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 likes | 254 Views
Top Management Team Internationalization: Construct Development and Empirical Test. 2010. 12. 4 이승재 ∙ 손 윤 ∙ 윤상흠. 5.1 Introduction. 기업 국제화에 관한 기존의 행태론적 접근 : 기업 차원의 경험 강조 관리자 개인의 능력이 기업행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도 연구 관리자의 국제적 경험은 시간적 / 지역적으로 제한된 영향만 미침 외국인을 최고경영자로 채용하는 방안 제안
E N D
Top Management Team Internationalization: Construct Development and Empirical Test 2010. 12. 4 이승재 ∙ 손 윤 ∙ 윤상흠
5.1 Introduction • 기업 국제화에 관한 기존의 행태론적 접근 : 기업 차원의 경험 강조 • 관리자 개인의 능력이 기업행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도 연구 • 관리자의 국제적 경험은 시간적/지역적으로 제한된 영향만 미침 외국인을 최고경영자로 채용하는 방안 제안 • 이 논문은 최고경영진의 외국 국적(foreign nationality)과 국제근무경험(international work experience)을 다국적 기업의 국제 운영의 복잡성을 처리하는 개인 능력의 두가지 요소로 봄 • 개인의 지식과 유능함 만으로는 성공적인 전략적 결정이 어려움 지식과 유능함의 다양성(diversity)이 필요 • 최고경영진의능력은 잠재적 변수 국적과 국제경험을 지표로 사용 • 이 논문이 기여한 점 • (1) 상위계층 연구에 있어 구성체(construct)의 타당성을 다룸 • (2) 국제경영 분야에서 기업 국제화의 적절한 차원(dimensions)을 연구 • (3) 최고경영팀국제화와 기업 국제화의 인과관계를 연구
5.2 Theoretical Underpinnings • 신시장 진입시 경험적 학습(experiential learning)이 중요 • 최고경영자의 개인적 한계가 전략적 선택에 영향을 미침 따라서 기업의 전략적 선택은 최고경영진(TMT)의 구성과 이들의 개인적 배경으로 설명될 수 있음 5.2.1 Construct of TMT Internationalization < 국적의 중요성 > • 경영진의 국적은 개인의 성격, 경영진의동태성과 상호작용, 나아가 전략적 의사결정에 영향 • 외국 국적자들은 그 국가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고해결책을 찾는데 있어 이점을 가짐 • 국적의 다양성은 TMT의 정보처리능력 (information-processing capacity) 향상 • 기업의 국제환경을 보다 잘 이해하고 해석하게 해 줌
< 해외근무 경험 > • 최고경영진의 해외근무경험을 통해 네트워크(network contacts)를 구축하고 정보에 대해 접근할 수 있음 • 기존 연구는 최고경영진의 국적이나 국제경험 중 하나의 변수만 사용하여 연구의 타당성 미흡 • 이 논문은 두 개의 요소를 동시에 고려 •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연구의 타당성 증대 • 이러한 요소들은 최고경영진의 성과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결합하여 상호보완적으로 영향을 미침 (combined effects) • TMT의 외국 국적자의 영향은 다른 TMT 멤버의 외국 문화에 대한 경험에 크게 의존 국적 다양성의 긍정적 효과는 다른 멤버들의 국제경험이 많을수록 커짐 • 최근 최고경영진의 개별 구성원에 대한 연구도 활발 CEO의 영향력 연구 결과 CEO의 국제경험이 다른 TMT 멤버의 경험과 결합될 때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 지속적 영향을 줌 < 가설 1 > TMT 국제화는 국적과 국제경험에 있어서 CEO 개인과 최고경영팀의 특징을 반영하는 다차원의 구성체(construct)이다.
5.2.2 TMT Internationalization from the Firm Internationalization Perspective • TMT 국제화와 기업의 국제화의 인과관계는 복잡함 • 기업의 국제화는 세가지 특성을 가짐 • (1) 성과 (performance) : 해외 판매 • (2) 구조 (structural) : 해외 자원(resources) 조달 • (3) 태도 (attitudinal) : 최고경영진의 국제지향성 • 태도 변수가 가장 측정하기 어려움 경영진의 국제경험 및국적다양성을 대리변수(proxy)로 사용 < 가설 2 > TMT 국제화는 기업 국제화의 지표(indicator)이다. 5.2.3 TMT Internationalization from the Upper Echelons Perspective • TMT 국제화는 기업의 복잡한 해외운영을 처리하는 능력을 의미하므로 기업 전략(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 그러나 최고경영진의 국적의 다양성은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침
다양성은 “양날의 칼” : 성공적으로 관리되면 혜택을 줌 • 다양성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 때문에 조직은 다양성을 배제하고 동질적인 그룹으로 만들려는 경향이 있음 • 최고경영진의 다양성은 팀의 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음 < 가설 3a > TMT 국제화는 기업 성과에 부정적 영향도 미친다. 5.2.4 The Mediating Role of Firm Strategy • TMT 국제화는 기업전략을 조정함으로써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침 • TMT의 특성에 따라 기업 국제화 전략이 달라짐 : 전반적인 국제화 정도, 국제 다변화 정도, 국제 다변화의 변화, 해외진출 등 • TMT의 넓은 국제적 지식기반과 인식에 기초한 선택은 기업 해외운영에 있어 건전한 관리적 결정을 하게 함 < 가설 3b > TMT 국제화는 기업 국제화를 통해 조정된 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5.2.5 Executive Compensation as a Mediator • 경영진에대한 보상이 기업전략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논쟁이 있음 • Sanders & Carpenter (1998) • 국제화된 기업에서 최고경영진은 보다 복잡한 상황에 처할수록 많은 보수를 받음 • 외국인을 경영진으로 채용하는 것도 비용이 많이 듬 • 대리인 이론 (agency theory) : 경영진에 대한 보상과 기업성과 간에 긍정적 관계 < 가설 3c > TMT 국제화는 경영진 보상수준을 통해 조정된 기업 성과에 긍정적 효과를 가진다.
TMT 국제화의 이론적 모형 TMT (UE) 국제화의 2개의 차원 : 국적과 국제경험의 다양성 TMT 국제화는 기업성과에 직접적인, 또한 경영진 보상과 기업 국제화를 통해 조정된 (간접적인) 효과를 미침
5.3 Methodology 5.3.1 Study sample and data sources • 표본 : 스위스 증시에 상장된 165개 기업 • 자료 : 5년간의 (2000-2004) 자료 수집 • TMT의 인구적 특징과 개인적 경험 : 스위스 증권거래소 자료 이용 • 경영진 보상에 관한 정보는 2002년 이후만 가능 (2002-2004) • 기업 수준의 국제화와 성과 자료는 은행 DB 이용 5.3.2 Variables • 기업의 국제화 정도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DOI) 사용 • 총매출 중 해외매출의 비중 (FSTS)이 국제화의 성과지표로 사용 • 해외매출의 지리적 다양성은 entropy measure를 사용해서 측정 • Entropy measure : • Pi : 총매출에서i분야의 매출비중, 1/Pi : 각 분야의 중요성에 대한 가중치
TMT 관련 변수 • TMTFOR : TMT의 국적 다양성의 정도 (외국 국적자의 비율) • CEONAT : CEO의 국적 (더미변수) • TMTEXP : 국제경험의 다양성 (스위스 외에서 근무경험 있는 멤버 비율) • CEOEXP : CEO의 국제경험 (더미변수) • 팀 차원 변수와 기업 국제화 지표는 0 (국제화 無)과 1 (최고수준의 국제화) 사이 • RETIND(return index: 기업성과), LEXCO(경영진 보상), HICO(CEO 보상) • 기업 규모 (통제변수): 고용인수 (LEMP) 5.3.3 Data Analysis • 가설화된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 (SEM)사용 • SEM은 잠재적 (관찰되지 않는) 구성물과 다른 변수와의 관계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적절함 • 2단계 접근법 • 1단계 : 확정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s analysis: CFA) • 2단계 : 경로분석 (path analysis) 을 포함한 구조 모형
5.4 Results 5.4.1 CFA (확정요소분석) Model Results 가설 1지지 : 구성체의 다차원성(multidimensionality) 확인 가설 2지지 : 최고경영진 국제화 (UE, β=0.82)와 기업국제화 (INT, β=0.56)는 더 높은 수준의 국제화정도 (DOI) 변수에 연결됨
측정모형의 적합도 (fit) 평가 적합도평가지표별 의미 NFI (NormedFixed Index) : 0.95 이상이면 적합 NNFI (Non-Normed Fixed Index) : 1 이상이면 좋음 CFI : 0.95 이상이면 적합 RMSEA (Root Mean Square Error Index) : 0.05보다 작으면 적합 측정모형별로 단계가 올라갈수록 (1 4) 적합도 향상
5.4.2 Structural Model (구조모형) Results • 초기모형 (구조모형 1) : 최고경영진 국제화와 기업성과간 직접적 관계를 나타내는 모형 검증결과 負의 상관관계 (β=-0.244) • 구조모형 2 : 두가지 단계가 추가된 모형 • 가설 3a 지지 : TMT 국제화는 기업성과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효과 (-0.30) • 가설 3b 지지 못함 : 기업국제화는 TMT 국제화의 효과를 어느 정도 조정(상쇄)하지만 여전히 부정적 효과(-0.10) • 가설 3c 지지 : 최고경영진 국제화와 보상 (0.19) 및 보상과 기업성과 (0.61)는 긍정적 관계
5.4.3 Additional Insights into the Top Management Team – Firm Internationalization Relationship < 두 개의 대체모형 검증 > • 필요한다양성 논리 (requisite variety logic) : 기업운영의 국제화와 최고경영진 국제화간 구조적 경로가 뒤바뀜(즉, 기업운영의 국제화가 최고경영진 국제화에 영향을 미침) • 검증결과 기업운영의 국제화는 최고경영진 국제화에 긍정적이며 유의한 영향을 미침 (β=0.45). 단, 적합도는 낮아짐. • 반복적 관계 (recursive relationship) : 기업국제화와 최고경영진 국제화가 상호 영향을 미침 • 검증결과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며 (β=0.40), 적합도는 낮아짐
5.5. Discussion • 최고경영진의 국제적 지향에 대한 다차원적 측정을 시도 • 최고경영진 국제화가 기업국제화와 경영진 보상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궁극적으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 TMT 국제화라는 잠재적 변수를 다차원적으로 측정 기업 국제운영을 다룰 수 있는 최고경영진의 능력을 측정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성 (construct)은 상당한 타당성을 가짐 • 이 논문의 의의 : 개인 차원의 지식과 경험이 기업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 기존 연구는 기업 차원의 경험에 초점 • 이 연구는 관리자들의 국제적 배경과 경험이 기업 국제화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줌 • 향후 연구 : 최고관리자의 국제지향성의 다른 요소들 (국제교육, 언어, 국제 네트워크) 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