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7

대기와 해양의 운동

2012. 2 학기 인천대학교 지구과학. 대기와 해양의 운동. 대기 / 해양이 움직이는 이유. 태양복사에 의한 지표면의 위도별 차등 가열 Why? 태양빛과 지표면이 이루는 ( ) 차이 , 즉 태양빛의 입사 ( ) 차이 때문 고위도로 갈수록 햇빛은 점점 비스듬히 지표면에 들어오게 되어 같은 시간동안 같은 양의 햇빛을 받아도 저위도에 비해서 따뜻하지가 않다. 연평균 복사량의 위도 분포. 들어오는 태양복사 에너지는 위도별로 차이가 크다

cale
Download Presentation

대기와 해양의 운동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012. 2학기인천대학교 지구과학 대기와 해양의 운동

  2. 대기/해양이 움직이는 이유 • 태양복사에 의한 지표면의 위도별 차등 가열Why? 태양빛과 지표면이 이루는 ( ) 차이, 즉태양빛의 입사 ( ) 차이 때문 • 고위도로 갈수록 햇빛은 점점 비스듬히 지표면에 들어오게 되어같은 시간동안 같은 양의 햇빛을 받아도 저위도에 비해서 따뜻하지가 않다

  3. 연평균복사량의 위도 분포 • 들어오는 태양복사 에너지는 위도별로 차이가 크다 • 지구복사로 나가는 열량은 위도별로 차이가 크지 않다 • 저위도: 들어오는 열량 > 나가는 열량고위도 :< Q. 그러면, 왜 저(고)위도 지방은 매년 일방적으로 온도가 증가(감소)하지 않는 것일까?

  4. 2011. 2학기인천대학교 지구과학 대기의 운동(기류)

  5. 대규모 공간 스케일이 큰 현상은시간 스케일도 길다! 종관규모 중규모 미규모 http://apollo.lsc.vsc.edu/classes/met130/notes/chapter9/scales.html

  6. 공간적 규모 • 대규모 (large-scale): 무역풍, 편서풍 파동, 계절풍 • 종관규모 (synoptic scale): 고기압, 저기압, 태풍 • 중규모 (meso-scale): 해륙풍, 산곡풍, 뇌우 • 미규모 (microscale): 대기 경계층 내의 난류(turbulence), 와동(eddy)

  7. 공간적 규모 • 대규모 (large-scale): 편서풍 파동, 무역풍, 계절풍 • 종관규모 (synoptic scale): 고기압, 저기압, 태풍 • 중규모 (meso-scale): 뇌우, 해륙풍, 산곡풍 • 미규모 (microscale): 대기 경계층 내의 난류(turbulence), 와동(eddy)

  8. 해들리 순환 Q. 해들리 순환이 30도 이상으로 넘어가지 못하는 이유는? Image courtesy of Tinka Sloss

  9. 바람과 기압과의 관계 • 지균풍- 기압경도력, 전향력이 균형- 오른쪽에 고압, 왼쪽에 저압을 두고 부는 바람- 해양의 ( )와 같은 개념 • 경도풍:(기압경도력)과(전향력+원심력)이 균형 • 대규모의 운동, 상층에서 잘 성립

  10. 바람과 기압과 온도와의 관계 • 온도풍 (VT)- 지균풍의 연직적 차이(V상-V하)- 오른쪽에 고온, 왼쪽에 저온을 두고부는 바람 • 온도풍 관계온도의 수평 경도와지균풍의 연직 변화의 관계남북방향의 기온경도에 의해서풍의 지균풍이 고도에 따라 증가 극 적도 Q. 녹색 동그라미 표시는?1.동풍 2.서풍 3.남풍 4.북풍

  11. 편서풍 파동 • 위도별 차등 가열 남북간 수평 온도 차이가 증가 고도에 따른 편서풍의 증가 비율이 커짐 불안정해지면서 파동(수 천 km 파장)이 발생 이 파동이 굽이 치는 동안,북측의 한기를 아래로, 남측의 난기를 위로 수송함

  12. 편서풍 파동 • 실내 실험

  13. 계절풍

  14. 공간적 규모 • 대규모 (large-scale): 편서풍 파동, 무역풍, 계절풍 • 종관규모 (synoptic scale): 고기압, 저기압, 태풍 • 중규모 (meso-scale): 뇌우, 해륙풍, 산곡풍 • 미규모 (microscale): 대기 경계층 내의 난류(turbulence), 와동(eddy)

  15. 고기압, 저기압 • 상층의 편서풍 파동은 지상의 H과 L을 발생시킴 중위도 온대저기압

  16. 강수량의 1st peak: 열대수렴대에서의 활발한 대류활동 • 강수량의 2nd peak: 중위도에서의 온대저기압

  17. 대기 중 열의 북쪽 수송량 a: 전수송량 b: 해들리 순환 c: 편서풍 파동(a = b + c) 중위도에서는 c가, 저위도에서는 b가 남북수송을 담당함

  18. 대기 대순환 모델의 변천 Fig. 1. Three models of the general circulation:(a) a simple single cell in each hemisphere; (b) a more realistic three-cell circulation; (c) an accurate modelshowing the role of waves in middle latitudes. N, North Pole; S, South Pole; H, high pressure; L, low pressure. http://science.jrank.org/pages/47609/general-circulation-atmosphere.html

  19. 태풍 • 열대저기압(전선이 없음)

  20. http://www.satam119.com/bbs/board.php?bo_table=894&wr_id=41

  21. 역할적도-극 지역 간 에너지(온도,수분) 차이를 조절 • 발생 조건1) +- 5도 이상의 위도 지역 2) 따뜻한바다(26.5도 이상)3) 조건부 불안정 대기: 고온다습한 대기 4) 작은 저기압성 소용돌이들5) 수렴성 주변 기류: 무역풍의 수렴(ITCZ)6) 편동풍 파동: 북동무역풍 내에서 발생한 수평 파동* ITCZ: 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 (적도수렴대)

  22. 극-적도간 온도차가 앞으로 더욱 커진다면, 태풍의 발생 개수는 증가할까 감소할까? 증가 1, 감소 2

  23. 발생 지역 및 이동 경로

  24. 공간적 규모 • 대규모 (large-scale): 편서풍 파동, 무역풍, 계절풍 • 종관규모 (synoptic scale): 고기압, 저기압, 태풍 • 중규모 (meso-scale): 해륙풍, 산곡풍, 뇌우 • 미규모 (microscale): 대기 경계층 내의 난류(turbulence), 와동(eddy)

  25. 해륙풍 • 규모와 주기에 차이가 있을 뿐 원리는계절풍과 동일 • 인천대는여름에해풍으로 인한 기온의냉각이 있음?

  26. 산곡풍

  27. 공간적 규모 • 대규모 (large-scale): 편서풍 파동, 무역풍, 계절풍 • 종관규모 (synoptic scale): 고기압, 저기압, 태풍 • 중규모 (meso-scale): 해륙풍, 산곡풍, 뇌우 • 미규모 (microscale): 대기 경계층 내의 난류(turbulence), 와동(eddy)

  28. 행성 경계층 (PBL) = 대기 경계층 자유대기 상단역전층 흡입지대 잔류층 혼합층 안정경계층 접지층

  29. 혼합층의 두께 - 약 1 ~ 2 km 두께- 봄, 가을에 발달

  30. 마찰의 영향 • 풍속의 약화 + 풍향의 변화 • 지상풍:대기 경계층(지상)에서는 지면 마찰 때문에등압선에 평행하게 바람이 불지 않고,고기압의 중심에서는 바람이 불어 나오고저기압의 중심에서는 바람이 불어 들어간다

  31. 기압경도력 지균풍 (상층풍) 전향력 지상풍 마찰

  32. 거의 전체층:수압경도력=원심력(각운동량 보존) • 마찰:- 수평 운동량의 연직 하방 전달- 연직방향의 운동량 경도 약화 • 찻 잔 속의 역학:1차 순환 (primary cir.)- 차 전체의 주된 순환2차 순환 (secondary cir.)- 잔 밑바닥의 마찰로 발생-spin-down의 가속화 밑바닥 부근:마찰로 인해 ( ) 약화 수압경도력>( ) 중심을 향해 수렴,상승

  33. 큰 규모에서 작은 규모로 에너지가 전달/소산됨! http://apollo.lsc.vsc.edu/classes/met130/notes/chapter9/scales.html

  34. 2011. 2학기인천대학교 지구과학 해양의 운동 (해류)

  35. 난류와 한류 (why? 증발) (why? 식물성 플랑크톤 적음)

  36. 해류 • 해수의 흐름 • 형성 원인에 따라1) 취송류: 바람에 의한 표층 해류. 풍성해류. 마찰류2) 경사류: 기압차, 물의 유입 등 해면경사에 의한 해류 ex) 적도 반류3) 밀도류: 밀도(수온,염분)차에 의한 해류. 심층류4) 지형류: 수압경도와 전향력의 균형에 의한 해류 • 보류: 보충류 ex) 용승류, 침강류

  37. 작용하는 힘 • 압력 경도력- 기압/수압 경도력 • 전향력 해수 저수압 고수압 저수압 저수압 ㅎ

  38. 에크만 취송류 취송류 약 100 m,유속 1/수십 남반구에서는 왼쪽 90도 방향 마찰층: 에크만 층

  39. 지형류 • 북태평양해류 • 북적도 해류

  40. 보류 • 용승(upwelling) / 침강(downwelling) • 북반구 대륙의 서안의 경우

  41. 미국서부 • 해수면 온도 분포 • 노랑~빨강은? • 보라색은?

  42. 표층 해양의 순환 캘리포니아해류

  43. 서안강화 현상 지구 자전의 영향으로, 유속이 빠르고 폭이 좁은 해류가 서쪽 해안에 나타나는 현상

  44. 심층 해양의 순환 (열 염분 순환) • 해수의 온도(열)와 염분의 차에 의한 밀도차에 의해수온약층 아래에서 천천히 흐르는 해수의 흐름 침강지역:1) 남극대륙 웨델 해2) 북대서양 그린란드 해의 냉각 및 결빙 염분 증가 밀도 증가 침강 심층수 순환 가동 순환주기: 평균 500년~2000년

  45. 역할1) 표층 순환과 달리, 전 수심에 걸쳐서 일어나는 순환 해수 순환 및 극-적도 지역간 열적 평형에 기여2) 용존 산소가 풍부한 표층 해수를 심해로 운반  심해 생물 생존 • 지구온난화로 빙하 융해  극 지역 해수 염분 감소  밀도 감소  해수의 침강 약화  심층 순환 약화  극-적도간 온도차 증가  기상현상 악화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