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 likes | 681 Views
전자저널 이용의 시작과 끝 " 플랫폼 그 이상의 가치 " 2007.4.19 저널피아 IT 팀 최창원. [ 여행을 시작하기 전 ]. 여행의 목적 - 자관에서 사용중인 솔루션과의 장단점 비교 - 향후 제품 선택시 판단의 기준 - 솔루션에 쓰인 기술 동향을 파악하여 , 미래 솔루션을 예측 - 장애 발생 시 , 현황 파악 , 대처 능력 배양. 플랫폼. 메타검색. 저널피아 플랫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프록시. 링킹솔루션. 여행 시 당부말씀
E N D
전자저널 이용의 시작과 끝 "플랫폼 그 이상의 가치"2007.4.19저널피아 IT팀 최창원
[여행을 시작하기 전] • 여행의 목적 - 자관에서 사용중인 솔루션과의 장단점 비교 - 향후 제품 선택시 판단의 기준 - 솔루션에 쓰인 기술 동향을 파악하여, 미래 솔루션을 예측 - 장애 발생 시, 현황 파악, 대처 능력 배양 플랫폼 메타검색 저널피아 플랫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프록시 링킹솔루션 • 여행 시 당부말씀 • - 학술적인 목적을 위해 실 제품명, 회사명 인용 • - 학술적인 목적을 위해 실 출판사 명 인용 • - 특정 단체의 이익을 위함이 아닌, 정확한 자료와 • 현존하는 Hot Issue를 다루기 위함 • - 해당 단체에 너그러운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1
1. 플랫폼 - 3 (Page) 2. 메타검색 - 19 (Page) 3. 링킹솔루션 - 26 (Page) 4. 원외접속서비스(프록시 & VPN) - 32 (Page) 5. 플랫폼 그 이상의 가치 - 38 (Page) 6. 실전연습 - 44 (Page) 인터넷이 안 되요 1. "네이버가 이상해요!" 인터넷이 안 되요 2. "출판사 사이트가 이상해요!" 인터넷이 안 되요 3. "전자저널이 안 열려요!" [목 차] 2
플랫폼이란 ? - 사전적 의미? 플랫폼 [platform] [명사] 1 역이나 정거장에서 기차를 타고 내리는 곳. ≒폼. 2 <운동·오락>역도에서, 바벨을 드는 사방 4미터의 각재로 만든 대. 3 <운동·오락>다이빙에서, 5~10미터 높이의 준비대. 4 응용프로그램의 설계자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플랫폼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응용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 전자저널을 선택하고 이용하는 기본 출발점 출발점 + 밑바탕 + 지원 [1. 플랫폼] - 플랫폼의 개요 3
플랫폼의 종류 - LAS 제공 모듈 -저널피아 EJIS - EBSCO AtoZ - ExLibris SFX A-Z - SerialsSolution AMS - WIPS J2M - 킨스 JRM - PPI PELIS - 기타 다수 [1. 플랫폼] - 플랫폼의 종류 4
플랫폼을 선택한 이유 1. LAS 제공 모듈 - "LAS에 통합되어 제공 되니까." [장점] - 통합성 : 도서관 홈페이지와 같은 페이지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새창이 아님) 타 소장자료와 통합검색이 된다. - 안정성 : 대행업체가 바뀌어도 기능 및 인터페이스가 바뀌지 않는다. - 유지보수성 : 기능변경 및 리스트 관리를 비교적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다. [단점] - 관리부담 : 출판사별 전자저널 리스트를 직접 반입하여야 한다. 변경된 데이타를 직접 관리하여야 한다. - 기능부족 : LAS 제공 모듈이 구 버전 일 경우, 되는 기능이 별로 없다. (엑셀 리스트와 별반 차이 없음) [1. 플랫폼] - 플랫폼의 선택 5
플랫폼을 선택한 이유 2. 대행사 플랫폼 - "저널 구독계약 시 무료로 제공 되니까." [장점] - 관리부담 : 목록관리를 알아서 해준다. - 가격 : 무료이다. [단점] - 다수 . . . 3. 전문 업체 솔루션 (외국계 등) - 연계 솔루션과 시너지 효과를 보려고 [장점] - 기능 : 예산을 투입해 구입한 만큼 만족도가 높다. ERM 에 관련된 다른 솔루션과 같이 사용하므로, 통합성이 강하다. (메타검색 / 링킹솔루션 등) [단점] - 가격 : 별도의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 - 커스터마이징: 외국계 대형 솔루션 일 수록 커스터마이징이 힘들다. [1. 플랫폼] - 플랫폼의 선택 6
원하는 저널을 찾을 때 1. 저널명을 정확히 모를 때, ABC 가나다 브라우징을 통해서 저널명을 찾는다. - ABC 분류만 있고, 가나다 분류는 없다면? 다국어 지원 문제, UNICODE ? - ABC 1차 분류만 있는 경우. 2차 분류는? JA, JB, JC 등도 지원해야 (Journal of Medicine 은 JO? JM?) - 정관사 the의 위치문제 The EMBO Journal -> EMBO Journal, the 2.키워드를 알고 있을 경우, 검색을 한다. -전방일치검색, 포함검색, 완전일치검색, 키워드조합, 결과내검색, 페이지당 출력건수설정 등으로 검색 -저널명, 출판사, ISSN, 저널설명 등의 서지데이타로 검색 -저널명의 약어검색도 할 수 있다면? -한자, 일본어 도 한글로 검색할 수 있다면? 다국어 입력기도 있어야 [1. 플랫폼] - 이용자가 플랫폼에 원하는 것? 7
원하는 저널을 찾을 때 3. 어떤 저널을 봐야할 지 모른다면? -분야별 목록이 리스트 되야 함. (국내KDC / 국외DDC 분류 등)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에 따른 단계 별 분야 선택이 가능해야 -우리 기관만의 특화된 분류체계를 적용할 수는 없나? (단과대학 별 구독목록 등) -저널수록 논문 중 특정 저자, 특정 키워드가 있는 저널은? (Knowledge Base 필요) -우리 기관 사용자들이 특정분야에서 많이 보는 저널은? (통계) -내가 정한 분야에서 유명도가 높은 저널은? (Impact Factor / SCI 등재 여부?) -모든 검색 조건자와 정렬기능과 분야를 총동원해서 검색을 하고 싶다! -저널명 검색하는데, 왜 Knowledge Base가 필요할까? (질문1. 저널검색이 기사검색인가???) [1. 플랫폼] - 이용자가 플랫폼에 원하는 것? 8
저널을 찾은 후 저널을 클릭 할 때 로그인 방식 지원 -IP인증 방식(기관내부 사용자)일 경우, 바로Vol/No 별Archieve 페이지로 이동 -IP인증 방식(기관외부 사용자)일 경우, 플랫폼에서 자동으로Proxy 설정 및 이용 (질문2. 플랫폼이 Proxy 인가 ???) -ID/PW 로그인 방식 저널 일 경우, 플랫폼에서 자동으로ID/PW를 입력 및 로그인 전체 저널 중 5% 미만 지원 안 될 경우, 체감 불편 지수 상당량 증가 -Proxy 에서 ID/PW 방식 로그인을 지원하는 경우 [1. 플랫폼] - 이용자가 플랫폼에 원하는 것? 9
저널을 이용하고 난 후 1. 즐겨찾기 -자주 이용하는 저널을My Journal에 등록하여 이용 가능 -자주 검색하는 검색식도My Search에 등록하여 이용 가능 -내가 자주보는 원문도 My Article에 등록 가능해야 2. 통계 -나의 저널 이용횟수 및 시간을 볼 수 있어야. -나의 검색History 도 볼 수 있어야. 저널에 대한 기타 요구사항 -원문복사 신청을 바로 편하게 했으면 -다른 검색엔진에 관련된 자료가 있나? Google Scholar / MS Live Search 등 -우리 도서관의 소장자료검색(E-Resource 등)으로 바로 갔으면 -이 저널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다. (질문3. 플랫폼이 링킹 솔루션 인가???) [1. 플랫폼] - 이용자가 플랫폼에 원하는 것? 10
저널을 다시 이용하려고 할 때 "플랫폼에서 내가 누군지 인식 해주었으면 좋겠다." "One Click 으로 전자저널을 사용할 수 없을까?" 1. 이용자의 모순 -기관내에서는 자유롭게 전자저널을 열람하고 싶다. (IP 방식 플랫폼 로그인) 1 IP = 1 User? Proxy 사용자들은? -내가 즐겨찾기에 등록한 내용을 보고 싶다. (ID/PW 방식 플랫폼 로그인) -하지만, 매번 로그인 하기는 귀찮다.(IP 방식 플랫폼 로그인) -즐겨찾기 내용을 Cookie에 등록하는 것도 불만이다. (Cookie의 휘발성) [1. 플랫폼] - 이용자가 플랫폼에 원하는 것? 11
저널을 다시 이용하려고 할 때 "플랫폼에서 내가 누군지 인식 해주었으면 좋겠다." "One Click 으로 전자저널을 사용할 수 없을까?" 2. 기술적인 비교 (Cookie, ActiveX, SmartClient, java applet, Ajax, 그리고, VISTA) -Cookie (장점) : IP 방식이라도 누군지 알 수 있다. 예) PubMed (단점) : Cookie 삭제하면, 전부 날라간다. [1. 플랫폼] - 이용자가 플랫폼에 원하는 것? 12
2. 기술적인 비교 (Cookie, ActiveX, SmartClient, java applet, Ajax, 그리고, VISTA) -ActiveX (장점) : 빠르고 강력하다. 예) 은행권 보안 모듈, 웹메일의 텍스트 에디터 등 (단점) : 윈도우, IE에서만 동작한다. 검증하지 않고 설치할 경우, 해킹 등 심각한 보안 위협을 초래한다. VISTA에서 보안 문제로 호환이 잘 않된다. (주의) : 인증서가 첨부되지 않은 ActiveX는 함부로 설치하지 않는다. [1. 플랫폼] - 이용자가 플랫폼에 원하는 것? 13
2. 기술적인 비교 (Cookie, ActiveX, SmartClient, java applet, Ajax, 그리고, VISTA) -SmartClient (장점) : ActiveX를 대체할 MS의 차세대 인터넷 기술 (X-인터넷) .NET FrameWork 위에서 동작하므로 배포가 쉽다. 비교적 VISTA에서 잘 작동한다. (단점) : ActiveX 의 Native Code 보다 실행속도가 살짝 느리다. .NET FrameWork 위에서 동작하므로 모든 컴퓨터에 설치되어야 한다. (280MB) (윈도우 업데이트 시 적용가능) PC 운영체제가 최소 Windows 2000 (Service Pack 3)이상이여야 한다. [1. 플랫폼] - 이용자가 플랫폼에 원하는 것? 14
2. 기술적인 비교 (Cookie, ActiveX, SmartClient, java applet, Ajax, 그리고, VISTA) -Java Applet (장점) : 다양한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지원 (Windows / Solaris / Linux 등) 비교적 적은 용량의 Java Runtime Environment (13.6MB) (단점) : MS-정책에 따른 윈도우에서의 지원 부족, 충돌, 에러 등 Sun JavaVM <> MS JavaVM [1. 플랫폼] - 이용자가 플랫폼에 원하는 것? 15
2. 기술적인 비교 (Cookie, ActiveX, SmartClient, java applet, Ajax, 그리고, VISTA) -Ajax "에이잭스" (Asynchronous JavaScript + XML) "자바스크립트와 XML로 웹페이지의 일부분을 깜빡거리지 않고, 능동적으로 데이타를 보여주는 기술" -왜 주목해야 하나? "웹에서의 사용자 UI가 좋아 짐" -> "세련되고 편리한 홈페이지" -> "이용량 증가" (사용예) 네이버의 추천 검색 구글 맵스 [1. 플랫폼] - 이용자가 플랫폼에 원하는 것? 16
2. 기술적인 비교 (Cookie, ActiveX, SmartClient, java applet, Ajax, 그리고, VISTA) -Ajax "에이잭스" (Asynchronous JavaScript + XML) -서울대학교 도서관 [1. 플랫폼] - 이용자가 플랫폼에 원하는 것? 17
저널을 다시 이용하려고 할 때 "플랫폼에서 내가 누군지 인식 해주었으면 좋겠다." "One Click 으로 전자저널을 사용할 수 없을까?" 3. 해결책은 ? "좋은 옷이 아닌, 나에게 잘 맞는 옷이 필요" "선택에 따른 자원 투입과 효율성 사이의 균형 필요" "기관에서 사용하는 운영체제와 브라우저에 따른 선택 필요" "약간의 관리적인 불편함을 감수하고, X-internet 의 흐름을 선택" "우리 기관은 전부 Windows VISTA -> MS Smart Client !" [1. 플랫폼] - 이용자가 플랫폼에 원하는 것? 18
메타검색이란 ? - 사전적 의미? 메타 검색엔진[Meta Searching Engine] [IT용어] 메타 검색엔진이란 인터넷상에서 자체 검색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고, 다른 검색 엔진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자료를 찾아주는 검색 엔진을 의미한다. - WEB DB 란? 웹에서 이용 가능한 데이타베이스 도서관에서 특정 분야의 논문이나 기사를 검색 및 원문을 이용하기 위해 유무료로 구독 - 메타검색과 WEB DB의 차이점은 ? "DB의 소장여부" 메타검색 : 기사의 원문을 소장하고 있지 않다. 실시간으로 다른 WEB DB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수집, 가공 하여 보여준다. WEB DB : 기사의 초록과 원문을 소장하고 있다. "정말 메타검색엔진이 DB를 소장하고 있지 않을까???" : 속도와 안정성을 위해 INDEX의 형태로 소장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2. 메타검색] - 메타검색의 개요 19
메타검색엔진의 종류 - ExLibris MetaLib - Lib.Step e-Pass - 킨스 KDB Meta Search - 윕스 Search Inside - 오롬 Meta Search - 그 외 소수 WEB DB의 종류 - PubMed - 대부분의 중대형 출판사와 DB Aggregator가 웹에서 검색의 형태로 제공 [2. 메타검색] - 메타검색의 종류 20
이용자가 원하는 것은? "방대한 양의 논문기사에서 내가 원하는 논문을 찾고 관리하고 싶다!" "모래사장에서 바늘을 찾으려면???" -> "체" 가 필요 "쉽고" "정확히" "빠르게" + "직관적으로" (최근의 추세 : Visual Searching) 원하는 기사를 찾을 때 - 통합검색 기능 필요. 한번에 다수의 전자정보원(WEB DB + SITE) 검색 - 정교한 상세검색이 필요. 서명, 키워드, 저널명, 저자명, Coverage, DB명, 주제분류등을 논리연산자(AND, OR) 로 조합검색 - 필요한 DB만 쉽게 일괄로 선택, 해제 가능. 검색결과를 검토할 때 - 결과내 재검색이 되어야 한다. (큰 범위 키워드 -> 상세 범위 키워드) - 검색결과가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보여야 한다. (DB별 결과, 통합 결과 지원) - 검색결과를 각 필드별(제목, 저자, 년도, 저널명, DB명)로 정렬이 되어야 한다. - Keyword HighLighting 이 되어야 한다. - 주제분류별로 분류가 가능해야 된다. (KDC / DDC 별) - 제공 형태별로 분류가 가능해야 된다. (전체, 서지, 초록, 원문) (질문. 우리 기관에서 볼 수 있는 원문이 열리는 전자저널은???) - 인용도가 높은 저널이나 논문 순으로 정렬이 되었으면 좋겠다. (Knowledge Base 필요!) - Visual하고 직관적인 Clustering이 지원되면 좋다. (옵션) [2. 메타검색] - 이용자가 원하는 것은? 21
[2. 메타검색] - 이용자가 원하는 것은? • Viaual Searching 도 • 중요하지만 . . . • 정확도가 생명 ! 22
검색결과를 이용할 때 - 원래 페이지로 이동 가능해야 한다. 바로가기 URL 제공 - 원문이 있을 경우, 원문 보기 URL 제공 - 원문이 없을 경우, 원문복사 신청과 연계 서비스 (-> 링킹 솔루션) - 우리 기관의 구독 DB / 구독 저널 / 구독 Coverage 에 맞추어 정확히 원문 열람 가능여부를 알려줘야 한다. - 원내, 원외 이용자를 구분해 Proxy를 제어해줘야 한다. 검색결과를 관리할 때 - 검색 쿼리를 My Search 에 저장하고, 재검색 시 사용가능해야 한다. - 검색 쿼리의 History를 저장하고, 사용가능해야 한다. - 검색 DB를 My Database 에 저장하고, 재검색 시 사용가능해야 한다. - 검색 결과 중 요약정보를 My Article에 저장하고, 사용가능해야 한다. - 내가 보던 원문을 My Article에 저장하고, 나중에 사용가능했으면 좋겠다. - 검색 결과를 EndNote 등으로 반출도 가능했으면 좋겠다. - SDI Service (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정보선택제공이 되면 좋겠다. 원하는 저널의 TOC 등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 및 E-mail 발송 원하는 검색 쿼리의 결과값을 주기적으로 제공및 E-mail 발송 (KnowledgeBase 필요) [2. 메타검색] - 이용자가 원하는 것은? 23
관리자가 원하는 것은? - 연산 검색이 잘 안된다. - 상세검색기능이 추가되었으면 한다. - 검색결과에 대한 재검색이 되야 한다. - 국내 자원에 대한 검색이 되어야 한다. - 검색의 정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정확성이 낮다. - 검색결과와 제공이 제각각이다. 같은 형식으로 제공되었으면 한다. - 중복검색결과를 제거해야 한다. - 신규 DB의 추가, 갱신이 쉽게 되었으면 한다. - 링킹 솔루션과 연계를 통한 이용 효율성을 증대 시킬 수 있어야 한다. - 통계를 다양하게 지원해야 한다. - 클러스터링이 활용도가 떨어진다. 별 의미가 없음. 클러스터링 이란? cluster : 다발 -> clustering : 집단화 -> 단어수와 링크 등을 기반으로 검색결과를 몇 개의 그룹으로 묶는 자동분류 기법 [2. 메타검색] - 관리자가 원하는 것은? 24
메타검색 vs WEB DB "정확하고, 강력한, 편한 메타검색이 아니라면, 이용자들은 WEB DB 자체를 선호한다." [2. 메타검색] - 중요성은? 25
OpenURL 이란 ? - 사전적 의미? Open (열려있는) + URL (웹주소) = "열려있어 누구나보면 그 내용을 알수 있는 URL" - Source Data와 Link 제공자 사이의 연결을 정의하기 위해 만들어진 표준 식별체계 - OpenURL 서버의 주소(URL)와 메타데이터(아티클)를 기술하는 부분의 두 부분으로 구성 - 정보 자원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 이와 관련된 콘텐츠와 여러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는 확장된 URL - URL은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 자원만 제공하나 OpenURL은 정보 자원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 OpenURL 서버가 이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와 관련된 여러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OpenURL은 URI 스팩을 준수하고 있으며 BASE-URL과 QUERY로 구성된다. - OpenURL 1.0 (NISO 표준) Z39.88(2004)로 알려져 있습니다. http://www.niso.org/committees/committee_ax.html http://library.caltech.edu/openurl [3. 링킹솔루션] - 링킹솔루션의 개요 26
OpenURL 이란 ? - OpenURL의 예 http://www.web.edu/openresolver?sid=web:openurl &genre=article &atitle=A%20semantic%20network &title=ACM &issn=1046-8188 &date=2002 &vol=20 &issue=4 &spage=390 &epage=421 &aulast=Feng &suinit=L [3. 링킹솔루션] - 링킹솔루션의 개요 27
Linking 이란 ? - 홈페이지의 링크를 의미 -> 마우스를 갔다대면 손모양으로 변함 -> 다른 자료로 이동가능 - 단순한 링크가 월드와이드 웹을 폭발적으로 성장시킴 -> 자료간 연결이 중요! 링킹솔루션이란 ? - OpenURL을 기반으로 도서관 이용자가 자신의 검색 결과 내에서 그 결과와 관련된 자원과 서비스(원문복사신청 등) 로 옮겨가도록 링크를 제공하는 기술 - 링킹솔루션이 필요한 때는? [3. 링킹솔루션] - 링킹솔루션의 개요 28
- 킨스 Vista Linking - 윕스 Linking Inside [3. 링킹솔루션] - 링킹솔루션의 종류 • 링킹솔루션의 종류 29
[3. 링킹솔루션] - 링킹솔루션의 현황 • 링킹솔루션의 점유율 • (출처 : 논문 OpenURL을 이용한 전자자원 링킹시스템 비교 분석) • 2005년 11월 28일 김성희 (Seong-Hee Kim) 30
[3. 링킹솔루션] - 관리자가 원하는 것은? • KnowledgeBase 의 중요성 • CrossRef ? • 링킹솔루션은 링크가 생명 • 커스터마이징의 중요성 31
원외접속 서비스 란 ? "기관외부의 이용자가 기관내부(IP)에서만 이용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Proxy, VPN 등의 솔루션을 이용하여 IP를 변환하여 이용" [4. 원외접속] - 원외접속의 개요 32
Proxy 의 사전적 의미 ? proxy〔│〕 n. (pl. prox·ies) 1 대리 (행위);대리권;대리 투표 2 위임장, 대리인 Proxy 의 기능 - IP 변조 - 보안과 관리적 차원의 필터링 - 웹캐시 Proxy 의 종류 - 킨스 KDB EasyLink - 다몬미디어 Virtual-Net - 윕스 Proxy - 그 외 소수 [4. 원외접속] - Proxy 의 개요 및 종류 33
자동 구성 스크립트의 역활 및 동작순서 [4. 원외접속] - Proxy 의 자동 구성 스크립트 34
스크립트파일 .PAC의 역활 [4. 원외접속] - Proxy 의 자동 구성 스크립트 • 도메인 입력 시 주의사항 • " .journalpia.com " (O) " *.journalpia.com " (X) 35
웹 Proxy 의 기능 요구조건 - 자관의 홈페이지 로그인과 연동되야 한다. (기관 이용자 DB와 연동) - Proxy 사용 설정과 해제가 편해야 한다. (ActiveX) - 안정성 확보되어야 한다. - 사이트별, 이용자별, IP별, 시간대별 등 다양한 이용통계 기능 제공 - 불량 이용자 관리 기능 - 출력 IP를 다변화 시킬 수 있어야 한다. (원문 다운로드의 제약) [4. 원외접속] - 관리자가 원하는 것은? 36
VPN (Virtual Private Network)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public network)을 사용하여 사설망(private network)을 구축하게 해주는 기술" "마치 기관 내부에 PC를 설치한 것 같은 효과" VPN 을 언제 사용하나? "나사원은 미국 출장 중 이다." "본사의 파일서버에 있는 중요한 계약서를 보고 싶다." "본사는 방화벽으로 막혀있어, 내부에서만 파일서버에 접근가능하다." Proxy 와 VPN 의 차이점 - Proxy는 여러명의 접속자가 1개의 인터넷용 IP를 같이 사용한다. 100명이 접속해도 기관 IP를 1개만 사용한다. - VPN은 여러명의 접속자가 각각의 IP를 할당받는다. 100명이 접속하면 100개의 기관 IP를 할당해야 한다. - Proxy는 대개 인터넷 전용으로 사용하지만 VPN은 기관내에서 사용가능한 모든 프로토콜을 사용가능하다. [4. 원외접속] - VPN의 개요 37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 더블클릭!" -> "로그인 통과 후개인 즐겨찾기 사이트로 이동" [5. 플랫폼 그 이상의 가치] 38
플랫폼의 진정한 가치 = "사용자를 위한 정성과 배려" "전자저널 목록관리 플랫폼" "메타검색" "플랫폼" "링킹솔루션" "원외접속 서비스" "전자저널원문은 1개" -> "이용하는 관점에 따라 3개의 솔루션" [5. 플랫폼 그 이상의 가치] 43
네이버가 이상해요! 1. 악성코드가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피해 - 트로이 목마 : 몰래 잠입하여 의도하지 않은 기능을 수행 - 원격관리 프로그램 : 해커에게 해킹의 수단으로 활용됨 - 키입력 감시 : 키보상에서 입력되는 각종 ID/PW, 주민번호, 신용카드번호 등 유출 - 분산서비스 거부공격(DDoS) : 특정 사이트를 마비시키려 트래픽 발생 - 스파이웨어/애드웨어 : 사용자 정보 수집 2. 피싱기법(phising)과 피해사례 데모 -금융기관 등의 웹사이트 등을 위장하여 개인의 인증번호 등을 빼내 불법적으로 이용 -개인정보(private data) 와 낚시(fishing)을 합성한 용어 -http://www.naver.com [6. 실전연습] 인터넷이 안 되요1 44
네이버가 이상해요! 3. hosts 파일과 DNS 서버 - http://www.naver.com - DNS (Domain Name Server) :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경 - hosts 파일 : 도메인 이름 분해를 임의로 지정 가능 - 윈도우가 도메인을 분해하는 순서 : 캐쉬 -> hosts파일 -> DNS 서버 [6. 실전연습] 인터넷이 안 되요1 45
네이버가 이상해요! 4. 방지하려면? - 의심 사이트 방문 안함 - 의심 메일 열지 않음 - 보안등급 설정 : 인터넷 보안 설정을 "높음"으로 설정, 주기적으로 쿠키 전체 삭제 - 쉐어웨어 주의 - P2P 서비스 조심 - 메신저 서비스 주의 : 자료 교환시, 메신저 웜 (check this ~ xxx.aaa.com/) - 악성코드 탐지 프로그램 주기적 검사 http://www.pcfree.co.kr/ (주의 : 설치 시 제작지원에 체크 풀고 설치 (애드웨어)) [6. 실전연습] 인터넷이 안 되요1 46
[6. 실전연습] 인터넷이 안 되요2 • 출판사 사이트가 이상해요! - 출판사 사이트의 오류 메시지 사례 1 "IE 브라우저의 특정 버전이면서, PC에 설치된 다른 프로그램과 충돌을 일으킨 경우" - 출판사 사이트의 오작동 사례 1 http://www.aaa.com/openurl.asp?genre=journal&issn=1619-4500 "사이트 개편 후 OpenURL" 형식의 URL 이 비정상적으로 동작" http://www.aaa.com/content/1619-4500 "URL 형식을 바꿀 경우 정상동작" - 해결책 "일시적, 특수한 환경일 경우에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출판사 사이트는 안전 ^^" "일단, 전산팀과 협의 후 해결하거나, 한국 지사에 문의한다!" 47
[6. 실전연습] 인터넷이 안 되요3 • 전자저널이 안 열려요! - 에러 해결의 일반적인 방법론은? - 네트워크의 문제? - 사용자 PC의 문제? - 웹브라우저의 문제? - 프록시의 문제? - 자동설정스크립트의 문제? - 출판사 사이트의 문제? - 기관 IP 등록의 문제? - 원문 구독 권한의 문제? 48
12년을 한결 같이 저널피아는 항상 고객 여러분의 입장에서, 보다 나은 서비스와 솔루션으로 다가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