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0 likes | 1.5k Views
광역친환경농업단지 사 업 계 획. 2009. 12. Contents. 사업주체. 사업단지명. 참여농가수. 00 1. I. 사업단지 현황. 사업계획 요약. 양평군 광역친환경농업단지 ( 단월면 , 지평면 , 용문면 , 개군면 ). 3,579 농가. 양평지방공사 ( 사장 김경재 ). 00 2. I. 사업예산. 사업계획 요약. 면적 : 878㎢. 연 혁. 00 1. Ⅱ. 양평군 일반현황. 양평군 일반 현황. 1908. 9. 서울시의 약 1. 5 배. 답. 전.
E N D
광역친환경농업단지 사 업 계 획 2009. 12
사업주체 사업단지명 참여농가수 001 I 사업단지 현황 사업계획 요약 양평군 광역친환경농업단지(단월면, 지평면, 용문면, 개군면) 3,579농가 양평지방공사(사장 김경재)
002 I 사업예산 사업계획 요약
면적 : 878㎢ 연 혁 001 Ⅱ 양평군 일반현황 양평군 일반 현황 1908. 9 서울시의 약1. 5배 답 전 9 7 대 1 8 양근군과 지평군을 통합, 양평군으로 개칭 기타 75% 임야 인구 : 88,780명 (단위:명) 인구변동현황 118,315 88,780 85,533 `93,444 `83,730 `82,992 `76,638 ‘66 ‘80 ‘94 ‘02 ‘03 ‘05 ‘07
특별대책지역ⅠⅡ(613㎢, 70%) 1권역 2권역 자연보전권역 (878㎢, 100%) 수도권 정비 계획법에 의한 규제 환경정책 기본법에 의한 규제 002 Ⅱ 양평군 규제 현황 양평군 일반 현황 성장관리권역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003 Ⅱ 양평 지역내총생산(GRDP) 현황 양평군 일반 현황 • 양평군의 GRDP는 경기도 31개 시군 중 하위에 속하고 농림어업 GRDP 비중이 전국평균이 약 14% 수준임 • 한강 상수원 보호구역인 양평이 각종 규제 속에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은 친환경농업임 2006년 기준 1인당 GRDP 2006년 기준 농림어업 GRDP 비중 (단위:천원) 14.1% 16,185 12,345 1.6% 양평군 경기도평균 양평군 경기
“제2의 농업부흥운동” 선언(3가지하기, 3가지 안하기운동) 양평환경농업 – 21 선언 ( 전국 최초로 친환경농업지역 선포) 1997. 12 1998. 04 세계최초 ISO 14001 환경농업 경영 시스템 인증획득 양평환경농업 – 21 사단법인 등록 2000. 01 2000. 11 (사)양평환경농업 – 21 추진위원회 친환경 인증기관 지정 “물 맑은 양평” 통합 브랜드 개발 2002. 08 2003. 04 친환경농산물 산지 유통센터 건립 제6차 아시아 유기농업 학술대회(IFOAM-ASIA) 개최 2004. 02 2004. 09 제 1회 친환경농업대상 대상 수상 물맑은 양평 유통사업단 발족 친환경산지유통전문조직 양평지방공사 설립 전국 지역특구 운영평가 대상 수상 2005. 01 2005. 12 2005. 12 2007. 10 2008. 07 전국 최초의 양평 친환경농업 특구 지정 001 Ⅲ 양평 친환경농업 추진경과 친환경농업 현황
002 Ⅲ 양평군 친환경농업 현황 친환경농업 현황 전체 농가/경지면적 대비 친환경 점유율 친환경인증별 농가비율(%) 친환경인증별 면적비율(%)
003 Ⅲ 친환경농업의 성과 친환경농업 현황 친환경 농업특구 지정 (전국유일) 2005년 12월 전국 96개 특구 중평가1위 2007년 10월
내부요인 강점Strength 약점 Weakness 기회 Opportunity 위협 Threat 외부요인 004 Ⅲ 양평 친환경농업 SWOT분석 친환경농업 현황 • 가공식품 유통분야의 경쟁력이 낮아 • 소비자·식품산업 간의 연계미흡 • 친환경농업 추진재원 부족 • 뚜렷한 지역특산물 부재 • 친환경체험관광 기반 미흡 • 친환경농업과 연계한 이벤트 부재 • 친환경농업 실천기반 상당수준 확보 •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 육성 • 친환경농법 추진면적 확대 • 친환경농업 실천 분위기 조성 • 잘 보전된 자연환경 • 무한한 잠재력 • 수도권과 근접 최대의 소비자원 잠재 • 고품질의 안전한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수요 계속 증가 • 주5일 근무제 확산으로 체험관광 등 여가 수요 증가 • 농업의 전문분야에서 저투입 농업으로 전환 • 전원·생태 휴양에 대한 국민적 인식 변화 • 상수원 관리지역으로 중첩규제 • 경제침체 및 낮은 경제자립도 • 농산물 판로의 유동성 • 소비자원이 머물지 않고 경유하여 내수 침체 • 지역간 친환경농업 경쟁 가열
005 Ⅲ 광역친환경농업단지의 필요성 한강수계상수원개선 및 주민지원법 환경정책기본법 친환경농업 현황 • 군면적의 3.8%가 수변구역으로 규제 • 군면적의 69%가 수질보전특별대책 지역으로 지정 도시개발 사업의 입지 제한 / 인구 집중유발시설 입지 금지 양평군의 녹색 성장동력 = 친환경농업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인 판로 확보 친환경농산물 인증 확대 친환경 산지유통 활성화 혁신 저비용 친환경 실천 기반 조성 • 친환경 출하농가 조직화 • 생산과 유통의 계열화 • 경기/서울 학교급식 진출 확대 • 친환경 산지유통전문조직 육성 • 저렴한 유기질퇴비 생산체계 구축 • 안정적인 축분처리로 비용 절감 • 경종-축산 자원순환형 체계 구축 • 경종순환자원센터 설치
농 업 농업인 농 촌 지속가능한생명산업으로 육성 실질적인 소득 실현 농촌다움을 갖춘쾌적한 삶의 공간 어메니티 개발 • 농촌다움 유지 • 살고 싶은 공간 조성 • 농촌환경을 농외소득원화 생산기반 구축 유통확대 지역 농업특화 발전 • 친환경 새농법 지속지원 • 인증농가 및 품목 확대 • 인증단계 상향 유도 • “물맑은양평 농산물”홍보강화 • 틈새 시장 접근 다양화 • 소비자 직거래망 확충 001 Ⅳ 사업목표 친환경농업과 농촌을 동력으로“살맛나는 새 양평건설” 사업목표 및 추진방향 양적성장에서질적성숙으로 전환, 친환경농업 완전 정착
001 Ⅳ 사업목표 친환경 인증농가 비율 친환경 인증면적 비율 사업목표 및 추진방향 25% 2,073ha 28% 2,396호 19% 1,578호 17% 1,403ha 2009년 2013년 2009년 2013년 광역친환경농업단지조성사업 광역친환경농업단지조성사업 인증별단계별 면적 비율 2009년 현재 2013년 목표 60% 51% 38% 39% 2% 10% 유기 무농약 저농약 유기 무농약 저농약
001 Ⅳ 사업목표 친환경인증면적 확대 유기질비료 공급 확대 사업목표 및 추진방향 농약사용 저감 계획 화학비료 저감 계획 40t 7,770t 19t 4,620t 10t 2,972t 1,200t 5t ‘13 ‘13 ‘97 ‘03 ‘97 ‘03 ‘08 ‘08
유통이 견인하는 친환경 생산체계 구축 002 Ⅳ 사업추진 전략 사업목표 및 추진방향 안정적 판로 확보 친환경 확대 유통 지원/관리 생산 친환경 인증단계 상향화 친환경유통전문조직 육성 친환경 농자재 확대 지원 경종-축산 자원순환체계 구축 친환경농가 조직화 교육 유통과 생산의 계열화 지원 농약/화학비료 사용 축소 친환경농자재 지원 확대 다양한 유통채널 확보 안전성 관리 체계 구축
003 Ⅳ 타사업연계 전략 • 생산 : 물이용부담금을 통한 친환경 지원 확대 • 유통 : 경기/서울친환경학교급식 및 친환경농산물물류센터와 연계한 유통체계 구축 • 홍보 : 제17차 유기농대회와 연계한 홍보 사업목표 및 추진방향 제17차 유기농대회 친환경농산물물류센터 유기농투어 공간 제공 / 소비 확산 안정적인 판로확보 및 물류효율화 물이용 부담금 광역친환경농업단지 경기/서울 친환경 학교급식 팔당클린농식품클러스터사업 안정적인 판로확보/ 인증면적 확대 광역단위 친환경 생산/유통
004 Ⅳ 친환경 확대 전략 • 2012년 축분 해양투기 금지에 대비하여 100% 자원화 시스템 구축 • 무항생제 축분 분리 자원화를 통한 유기인증농가 지원체계 구축 사업목표 및 추진방향 무항생제 축분 일반 축분 축분처리 비용절감 무항생제 축분 분리저장 농가 축분 미분리 농가 경축순환자원센터 기존 축분퇴비공장 저렴한 공급 유기인증농가 무농약/저농약 인증농가 참여농협 양평지방공사 친환경산지유통센터 서울/경기 학교급식 대형유통업체
화학비료 사용 50% 저감 농약사용 50% 저감 005 Ⅳ 농약 및 화학비료 저감계획 사업목표 및 추진방향 BMW살포 확대 유기질비료 공급 확대 친환경농자재 지원 확대 사업기간 : 2,500톤 확대 지원 사업기간 : 1,135천포 확대 지원 사업기간 : 매년 10% 증액 지원 78% 확대 매년 10% 확대 66% 확대 2009년 : 1,500톤 2009년 : 640천포 지원 2009년 : 851백만원 지원
001 Ⅴ 친환경 광역단지 모형 • 논밭 중심 모형 (제 Ⅲ-1) 세부추진 계획
002 Ⅴ 사업부지 •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봉상2리 수미마을 일대 세부추진 계획 센터 부지 유기농시설채소단지
003 Ⅴ 시설배치도 세부추진 계획 경축순환자원센터 바이오가스 플랜트 원료반입구 유기순환 센터 액비 저장조 발전실 계분 우분 돈분 돈분뇨 탈취 시설 기계식 교반 SCB 공정 퇴적식 발효 제1/2/3 발효조 집수조 휴식시설 체험농장 BMW 플랜트 자동포장라인 완제품저장고
004 Ⅴ 사업추진 체계 양평군 친환경농업추진단 (단장 : 군수) 세부추진 계획 사업 자문단 친환경농업위원회 친환경농업과 (사업관리/지원) (사)농촌나드리 (농촌체험/관광) (사)양평환경농업-21 (인증 / 안전성관리) 양평지방공사 (유통센터/순환자원센터) 참여농협 (농가조직화, 상품화) 농업기술센터 (친환경기술 교육) 실무위원회 교육분과 대외협력 생산분과 유통분과 농가조직화 교육 친환경 재배기술 전문가 네트워크 바이어 네트워크 정책네트워크 축분 자원화 유기질비료 공급 친환경실천/지원 학교급식 대형유통업체 친환경식품
’08년 매출액 지사 임직원 사장 005 Ⅴ 사업추진 주체 세부추진 계획 김경재 14개 급식사업단 54명 약 110억원 사장 이사회 경영관리본부 유통사업본부 개발사업본부 순환자원센터 총무/기획 청사관리 영엽팀 /구매팀 검품/생산팀 물류팀 개발사업 경축순환자원센터 축분바이오가스플랜트 BMW 플랜트시설 유기농 순환센터 광역친환경단지 실무위원회
006 Ⅴ 사업관리 체계 세부추진 계획 순환자원센터 경축순환자원센터 - 유기질퇴비 축분 생물활성수 축산농가 바이오가스플랜트 - 전기생산 유기질퇴비생물활성수 BMW 플랜트 - 생물활성수 양평군 기술센터 유기농순환센터 - 도농교류/교육 관리감독 적자보존 기술지원 운영 경종농가 운영주체 : 양평지방공사 친환경 농산물 친환경 농산물 운영 컨설팅 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 농축협 연구기관 대형마트 / 직거래단체 / 친환경전문점 / 학교급식 /농협유통
007 Ⅴ 역할분담 체계 친환경농업과 농업기술센터 세부추진 계획 친환경단지 예산지원 친환경 농자재/검사비 지원 물맑은양평 공동브랜드 관리 친환경농산물 홍보마케팅 지원 품목별 재배기술 지도 품목별 연구회 조직 육성 친환경농가 교육 토양관리 및 검정 양평 광역친환경농업단지 (사)양평환경농업-21 (사)농촌나드리 친환경 인증 교육 친환경 인증 도농 농촌체험 교류활동 체험학습프로그램 개발 양평지방공사 농축협 경축순환센터 운영 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 운영 친환경 농산물 마케팅 대형유통업체, 학교급식 공급 친환경농가 조직화 및 교육 친환경농가 생산지도 농가조직화 관리 및 교육 친환경농산물 상품화 및 마케팅
008 Ⅴ 유통(마케팅) 계획 세부추진 계획 “물맑은양평” 공동브랜드 중심의 지원 체계 구축 생산 = 소비자 신뢰 강화 유통 = 규모화/전문화 홍보/마케팅 = 차별화 안전성 관리 강화 품질경쟁력 강화 상표사용 심사/관리 강화 친환경 출하회 육성 친환경산지유통조직 육성 광역조직과 유기적 협력 2/3차 산업 연계 마케팅 시장유형별 마케팅 세분화 양평군 예산 지원 확대 생산에서 유통까지 이력관리시스템 구축과 제공
008 Ⅴ 유통(마케팅) 계획 세부추진 계획 친환경 직판장 소비자 직거래 친환경농산물물류센터 친환경농가 친환경농가 참여농협 팔당친환경 마케팅조직 양평지방공사 (친환경산지유통센터) 친환경 농산물 유통사업 친환경 외식사업 친환경 학교급식 사업 경기 서울 양평 대형유통업체 친환경전문매장 프랜차이즈업체 외식전문업체 가맹점 직영점
009 Ⅴ 교육운영 계획 • 기존 친환경인증농가와 신규농가를 구분하여 교육 • 거래처 특성을 고려한 계약재배 체계구축을 위해 학교급식출하회, 친환경공동출하회로 구분하여 교육 실시 세부추진 계획 신규 친환경 실천농가 교육 • 대상 : 관행농법 농가, 저농약인증 농가 • 목표 : 관행농업 농가→친환경인증 / 저농약농가→무농약 이상 • 내용 : 친환경 인증제도, 친환경재배기술, 시장 및 정책 동향 친환경 인증면적 확대 + 유통경쟁력 제고 친환경 학교급식 출하회 교육 • 대상 : 무농약인증 이상 농가 • 목표 : 계약재배 생산체계 구축 • 내용 : 학교급식 현황, 안전성관리, 계약재배 체계, 선진지 견학 친환경 공동출하회 교육 • 대상 : 무농약인증 이상 농가 • 목표 : 재배기술 상향 평준화 및 출하권 위임 • 내용 : 친환경시장, 출하약정체결, 사업체계, 선진지 견학
001 Ⅵ 경축순환자원센터 : 필요성 축산 분뇨 100% 자원화 사업별 운영계획 • 2009년 처리현황 (단위 : 천ℓ) • 2012년 해양투기 금지를 대비하여 해양배출 분뇨를 100% 자원화 필요 유기질 퇴비 공급 확대 • 2009년 친환경농가 유기질퇴비 공급 현황 및 수요량 • 친환경농업에 필요한 무항생제 축분퇴비 공급 확대 필요
001 Ⅵ 경축순환자원센터 : 운영계획 사업별 운영계획 해양배출 축분 정화방류 축분 8,964톤 37,800톤 무항생제축분 분리저장농가와 약정체결 경축순환자원센터 (유기질비료 연간 500,000포 생산) 유기인증농가 단월면(사업지역) 단월면 이외지역 800원/포 공급(2,000원보조) 연간 50,000포 =100ha 2,800원/포 연간 450,000포 900ha 저가공급에 따른 경축순환자원센터 운영비로 매년 1억원 지원 양평군/농축협의 보조를 통해 공급가격 인하
002 Ⅵ 축분바이오가스 플랜트 사업별 운영계획 에너지 순환체계 구축 관광상품화 자원순환농업단지내 시설 전기 공급 지역내 친환경농가에 에너지 공급 자원 및 에너지 순환의 모델화 유기농순환센터와 연계한 관광 상품화 경축순환자원센터 BMW플랜트 유기농순환센터 300,000kw 자가 사용 축분바이오가스플랜트 연간 바이오가스 456,250 Nm3 276,000kw 판매 한전 연간 전기 576,000kw 한전 전기판매 금액 자원순환농업단지 인근주민 전기료 지원
003 Ⅵ BMW 플랜트 사업별 운영계획 축산 분뇨 경축순환자원센터 유기질퇴비 잉여 분뇨 미퇴비화 분뇨 BMW 플랜트 미네랄 생물활성수 연간 1,000톤 생산 무상공급 축산농가 경종농가 악취제거 / 가축건강증진 사료비 절감 토질개선/생산력증대/품질향상 농약 및 비료사용 감소
004 Ⅵ 유기농시설채소단지 / 저온저장고 사업별 운영계획 김치재료 공급 ㈜오가원 농업회사법인㈜늘푸른 유기농 김치공장 운영 유기농 김치 마케팅 유기농시설채소단지 계약재배 유기농김치 원재료 조달 및 저장 입고 유기농시설채소단지 저온저장고 100평 김치 원재료 계약재배 수막하우스 10,000평 채소하우스 10,000평 최대 저장량 250톤 연간 저장량 1,000톤 무상 공급 유상 공급 경축순환자원센터 유기질퇴비 BMW플랜트 생물활성수
005 Ⅵ 유기농순환센터 양평 친환경 홍보 생산자/소비자 네트워크 구축 사업별 운영계획 양평 자원순환 모델을 대내외 홍보 소비자와 생산자간의 네트워크장 소비자/생산자 교육 유기농순환센터 280평 2층 교육장 50평/식당 20평/회의실 20평 1층 자원순환전시설 50평 판매 및 휴게실 20평 사무실 40평 / 부대시설 40평 친환경농산물 직판 소비자 방문 생산자교육 연간 100백만원 연인원 3,000명 연인원 1,000명
006 Ⅵ 제품생산 계획 사업별 운영계획
007 Ⅵ 종합 수지계획 * 대상시설 : 경축순환자원센터, 축분바이오가스 , BMW플랜트, 유기농순환센터 사업별 운영계획
전국 최대의 유기농단지를 조성하여 한국 친환경농업을 견인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