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likes | 453 Views
CHAPTER 9 TCP 의 이해. 배정환 onlybjh@kunsan.ac.kr 군산대학교 통계컴퓨터과학과 정보과학기술 연구실 2012.04.12. 목차. 전송 계층의 기능 전송 계층 설계 시 고려 사항 TCP TCP 의 데이터 전송. 전송 계층의 기능 (1/2). 전송 계층 기능면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과 특징이 유사함 데이터 링크 계층 은 물리적 으로 , 전송 계층 은 논리적 으로 1:1 연결된 호스트 사이의 전송. 전송 계층의 기능 (2/2). 전송 계층의 주요 기능 흐름 제어
E N D
CHAPTER 9TCP의 이해 배정환 onlybjh@kunsan.ac.kr 군산대학교 통계컴퓨터과학과 정보과학기술 연구실 2012.04.12
목차 전송 계층의 기능 전송 계층 설계 시 고려 사항 TCP TCP의 데이터 전송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전송 계층의 기능(1/2) • 전송 계층 • 기능면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과 특징이 유사함 •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으로, 전송 계층은 논리적으로 1:1 연결된 호스트 사이의 전송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전송 계층의 기능(2/2) • 전송 계층의 주요 기능 • 흐름 제어 • 데이터 링크 계층보다 상대적으로 복잡 • 송신자가 보낼 수 있는 패킷의 한계를 지정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 • 오류 제어 • 데이터 변형, 데이터 분실 오류 • 재전송 기능으로 복구 • 분할과 병합 • 서비스 프리미티브 • 전송 계층 사용자가 전송 계층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 기본적인 서비스로 연결형과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전송 계층 설계 시 고려 사항(1/7) • 전송 계층 설계 시 고려 사항 • 주소 표현 • 멀티플렉싱 • 연결 설정 관리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전송 계층 설계 시 고려 사항(2/7) • 주소 표현 • 네트워크 계층의 호스트 IP + 전송 계층의 포트 번호의 조합은 주소 표현 방식의 하나 • 전송 계층에서의 주소를 보통 TSAP(Transport Service Access Point)라고 함 • 구조적 표현 • 여러 개의 계층적 필드로 구분 • www.korea.co.kr • 비구조적 표현 • 컴퓨터의 논리적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움 • 초등학교의 반 번호, 일련 번호 • IP 주소 • 네트워크와 호스트의 계층적인 정보 제공 • 위치 정보와 관련해서는 비구조적 특징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전송 계층 설계 시 고려 사항(3/7) • 멀티플렉싱 • 상방향 • 다수의 전송 계층 연결을 하부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하나의 연결로 지원 • 네트워크 계층의 가상 회선 연결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음 • 하방향 • 멀티미디어 전송에 유리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전송 계층 설계 시 고려 사항(4/7) • 연결 설정 • 개념적으로 양자 합의가 필요 • Conn_Req • 한쪽의 연결 설정 요구 • Conn_Ack • 상대방의 연결 수락 응답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전송 계층 설계 시 고려 사항(5/7) • 연결 설정 • 실제 통신 환경의 오류 발생 가능성에 대한 고려 • 3 단계 설정 • Data_Req • Conn_Ack에 대한 응답 기능도 수행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전송 계층 설계 시 고려 사항(6/7) • 연결 해제 • 일방적 연결 해제 • 한쪽의 연결 해제 요구에 의하여 연결이 해제 • 전송이 진행중인 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되지 못함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전송 계층 설계 시 고려 사항(7/7) • 연결 해제 • 점진적 연결 해제 • 양쪽의 합의하에 연결이 해제됨 • 전송이 진행중인 데이터의 처리가 계속됨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TCP TCP = 연결형 UDP = 비연결형 TCP = 연결형 UDP = 비연결형 • TCP에서 제공하는 주요 기능 •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 전이중 방식의 양방향 가상 회선을 제공 •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 • TCP에서는 데이터를 세그먼트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TCP TCP 헤더구조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TCP • TCP 헤더의 필드 • Source Port / Destination Port • 송 / 수신 포트번호 • Sequence Number • 송신자가 지정하는 순서 번호 • Acknowledgement Number • 응답 번호 • Data Offset • TCP 헤더의 크기 • Reserved • 예약 필드로서 지금은 사용하지 않음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TCP • TCP 헤더의 필드 • Window • 수신 윈도우의 버퍼 크기 지정 • 값이 0이면 송신 프로세스의 전송이 중지됨 • Checksum • 헤더와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출 • Urgent Pointer • 긴급 데이터의 처리 • 예 ) • Sequence Number=2,000 • Urgent Pointer=100 • 전송하면 2,000번 ~ 2,099번의 데이터는 긴급 데이터로 전송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TCP • TCP 헤더의 플래그 비트 • URG • Urgent Pointer 필드가 유효한지를 나타냄 • ACK • Acknowledgement Number 필드가 유효한지를 나타냄 • PSH • 현재 세그먼트의 데이터를 즉시 상위 계층에 전달하도록 지시 • RST • 연결의 리셋 • 비정상적인 세그먼트에 대한 응답 • SYN • 연결 설정 요청 • FIN • 점진적 방식의 연결 종료 요청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TCP • 캡슐화 • IP 프로토콜에 캡슐화되어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보내짐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TCP • 포트 번호 • TCP, UDP 프로토콜이 상위 계층에 제공하는 주소 표현 방식 • TCP, UDP가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고유의 포트 번호 • Well-Known 포트 • 많이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에 고정된 포트 번호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TCP • TCP의 연결 설정 • 3단계 설정 방식 • A 프로세스가 세 번째 단계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TCP • TCP의 데이터 전송 •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 • A 프로세스가 세 번재 단계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TCP • TCP의 데이터 전송 • 데이터 전송 오류 • TCP는 부정 응답 기능인 NAK를 지원하지 않음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TCP • TCP의 연결 해제 • FIN 플래그를 지정하여 요구 • 상대방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계속 전송할 수 있음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감 사 합 니 다 배정환 onlybjh@kunsan.ac.kr 군산대학교 통계컴퓨터과학과 정보과학기술 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