brouter) 2.브라우터(Brouter) ①네트워크를연결하고분리하는장비 ②브리지와라우터의기능을겸함 ③BridgingRouter또는RoutingBridge라고도함 ④규모가큰네트워크에서네트워크와네트워크를분리하거나 인터넷에연결할필요가 있는경우많이사용 -학교,회사등과같이몇개의건물들을네트워크로연결하는경우 백본을사용하게되는데,내부네트워크와인터넷을동시에사용하고 자할때서브네트워크에서는중앙의서버와인터넷을동시에사용하기 위하여브라우터를사용한다.

  28. V.게이트웨이(Gateway) ①OSI참조모델의모든계층을포함하여동작하는네트워크장비 ②두개의완전히다른네트워크사이의데이터형식을변환하는장치 ③프로토콜구조가다른네트워크환경들을연결할수있는기능을제공 ④여러계층의프로토콜변환기능을수행하므로서네트워크내의병목현상 을일으키는지점이될수있다. [장점] -.완전히다른시스템을연결한다. -.게이트웨이의고유한기능만을실행한다. [단점] -.다른장치보다가격이비싸다. -.설치와사용환경설정이어렵다. -.데이터변환의기능을갖기때문에전송속도가매우느릴수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