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likes | 410 Views
Multimedia. 3 주. Contents : Image. 1 벡터와 비트맵 이미지 2 디자인의 시각요소 3 이미지 파일 포맷. 1. 벡터이미지와 비트맵이미지의 비교. 벡터 이미지 점과 점을 연결하는 수학적 함수관계에 의해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서 선과 면을 생성 작업시 확대 / 축소가 자유롭고 저장 용량 또한 현저히 감소 벡터 이미지는 ' 베지어 ' 라는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것이 이미지의 형태와 모양을 결정 베지어는 점과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곡선으로 구성
E N D
Multimedia 3주
Contents : Image • 1 벡터와 비트맵 이미지 • 2 디자인의 시각요소 • 3 이미지 파일 포맷
1. 벡터이미지와 비트맵이미지의 비교 • 벡터 이미지 • 점과 점을 연결하는 수학적 함수관계에 의해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서 선과 면을 생성 • 작업시 확대/축소가 자유롭고 저장 용량 또한 현저히 감소 • 벡터 이미지는 '베지어'라는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것이 이미지의 형태와 모양을 결정 • 베지어는 점과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곡선으로 구성 • 베지어를 조절하는 점을 '앵커 포인트'라 함 • 앵커 포인트와 앵커포인트를 연결하는 선을 '세그먼트'라 함 • 벡터 폰트
1. 벡터이미지와 비트맵이미지의 비교 • 비트맵 이미지 (=래스터 이미지) • 픽셀이라 불리는 작은 사각형의 점들로 이미지를 표현 • 확대해서 보면 아주 작은 사각형의 컬러입자 • 고해상도 : 1인치 면적 안에 픽셀의 수가 많은 것 • 저해상도 : 1인치 면적 안에 픽셀의 수가 적은 것 • 대표적인 프로그램 : 포토샵 • 인터넷이나 컴퓨터에 쓰여지는 사진은 모두 비트맵방식의 이미지이다. • 비트맵 이미지는 서로 다른 색상들의 픽셀들이 어우러져 깊이 있는 색조와 부드러운 질감을 표현 • 단점 : 확대/축소 혹은 이미지변형 작업에서는 이미지의 손상 발생 • 비트맵 폰트 (=래스터 폰트)
1. 벡터이미지와 비트맵이미지의 비교 (2/2) 벡터이미지 비트맵이미지 벡터이미지 비트맵이미지
2. 디자인의 시각요소 RGB의 색채모델 : Red, Green, Blue CMYK의 색채모델 : Cyan, Magenta, Yellow, blacK HSV색채모델 : Hue(색상), Saturation(채도), Value(명도) HLS : Hue, Lightness, Saturation CMYK의 색채모델(색의 삼원색) RGB의 색채모델 (빛의 삼원색)
2. 디자인의 시각요소 CMYK RGB
2. 디자인의 시각요소 • Hue varies around the solid. • lightness varies from top to bottom. • saturation i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HSV 또는 HLS 색채모델
2. 디자인의 시각요소 명도 콘트라스트의 강약
2. 디자인의 시각요소 채색 콘트라스트의 효과비교
기타 • 각 비트 당 이미지의칼라 표현
3. 이미지 파일포맷 • 비트맵 (래스터) 방식의 파일 포맷 • BMP • GIF • JPG • PNG
비트맵 (래스터) 방식의 파일 포맷 • BMP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지원, 비트맵 방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포맷. • 파일의 크기 및 기타 파일 관련 정보를 파일 헤더에 두고 각 픽셀의 컬러 값을 그대로 표시하는 방법. 파일의 크기가 큰 것이 단점
비트맵 (래스터) 방식의 파일 포맷 • GIF • 미국 통신회사인 CompuServe사에서 저속 모뎀에서 업,다운로드를 할 목적으로 개발 • 8bit 인덱스 칼라를 지원하는 대표적 압축 포맷 • 컬러수가 256색(8bit)로 제한 • 투명한 배경을 지원 • 칼라값과 연속되는 픽셀의 개수로 표현하는 RLE(Run Length Encording) 방식을 기본
RLE(Run Length Encording) 방식을 기본 수평으로 압축이 진행되므로 수평으로 유사한 이미지의 경우 압축률 증가 일러스트레이션 용 이미지 파일의 경우에 압추효과 증대
인덱스 컬러 (Indexed Color) • 팔레트, 색상 보기표(CLUT:Color Look-up Table) • 팔레트에 미리 정의된 색상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한다. • 화면 상의 한 점은 팔레트의 번호 (인덱스)를 갖고 있으며, 여기에는 RGB값이 기억되어 있음 •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
인덱스 컬러 (Indexed Color) • 사용할 수 있는 색상의 수가 제한된 시스템에서 사용 • 8비트에서 총 256 컬러 수를 사용 • 사용 가능한 색상 수가 제한되어 있어 색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음
제한된 색상을 사용한 노이즈 제거 또는 색 재현 방법 • 디더링 (Dithering) • 제한된수의 색상들을 섞어서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 내는 기법 • 현재 팔레트에 없는 컬러를 유사한 컬러의 패턴으로 표현 • 픽샐당 일정한 비트 수의 이미지를 더 낮은 비트의 이미지로 변환 가능 • 팔레트를 지원하는 대부분의 그래픽 소프트웨어에서 기본적으로 지원
제한된 색상 표현에 의한 노이즈 제거 또는 다양한 색 재현 방법 • 포토샵에서의 디더링 • 디퓨전 (Diffusion): 점들을 임의로 흩어 놓아 자연스런 색을 표현 • 패턴 (Pattern): 점들을 특정 패턴에 따라 색을 섞어 만드는 방식 • Gray 이미지였을 때의 디더링
비트맵 (래스터) 방식의 파일 포맷 • JPEG (*.JPG, JPE) • 인터넷상에서 가장 많이 쓰는 이미지 파일 포맷 중 하나 •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약어 • 1992년 ISO 표준으로 확정 • 사진 압축을 위해 고안된 파일 포맷 • 손실압축 (Lossy) • 24비트 컬러를 사용하며 압축 특성으로 인한 색번짐이 나타날 수 있음 • 압축율이 높은 반면 압축을 높일 경우 질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
JPG 압축률 Low Mideum High 오리지날이미지
비트맵 (래스터) 방식의 파일 포맷 • PNG • 그레이컬러, 8비트 컬러, 24비트 컬러까지 지원 • GIF보다 압축률이 더 높음 (GIF보다 좋은 점) • 투명을 잘 지원 (JPEG보다 좋은 점) • GIF도 투명을 지원하지만, 테두리가 깔끔하지 않음 • 단점 : 애니메이션을 지원하지 않음(GIF보다 나쁜 점) • 애니메이션은 MNG라는 형식으로 따로 지원 • 예전 버전의 웹 브라우저에서는 PNG 형식이 지원되지 않음 • Flash에서는 GIF, JPEG 대신 PNG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벡터그래픽의 파일 포맷 • EPS (Encapsulated Postscript) • 프린터에 사용되는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언어를 활용 • 텍스트의 그래픽 구조 및 폰트, 비트맵 정보를 표시 • WMF (Windows Meta File) • Windows에서 사용하는 메타파일 방식 • 비트맵과 벡터 정보를 함께 표현하고자 할 경우 가장 적합 • AI (Adobe Illustrator) • Adobe Illustrator에서 사용된 파일 포맷 • CDR (Corel Draw) • Corel Draw에서 사용되는 파일 포맷
3차원 그래픽 파일 포맷 • WRL • VRML을 위해 개발된 포맷 • 3차원 객체에 대한 구성 및 그 객체의 위치 정보 표시 • DXF • Aurodesk사에서 자사의 Autocad에 사용학위해 개발 • CAD 소프트웨서 널리 사용 • 3DS • 3D Studio에서 사용된 파일 포맷 • 대부분의 3차원 그래픽 소프트웨어에서 사용
기타 노이즈 제거 방법 • 앤티앨리어싱 (Antialiasing) • 물체 경계면의 픽셀을 물체의 색상과 배경의 색상을 혼합해서 표현하여 경계면이 부드럽게 보이도록 하는 기법 • 앤티앨리어싱을 사용한 경우 훨씬 부드럽게 느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