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 likes | 447 Views
통합의 완성과 새로운 도약을 위한. 강원대학교의 비전과 ‘ 06 년 주요업무계획 ’. 2006.2.27 강원대학교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I. 비전과 목표. III. 추 진 전 략. II. 경쟁력 강화와 연구중심 대학 여건확립. III. 학생능력 개발과 취업률 제고. IV. 지역혁신과 산학협력 강화. V. 인적자원 개발의 국제화. VI. 개교 60 주년 대비.
E N D
통합의 완성과 새로운 도약을 위한 강원대학교의 비전과 ‘06년 주요업무계획’ 2006.2.27 강원대학교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I. 비전과 목표 III. 추 진 전 략 II. 경쟁력 강화와 연구중심 대학 여건확립 III. 학생능력 개발과 취업률 제고 IV. 지역혁신과 산학협력 강화 V. 인적자원 개발의 국제화 VI. 개교 60주년 대비 차 례 ■ 비전과 추진전략 I. 통합 강원대학교의 출범 ■ 2006년 중점 목표 및 주요사업 I. 통합 및 내부구조 개혁의 기반구축
I. 통합강원대학교출범-배경 ◆ 대학의 역할 변화 • 산학협력 • 지역혁신 견인 • 사회적 수요충족 • 상아탑(진리탐구) ◆ 환경의 변화 ■ 대학 혁신의 요구: 정부의 구조개혁 정책추진, 사립대학의 혁신 가속화 ■정보 공시제 : 연구실적, 취업률, 등록율, 재정상태 등 분기별 공시 ■ 국립대학 법인화 가능성 : 자율과 책무
현 황 2005. 11. 1기준
강원도 거점대학 2006년 2010년 2020년 중동부권 핵심대학 세계200위권 연구중심대학 II. 비전 및 목표-비전 KNU 222 프로젝트
2006: 강원도 거점대학 2010: 중동부권 핵심대학 2020: 세계 200위권 명문대학 ■ 국제적 명성 확보 ■ 연 SCI 1,000편 수준, 1인당 1.5 편 수준 ■국내 20위 내 ■ 통합 강원대학교 기반구축 ■ 질높은 교육체제 확립 ■ 연구경쟁력 제고 ■지역혁신과 산학협력강화 ■ 특성화 구축완료 ■연구중심대학 및 대학원 활성화 ■국내 20위권 ( 현재 종합 32위, 연구 38위) 단계별 목표
III. 추진전략 • ◆추진 전략 • 1. 1도 1국립대학 추진 • 2. 통합 시너지의 활용 • 3. 특성화 지속적 추진 • 4. 경쟁력 향상 기반 구축 • ◆ 비전 • ■중동부권 핵심대학 • ■국내 20위권 연구중심대학 • ■세계 200위권 명문대학
지역캠퍼스 E+ K +L분야 /교육중심+연구 /응용 지역캠퍼스 F 분야 /교육/응용 거점캠퍼스 교육+연구중심 기초/응용균형 지역캠퍼스 G+M 분야 /교육/응용 1. 1도 1국립대학 추진 1대학 2캠퍼스 체제 운영 (춘천캠퍼스, 삼척캠퍼스) 1도 1국립대 추진 (1대학 복수캠퍼스 운영) ■ 캠퍼스별 기능 및 인력양성 차별화 ■교육프로그램, 인프라 공유
2. 통합시너지 활용 ■규모 및 범위의 경제 활용 • - 재학생 22,000 명, 전임교수 900 명, 예산 1,768 억 • - 다양한 분야와 전공 연계 ■권역 대표성 활용 • - 지방 자치 단체와 협력과 각종 국책 사업에 유리 ■구조개혁 지원금(260억) 활용 • 통합 기반구축 54.8억 - 중점 및 학과 특성화 지원 61.5억 • 교육 및 연구 활성화 41.2억 - 산학협력센터 확충 14억 등 • <구조개혁 지원금 현황> • * 통합대학(부산대, 전남대, 공주대 등) : 170~310억 • * 구조개혁선도대학(정원10% 이상 감축):서울대(95억), 충남대(6.4억), 충북대(6.2억) 등 • * 지원제외대학(정원 10% 이상 감축):전북대, 부경대, 제주대 등 지원금 없음
■통합 대학 지원 정책 활용 • - 2단계 BK 21사업 가산점 부여 (7점) 등 각종 국책사업 수주 우대 • - 로스쿨 유치 유리 • 연구중심대학 선정 유리 • 기타 각종 정부정책 우대(사무관 승진 T/O 추가배정 등) ■정원감축 예외인정 활용 • - 입학정원 3% 감축 -> 2009년까지 정원감축 부담 없음 • *서울대 16%, 전북대 10.1%, 충남대 11%, 충북대 11.3% 감축 • *2009년까지 누계 15% 필수 감축 ■교수T/O 추가배정 활용 • - 교수 T/O 신규배정 29명 • * 구조개혁선도(경상대, 충북대, 충남대 등) 4-9 명 • * 정원10% 감축(강릉대, 전북대, 제주대 등) 3 명 • * 구조개혁 실적이 없는 대학(경북대 등) 0 명
3. 특성화 지속추진 ■중점 특성화(학문 분야별) • - 단계별 추진 • 독립 운영을 위한 학사 조직 구성 • 행, 재정적 지원 ■학과, 전공별 특성화 • - 차별적 특성화 확대 • - 우수사례 발굴 및 확산 • - 학과 발전계획/ 성과 평가 • - 성과지표 관리
질 높은 교육시스템 구축 연구 경쟁력 강화 국제화 및 지역밀착 협력 행정효율성 향상 4. 경쟁력 향상 기반 구축 ● 연구 인센티브 시스템 개선 ● 경쟁체제 도입 ● 전일제 대학원생 확충 ● 연구재원 확보 ● 국제기구 연계 센터 유치 및 설립 ● 지역협력 기능 강화 ●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구축 ● 학생능력개발 및 학습 클리닉 운영 ● 외국어 능력 제고 ● 취업률 제고 ● 직원능력개발 프로그램 (뉴 패러다임 사업) ●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내부 경쟁력 제고 ● 특성화 추진 ●연구경쟁력 강화 ●질 높은 교육시스템 구축 ●국제화 및 지역 밀착 협력 ●행정 효율성 향상 통합 시너지 활용 ●규모 및 범위의 경제 활용 ●권역대표성 활용 ●재정 및 정책지원 ●정원감축 최소화 ● 교수 T/O 추가 확보 비전 실현 모형 세계 200위권 연구중심대학 중동부권 핵심대학 비전 공감 및 참여 통합 강원대학교
통합 및 내부구조 개혁 기반구축 경쟁력 강화와 연구중심대학 추진 학생능력 개발과 취업률 제고 지역혁신과 산학협력 강화 인적자원개발의 국제화 개교 60주년 준비 2006년 중점목표 및 주요 사업 -참고- 정부의 ‘06년도 고등교육 중점목표 ■ 대학혁신 추진 - 국립대학운영체제개선 - 전문대학원도입 - 우수대학원을 지역혁신과 연계육성 - 산학협력, NURI사업 - 2단계 BK21사업 ■국제교류추진 - 외국인 학생 유치 - 우리 교육의 개도국진출 - 영어 의사소통 능력개선
I. 통합 및 내부구조 개혁 기반구축 정책방향 ◇ 캠퍼스간 비전과 목표의 공유 ◇ 통합 운영시스템 구축 ◇ 단계별 특성화 추진 주요사업 ◇ 경영진단과 장기발전계획수립 ◇ 학생, 교직원, 동문 일체감 조성 ◇ 홍보, 행정, 전산 통합시스템 구축 ◇ 정책조정위원회 운영 ◇ 중점 특성화 분야 세부계획 수립 ◇ 학과•전공별 annual report 평가제 정착
II. 경쟁력 강화와 연구중심대학 추진 정책방향 ◇ 연구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원체제 개선 ◇ 대학원 활성화 ◇ 연구단지 조성을 통한 생명•건강 Hub 구축 주요사업 ◇ 국책사업 수주증대를 위한 강의 시수 축소, 수당 지원 ◇ 기초과학, 인문사회 중심의 공모과제 응모 지원 ◇ 전임연구원, 테크니션 등 인력 경비 지원 ◇ 대학원생 논문연구 장려 장학금 및 전일제 대학원생 장학금 지급 ◇ 외국인 대학원생 유치를 위한 국제 생활원 운영 ◇ 생명•건강 지역혁신 특성화 센터 설계 완료 ◇ 교수 채용 및 승진 요건 강화 검토
III. 학생능력 개발 및 취업률 제고 정책방향 ◇ 전공교육과 연계된 취업능력 향상 ◇ 취업률 제고 및 취업의 질 개선 ◇ 진로지도 및 취업지원 기능 강화 주요사업 ◇ 수요자 중심 교육과정 개발 및 강의 질 제고 ◇ 학과/전공 및 대학별 취업 활동 강화 ◇ 졸업 자격 인증제 보완 ◇ 기업연계 트랙제 확대 및 국내외 인턴사업 확대 ◇ 종합인력개발원설치 운영 ◇ 영어생활관 운영 및 고시원 건립 추진
IV. 지역혁신과 산학협력 강화 정책방향 ◇ 지역협력 강화를 위한 시설 및 재단 설립 ◇ 지자체 연계 국책사업 수주를 위한 기반 강화 ◇ 산학협력 강화를 위한 부지 확보 주요사업 ◇ 생명•건강 R&D 허브 기반 구축 ◇ 지역센터 확충과 신설(원주 및 경기 동부) ◇ Connect Korea 유치 추진 ◇ 친환경 농산물 인증센터 설립 ◇ DMZ 연구재단 설립 ◇ 강원도 이전 공공기관 연계 추진
V. 인적자원개발의 국제화 정책방향 ◇ 해외 자매대학 확대 및 교류 활성화 ◇ 학생 국제화 능력 제고 ◇ 국제기관과의 협력 강화 주요사업 ◇ 국내외 우수 대학원생 유치 활성화 ◇해외 자매대학 확대 ◇ 재학생 자매대학 파견 및 해외연수 프로그램 확대 ◇ 한국어 연수과정 설치 운영 ◇ 아시아 •태평양 리더십센터(UN ESCAP 협력) 활성화 ◇UNEP ECO-PEACE 리더십 센터(EPLC) 설립 및 운영 ◇ 라오스 국립대학 설립 지원
VI. 개교 60주년 준비 정책방향 ◇ 새로운 출발과 도약을 위한 대내외 연대 ◇ 강원대학교의 위상 제고 ◇ 발전기금 조성 주요사업 ◇ 강원대 비전 및 지역발전 토론회 ◇ 국내외 석학 초청 및 학술대회 ◇ 발전기금 모금 및 기념관 건립 추진 ◇ 강원의 얼 발굴 및 선양 사업 ◇ 홍보 및 사료 정리
“대학도 변해야 살아남는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