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978 Views
1. 유전자형과 대립 유전자의 빈도. 1) 유전자형의 빈도 계산. 55 개체 A 1 A 1. P A1A1 =55/175=0.31. 85 개체 A 1 A 2. P A1A2 =85/175=0.49. 35 개체 A 2 A 2. P A2A2 =35/175=0.20. 175 전체. 2) 대립유전자의 빈도 계산. A 1 유전자 X 2. 55 개체 A 1 A 1. (110 + 85). (70 + 85). P A2 =. P A1 =. = 0.443. = 0.557.
E N D
1.유전자형과 대립 유전자의 빈도 1)유전자형의 빈도 계산 55개체 A1A1 PA1A1 =55/175=0.31 85개체 A1A2 PA1A2 =85/175=0.49 35개체 A2A2 PA2A2 =35/175=0.20 175 전체
2) 대립유전자의 빈도 계산 A1 유전자 X 2 55개체 A1A1 (110 + 85) (70 + 85) PA2 = PA1 = = 0.443 = 0.557 85개체 A1A2 350 350 35개체 A2A2 A1 유전자 A2 유전자 175 전체 A2 유전자 X 2
2. 하디-바인베르그 평형 대립 유전자의 빈도 A1 = p , A2 = q 동형접합자(A1A1) = p2 이형접합자(A1A2) =2pq 동형접합자(A2A2) = q2 하디 – 바인베르그 평형 (Hardy-Weinberg equilibrium) p2 + 2pq + q2 = 1.0
1) 하디 – 바인베르그 평형의 유지조건 이배체 생물이며 유성생식을 하는 경우 세대가 겹치지 않는 경우 교배가 무작위로 일어나는 경우 집단의 크기가 매우 커서 유전적 부동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돌연변이, 이주, 선택작용이 없는 경우
2) 하디-바인베르그 평형의 응용 유전자형 빈도 A1대립유전자의 빈도 = p p + q = 1 A2대립유전자의 빈도 = q A1A1유전자형의 빈도 = P A1A2유전자형의 빈도 = H P + H + Q = 1 A2A2유전자형의 빈도 = Q
A와 a 가 각각 0.5 의 빈도로 존재 p2 + 2pq + q2 = 1.0 0.25 + 0.5 + 0.25 = 1 1 : 2 : 1 756p
보조개결정 유전자 보조개를 나타내는 대립유전자는 완전 우성으로 작용 보조개가 있는 경우 : 36% 보조개가 없는 경우 : 64% q2 = 0.64 q = 0.8 p = 0.2 보조개가 있는 동형 접합자 = p2 = (0.2)2 = 0.04 보조개가 있는 이형접합자 = 2pq = 2(0.2)(0.8) = 0.32 보조개가 없는 동형접합자 = q2 = (0.8)2 = 0.64 전체 = 0.04 + 0.32 + 0.64 = 1.00
보조개가 있는 동형 접합자 = p2 = (0.2)2 = 0.04 보조개가 있는 이형접합자 = 2pq = 2(0.2)(0.8) = 0.32 보조개를 가진 사람 중 89%(0.32/0.36)가 이형접합자
4) 2개 이상의 대립유전자를 가진 유전자에서의 하디 바인베르그 평형 한 유전자좌에 3개의 대립유전자 A1유전자는 a2 a3 두 유전자에 대해 완전 우성 열성 표현형은 1/2500 확률로 발견된다고 가정 a2대립 유전자가 전체 열성 대립유전자에서의 빈도 30% a3의 열성 유전자에서의 빈도 70%
A1 a2 a3 세 유전자의 빈도 p, q, r p + q + r = 1.0 (p + q + r)2 = 1.0 p2 + q2 + r2 + 2pq + 2qr + 2pr = 1.0 1 q2 + r2 + 2pr = 2500 열성 표현형을 나타내는 개체 a2a2, a3a3, a2a3 = q2, r2, 2pr
a3의빈도 r = 2.33q a2 = 30% a3 = 70% q2 + r2 + 2pr = 1/2500 q2 + (2.33q)2 + 2(q)(2.33q) = 0.0004 q2 + 5.4q2 + 4.66q2 = 0.0004 11.09q2 = 0.0004 q2 = 0.0004/11.9 q = 0.006
r = 2.33q r = 0.014 p + q + r = 1.0 p = 0.980 q = 0.006 r = 0.014
Question 우리나라의 AB형이 12% O형이 25% 일때 A 형과 B형의 비율은 각각 얼마일까?(단 A형의 비율이 B형보다 많다)
Answer A 유전자의 빈도 = p B 유전자의 빈도 = q p + q + r = 1.0 O 유전자의 빈도 = r
p2 + q2 + r2 + 2pq + 2qr + 2pr = 1.0 A 형의 빈도 = p2 + 2pr B 형의 빈도 = q2 + 2qr O 형의 빈도 = r2 AB 형의 빈도 = 2pq
O형이 발생할 확률이 25% = r2 ∴ r = 0.5 p + q + 0.5 = 1 p + q = 0.5 AB 형의 빈도 = 2pq = 0.12 p + q = 0.5 pq = 0.06
p = 0.5-q (0.5-q)q = 0.06 0.5q – q2 – 0.06 = 0 q2 – 0.5q + 0.06 = 0 (q – 0.3)(q - 0.2) = 0 q = 0.3 or 0.2 (p > q) q = 0.2 p = 0.3 ∴
A 형의 빈도 = p2 + 2pr 0.06 + 2(0.3)(0.5) = 0.36 = 36% B 형의 빈도 = q2 + 2qr 0.04 + 2(0.2)(0.5) = 0.24 = 24% ∴ A형 = 36% B형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