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0 likes | 2k Views
건설사업관리 적용방안. 2011. 3. Contents. Ⅰ. 건설사업관리 (Construction Management) 1. 개 요 1.1 CM 의 필요성 / 1.2 시설물의 Life Cycle / 1.3 CM 의 적용 / 1.4 CM 의 개념 2. Project Mngt. 와 Program Mngt. 2.1 사업관리 / 2.2 프로그램 관리 3. CMBoK 과 CM 형태 3.1 CMBoK / 3.2 CM 형태 4. CM 사례 및 체계
E N D
건설사업관리 적용방안 2011. 3
Contents Ⅰ.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1. 개 요 1.1 CM의 필요성 /1.2 시설물의 Life Cycle / 1.3 CM의 적용 / 1.4 CM의 개념 2. Project Mngt.와 Program Mngt. 2.1 사업관리 / 2.2 프로그램 관리 3. CMBoK과 CM 형태 3.1 CMBoK /3.2 CM 형태 4. CM 사례 및 체계 4.1 수행 사례 /4.2 CM 수행체계 /4.3 CM 주체
Contents Ⅱ. 국내 CM의 현황과 개선방향 5. 국내의 CM 적용을 위한 여건 6. CM사업의 CM 적용방향 6.1 설계,시공 등분야의 상호협조 /6.2 현행 CM사업의 CM 적용방향 6.3 기존 감리업무외 중점 고려분야 7. Issue 8. 개선방안 8.1 제도 및 정책 대안 / 8.2 주체별 실천방안 9. 기대효과 9.1 발주자의 Benefit / 9.2 CM 활용을 통한 기대
Contents 부 록 1. Constructability / Maintainability/ 파트너링 2. CM관련 주요 Issue (별첨) 3. CM의 업무 일람(별첨) 4. 일본의 경우 (별첨) * 관련 홈페이지 *
1.1 건설사업관리(CM)의 필요성 • 건설생산 주요요소(Q, C, D, S )의 최적화 • “2마리 토끼 쫓다 다 놓친다”-> 팀 작업에 의해 여러 마리 포획 가능 • 예 : VE ⇒ Q & C의 최적화 • 건설생산 Life Cycle의 통합 • separated tasks -> integrated tasks • 예 : Constructability⇒계획 및 설계, 시공의 연계/통합 • Maintainability ⇒ 계획 및 설계, 유지관리의 연계/통합 • 건설생산주체의 협조 및 조정 • 프로젝트가 진행, 주체간 대립/적대관계 -> 협조관계 필수적 • 예 : Partnering ⇒ “Same Boat !”
1.2 시설물의 Life Cycle • 프로젝트 착상 및 타당성 분석 (concept and feasibility studies) • 엔지니어링 및 설계(Engineering and design) • 구매·조달(Procurement) • 시공(construction) • 시운전 및 완공(Start-up and implementation) • 운영 및 사용(Operation or utilization)
<프로젝트의 Life Cycle과 영향도>
1.3 건설사업관리(CM)의 적용 • 프로젝트의 대규모화, 복잡화 • 공기, 원가, 품질 등의 요구조건 엄격화 • 체계적인 관리기법 필요 • 생산주체(발주자, 설계자, 시공자)들의 유기적 협조 • Life Cycle의 연계 및 통합 특히, 한국의 경우,계획/설계와 시공, 유지관리의 유기적인 협조 • Q, C, D 등의 Trade-off 관계의 최적화 • 프로젝트 초기단계에 대한 중점관리 • 궁극적으로 프로젝트의 Goal달성
1.4 건설사업관리(CM)의 개념 1) 건설관리 - 건설(Construction)과 관리(Management)의 두 단어의 영문 첫 자 - 원래 CM은 발주자를 도와서 프로젝트의 계획, 설계, 조달, 시공 등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계약의 한 형태로 출발 - 현재는 그 기능에 따라서 여러 형태의 CM 계약방식이 이용됨 2) 건설사업관리 - 건설산업기본법 / 국가계약법 /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1.4 건설사업관리(CM)의 개념 • 시간, 범위, 비용, 품질 등을 관리할 목적으로 • 프로젝트 착상에서 완성까지의 기획, 설계, 시공 과정에 적용되는 • 전문적인 관리과정 (CMAA) • - 프로젝트 계획, 설계 및 시공단계를 통합화된 업무로 간주 • - 발주자, 설계자, CMr, 시공자 등을 비적대적인 관계로 통합 • 설계의 시작에서 공사종료시까지의 팀이 되어 함께 작업하며, • 발주자의 요구에 대해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통목표 • - 발주자에게 최대가치의 프로젝트를 가장 경제적인 시간 내에 실현 • 우수한 CM의 본질은 전문성(각 고유기술 및 건설관리기술)과 팀웤 / 경험
2. 프로젝트 관리와 프로그램 관리 • 2.1 프로젝트 관리 • 1) 프로젝트의 개념 • 조직은 일(work)을 수행 • 일(work): 운영(operation) 또는 프로젝트(project)를 의미 • 운영(operation): 계속적이고 반복적 • 프로젝트(project): 한시적 / 유일 • 한시적 - 명확한 시작과 끝 • 유일 - 유사한 모든 제품 또는 서비스와 뚜렷하게 구별
2.1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2) 프로젝트의 예 •신제품 또는 서비스 개발 •조직의 구조, 인사, 스타일의 효율적 변화 •신규 차량 개발 •새로운 또는 개선된 정보 시스템 개발 •건물 또는 시설 건설 •정치적 사무소의 캠페인 실행 •새로운 업무 절차 실행
2.1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 3)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 목적 : 프로젝트의 전 생애에 걸쳐서 범위, 비용, 시간, 품질, 참여자 만족 등의 측면에서 미리 정해둔 목적을 달성 • 수단 : 현대적인 관리기술을 이용하여 인적․물적 자원을 사용하고 조정하는 기술 • 프로젝트의 관련자(stakeholder)의 필요와 기대를 충족 / 초월하기 위해 프로젝트 활동에 지식, 기술, 도구, 기법을 응용하는 것
< PMI의 PMBoK > • 프로젝트 통합관리(Project Integration Management) • 프로젝트 범위 관리(Project Scope Management) • 프로젝트 시간관리(Project Time Management) • 프로젝트 비용관리(Project Cost Management) • 프로젝트 품질관리(Project Quality Management) • 프로젝트 인적자원 관리(Pjt. Human Resource Mngt.) •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관리(Pjt. Communication Mngt.) •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Project Risk Management) • 프로젝트 구매 관리(Project Procurement Management)
2.2 프로그램 관리(Program Management) • 프로그램 •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적이고 설득력 있는 정의 • : 어느 정도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있는 프로젝트들의 집합 • 즉, 프로그램은 개별적으로 관리해서는 얻을 수 없는 이익을 • 확보하기 위해 조정된 방법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의 집합
2.2 프로그램 관리(Program Management) • 2) 프로그램 관리방식 * ‘7.issue’참조 • 최근에 생겨난 개념 • 대단위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 • 프로그램 관리의 서비스는 • 대부분 설계서비스나 직접적인 시공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며, • 단지 전체 프로그램에 관련된 수많은 개별 프로젝트에 대한 전체적인 관리서비스만을 수행
3. CMBoK와 CM 형태 3.1 CMBoK 1) CMAA (1) 프로젝트 관리 (2) 비용 관리 (3) 시간 관리 (4) 품질 관리 (5) 계약 행정 (6) 안전 관리 * Construction Management Standards of Practice, 2010 Ed.에추가 (7) ProgramManagement (8) Sustainability (9) Risk Management (10)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3. CMBoK와 CM 형태 3.1 CMBoK 2) [건설사업관리업무지침]의 “건설사업관리 업무내용” (1) 사업관리 일반 (2) 계약 관리 (3) 사업비 관리 (4) 공정 관리 (5) 품질 관리 (6) 안전 관리 (7) 사업정보 관리 (8) 기타
3.2 CM 형태 : Agency CM vs. GC/CM 서울시립대 건축공학전공
Project Team (예) Owner/Client Construction Management Firm Builder Architect/Engineer 서울시립대 건축공학전공
3.2 CM 형태 1)Agency CM또는 CM for Fee - 설계나 실제적인 시공업무를 수행하지는 않는다. - 제공업무 : 발주자의 사내 자원이나 설계전문가들과 기타의 컨설턴트들이 제공하는 업무에 따라 다름. - 설계, 시공, 장비 등을 위한 모든 계약은 발주자와 직접 체결 2) GC/CM또는 CM at Risk - CMr의 임무가 전통적인 건설업의 기능을 포함 - CM이 부가책임을 맡고, 시공단계동안 시공에 대한 책임을 짐 예: 상한가보증계약 (GMP: guaranteed maximum price) - CMr은 전형적으로 일식수급자(General Contractor)와 유사한 법적인 위치
4. CM 사례 및 체계 4.1 프로젝트 사례 - 공공 한전 원자력발전소 경부고속철도 인천국제공항 서울시지하철 2기 서울 월드컵주경기장(건설산업기본법 이후 최초. ’98.8) 부산컨벤션센터, 부산정보단지 전주, 광주, 서귀포 월드컵주경기장 담배인삼공사 남원원료공장 현대화사업 서울시 광진구민회관 및 구의회 청사 CM 시범사업 :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익산지방국토관리청, 대한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인천국제공항철도 민간투자사업 사업관리기술지원 인천국제공항2단계 건설사업관리기술지원 국립과학관, 동대문 디자인파크, 세종시, 세운상가 4구역(도시재생) 등 등 등…
4. CM 사례 및 체계 4.1 프로젝트 사례 - 민간 중앙일보, 동방생명 한솔사옥 대림아크로빌 Mesa 프로젝트 Schlumberger 프로젝트 부산 가덕신항만 프로젝트 트리폴리스 타워팰리스 이 마트 인천공항철도 등 등 등 …
4. CM 사례 및 체계 4.2 CM 수행체계 1) 전래적 방식 2) 대리인형 CM 3) 시공자형 CM 4) One-stop형(Single-point형) CM 5) 프로그램 매니지먼트형
4. CM 사례 및 체계 4.3 CM의 주체 1) CM 전문회사 2) 감리회사 3) 건설관련 컨설턴트회사 예 : 부동산 개발회사, 소프트웨어회사 등 4) 엔지니어링 및 설계회사 5) 건설회사 6) 발주자 w/ 지식, 경험, 전문성 등
5. 국내의 CM 적용을 위한 여건 • 건설산업기본법(‘97), • 국가계약법(‘99), • 건설기술관리법(‘00)에 건설사업관리제도 도입 • * 「공공사업 효율화 종합대책」(‘99.3) 및 관련법령 개정에서 • 예비타당성조사 실시, 설계VE 적용, 기술개발보상제도 활성화, LCC 적용, • EVMS 적용, 턴키 및 대안입찰 활성화 등 제시 • *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개정 • 대형 공공건설사업의 설계VE, 사후평가 등 의무화 •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 • 건설사업관리 대가산정기준 • 건설사업관리자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
5. 국내의 CM 적용을 위한 여건 • CM과 관련된 제도가 정비/보완 중 * 앞쪽 슬라이드 참조 • 기술력 축적 및 전문인력 양성 • 건설생산시스템의 변화 • CM의 업무 수준 • 기본에 충실
6. CM사업의 CM 적용방향 6.1 설계, 시공 등 분야의 상호협조 • 설계와 시공, 유지관리 분야가 서로 긴밀히 협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 Constructability (시공성 분석), Maintainability (유지관리성 분석) • 파트너링 *** 부록 1 참조 • 2) 설계단계에 대한 중요성 인식 및 중점관리 • 설계검토(Design Review) 내실화 및 체계화 • 설계감리 내실화 및 확대 • 설계VE 적용으로 대안 제시 • Constructability 개념을 이용한 시공성 분석
6. CM사업의 CM 적용방향 6.2 현행 CM사업의 CM 적용방향 1) 설계와 시공분야 상호 협조 * 앞쪽 슬라이드 참조 2) CM 적용 과정에서 적용이 손쉬운 것과 시급한 것부터 시행 -원론은 동일, 각론은 차별 - CM이 추구하는 바의 장점을 취하고 우리 실정에 맞게 활용. 3) 발주자와 CM단의 긴밀한 협조 - 상호 이해 및 신뢰는 해당 프로젝트의 성공여부와 직결 - 발주자와 CM단의 업무는 성격상 중복될 우려 ---> 적절한 업무․권한․책임의 분담
6. CM사업의 CM 적용방향 6.3 기존 감리업무 외 중점 고려분야 1) 시공성분석, 가치공학(VE)기법의 적극적 활용 2) 비용과 공정의 효율적 관리 : Earned Value 3)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gMIS(Program MIS) 4) 클레임과 분쟁에 대한 대처 대체 분규해결방안(ADR :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분규해결협의체(DRB : dispute resolution board) 5) 파트너링 워크샾의 활용
6) Fast Track 서울시립대 건축공학전공
6) Fast Track ⅰ) 용어 Phased Construction Method, Fast Track Method 단계별 시공방식 (?), 고속궤도방식 (?) ---> 설계시공병행방식, 병행시공방식, 중첩시공방식 ⅱ) 得과 失 ⅲ) 힌트 !
7. Issue • Program Management • 신도시 (행복도시, 혁신도시, 기업도시, 신도시 등), 도시재생 • 인천공항, 미군기지 이전 • 2) BOT, BTL, PF 사업 • SOC, 교육시설, • 도시재생사업: 세운상가 개발, 용산 개발, 재개발, 재건축 등 • 3) CM at Risk 준비 • 4) 메가 프로젝트 건설관리 시스템 개발 • : Program Management 시스템 (i-PgMIS) • : 국토해양부 대형R&D (6년 6개월)
8. 개선방안 8.1 제도 및 정책 대안 1) 발주방식 다양화 : CM at Risk 도입 - 진행중 2) CM 용역대가의 현실화 3) Best-Value에 의한 평가방식 4) 변별력 있는 제안서 평가 시스템 구축 5) 발주지침서, (표준)계약서, (표준)입찰안내서 개발 6) 계속비계약 지향 및 예비비 확보 7) 프로젝트 수행 결과에 대한 사후평가
8.2 주체별 실천방안 : 발주자 측면 • 인식 전환 : CMr과의 협조관계등 • 자체 역량평가: “발주자가 똑똑해야 프로젝트 성공” • CM방식의 활용에 대한 발주자 교육 • 프로젝트 목표 및 범위의 명확한 설정 : 발주자의 기대와 요구사항의 명확한 기술 • 발주자 및 CMr의 책임과 권한의 적절한 설정 • CM방식의 효과를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 / 기법 활용 : 전문가 / CMr 협의등 • CM방식 적용사례 평가 및 사례집 개발
8.2 주체별 실천방안 : CMr / CM 회사 측면 •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와의 협조관계 • CMr의 리더쉽 및 의사소통 증진방안 마련 • 전문분야의 노하우(Know-how) 확보 • CM 분야별 전문가 양성 : 비용, VE, 공정, 계약 및 클레임 분야등 • 기술개발 투자: KMS, 매뉴얼 및 절차서 • CM의 업무 범위 명확화 • 입찰/계약 업무수행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 • 프로젝트 사후관리 방안 마련 • 신뢰와 좋은 평판의 확보 • 업무영역의 다각화
8.2 주체별 실천방안 : 건설사 측면 • 발주자, CMr과의 협조관계 • 파트너링, DRB • 합리적 공사계획 및 관리 • 시공단계의 건설관리 • 건설사업관리기술 확보를 통한 CM at Risk 진출 • 설계관리, PMIS, VE, EV, 클레임 분야 등 • CM 전문가 확보를 통한 CM 기술력 함양
9. 기대효과9.1 CM을 통한 발주자의 Benefit • ☞ 발주자 Side ☞ 감리 외 전문업무 ☞ 갈등, 분쟁 예방 / 완화 / 해결 ☞ 설계, 시공 등 연계 ☞ Black Box vs. Glass Box • Professional 건설사업관리 ⇒ 우수한 품질, 사업비 절감, 사업기간 준수/단축
C M 기대효과 9.2. CM 활용을 통한 기대 • 기술력 향상을 통한 건설기술의 개발 • 비용절감 / 품질향상을 통한 건설 생산성 향상 • 체계적 관리기법 정착 / 국내 건설관리기술의 선진화 • 부족한 국가자원의 효율적 사용 • 건설산업 발전 / 국제경쟁력 강화 • Hardware적 건설기술, Software적 건설관리기술 • 생산성 향상 • 자원의 효율적 활용 - 다른 필요 분야에 사용 -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자원 투자 • 건설산업 발전과 국제경쟁력 강화 -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길
부 록 1. Constructability / Maintainability / 파트너링 2. CM관련 주요 Issue (별첨) 3. CM의 업무 일람 (별첨) 4. 기 타(별첨)
1.1 Constructability / Maintainability 1) 시공성/유지관리성분석의 개념 • -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 설계, 구매, 현장운용에 • 시공/유지관리 지식과 경험을 최적으로 활용하는 것 • - 설계VE의 촉진제 역할 및 설계VE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도움 • - TQM(Total Quality Management), Design-Build, 파트너링, Concurrent • Engineering 등과 호환성이 있어 서로 보완관계 • 시공성/유지관리성 분석은 최소의 생애주기비용을 획득한다는 측면에서 • VE와 연관성이 크며, 목적도 유사
1.1 Constructability / Maintainability 2) 프로젝트의 통합화 • 시공성/유지관리성분석 개념의 가장 중요한 속성 • : 프로젝트의 초기단계에 시공유지관리 지식과 경험을 • 투입함으로써 프로젝트 관리의 합리화 추구 • VE 적용을 통해 • 경험이 많은 시공자/유지관리자를 계획과 설계단계에 • 참여시킴으로써 설계와 시공/유지관리의 통합화 추구
1.2 파트너링(Partnering) 1) 개 념 • 신뢰를 바탕으로 당사자 간의 합의에 의해 수립된 공동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상호협력적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해 나가는 것 • 파트너링 정의 •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프로젝트 관련자들과 관계의 본질을 바꾸어서, • 이들을 하나의 팀으로 만들고자 하는 시도 • 대립적인 관계를 조직적 경계에 관계 없이 공유하는 문화(shared • culture)로 바꾸고자 하는 방법 • 신뢰, 공통의 목표에 대한 헌신, 상대주체의 기대와 가치에 대한 이해 • 기대효과 • 능률향상과 비용의 절감, 공사기간의 단축, 분쟁(claims)의 축소 • VE의 활성화, 지속적인 품질향상
1.2 파트너링(Partnering) 2) 파트너링과 VE • VE에 대한 프로젝트 관련주체들의 태도 변화 • 파트너링 워크샾은 VE에 의한 아이디어들을 초기에 토론하기 위한 매우 좋은 기회를 마련 • 시공자, 설계자, 발주자들이 함께 도출한 기술과 혁신내용은 훌륭한 VE 기회 제공 • VE 공동제안 (Value Engineering Joint Proposal, VEJP)
1.2 파트너링(Partnering) 3) 파트너링 성능비교
* 관련 홈페이지 * • 건설관리 및 정책연구실(서울시립대) • http://cemuos.uos.ac.kr • 한국건설관리학회 • http://www.kicem.or.kr • 한국CM협회 • http://www.cmak.or.kr • 한국건설VE 연구원 • http://www.kcve.or.kr • 메가프로젝트 건설관리시스템 개발 • http://www.mega-c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