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likes | 280 Views
제 1 부 인터넷방송의 이해 - 제 5 장 멀티미디어 기초. 최 영 강원대학교 방송영상학부. 제5장 멀티미디어 기초. 멀티미디어 활용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터넷의 보급 확산. 5.1 사운드. 웹상에서의 사운드 지원은 생동감 있는 정보를 전달. 5.1.1 WAV(Waveform Audio). IBM 호환기종인 윈도우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는 소리파일. 5.1.2 AU (Audio). 유닉스( UNIX)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리파일 형식
E N D
제 1 부 인터넷방송의 이해 - 제 5 장 멀티미디어 기초 최 영 강원대학교 방송영상학부
제5장 멀티미디어 기초 • 멀티미디어 활용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터넷의 보급 확산 5.1 사운드 • 웹상에서의 사운드 지원은 생동감 있는 정보를 전달 5.1.1 WAV(Waveform Audio) • IBM호환기종인 윈도우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는 소리파일 5.1.2 AU(Audio) • 유닉스(UNIX)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리파일 형식 •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익스플로러와 넷스케이프브라우저를 통해 재생이 가능한 소리파일 • 선 시스템(SUN)과 Next 컴퓨터와 함께 개발 • 2:1 압축 비율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파일크기를 줄 일 수 있다. • 1분에 대략 8KB정도, 서버에 무리 없이 사용자가 손쉽게 다운로드 가능 • 소리의 음질이 떨어짐, 간단한 음향효과나 강연과 같은 높은 음질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 많이 사용
제5장 멀티미디어 기초 5.1.3 AIFF(Audio Interchange File Format) • 애플사의 맥킨토시 환경에서 사용되는 사운드 파일의 형식 • 윈도우 환경에서는 재생할 수 없는 단점 • 소리의 품질은 다른 파일 형식 보다 뛰어남 5.1.4 MP3(MPEG Audio Layer3) • CD정도의 음질의 사운드를 음질의 저하 없이 12분의 1정도로 압축 • 저작권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은 물론 휴대용 MP3플레이어에도 급속도로 확산 5.1.5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 사운드 자체의 녹음이 아님 • 음표나 음표들의 특정한 순서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거나 특정한 음을 재생하기 위한 정보만을 저장함 • 파일의 크기를 줄이고, 음을 자유롭게 재생할 수 있음.
제5장 멀티미디어 기초 5.1.6 웹 페이지에 소리파일 삽입하기 • 링크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 <A HREF = “sample.wav”> • EMBED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 <EMBED SRC = “sample.wav” Height=“300” Width=“200”> • 배경음악 • <EMBED SRC=“sample.wav” Hidden=“TRUE” Autostart=“true” Height=“300” Width=“200”> 5.2 소리의 디지털화 • 소리 파형의 일정한 연속적인 모양 : 아날로그 • 데이터를 컴퓨터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비연속적인 신호로 변환 : 디지털 • 전화선 : 아날로그, 컴퓨터 신호 : 디지털 • 변조기(Modulator), 복조기(Demodulator) : 모뎀(Modem)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 변조 •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 복조
제5장 멀티미디어 기초 5.2 소리의 디지털화 5.2.1 샘플링 비율 • 초당 진동하는 주기의 횟수 : 주파수 • 단위는 Hz(Hertz) •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인 데이터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 샘플링 비율, 샘플당 비트수 • 인간이 청취할 수 있는 주파수는 : 20Hz에서 20KHz • CD : 44KHz, MP3 : 11KHz에서 44KHz의 샘플링 비율로 녹음 •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화를 위해서는 아닐로그 신호를 2배 이상의 속도로 샘플링해야 디지털 신호를 재생했을 때 원래의 신호에 근접할 수 있다는 Nyquist(나이키스트) 이론
제5장 멀티미디어 기초 5.2 소리의 디지털화
제5장 멀티미디어 기초 5.2 소리의 디지털화
제5장 멀티미디어 기초 5.2.2 샘플당 비트수(bits per samples) • 인코딩을 위한 데이터의 단계를 나타내는 단위 • 인터넷방송을 위한 소리 데이터는 8비트 정도가 적당 • 음악방송을 위한 MP3파일은 16비트의 샘플링으로 인코딩 • 3분 음악을 샘플링 비율을 44KHz로 하고 샘플링 비트수를 16비트로 인코딩 하는 경우 - 샘플당 비율/초 * 샘플당 비트수 * 채널수(스테레오) * 시간(초) 44K/sec * 16bits * 2 * 180sec = 253.44Mbits(80Mbyte)
제5장 멀티미디어 기초 5.2.2 샘플당 비트수(bits per samples) • 128Kbps 44KHz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 bps는 “bits per second”을 의미하는데 bps는 채널 수는 물론 샘플당 비트수와 샘플링 비율을 적용한 전송속도를 의미하기 때문에 크기는 다음과 같다. • 전송데이터 비트수/초 * 시간(초) • 128Kbits/sec * 180sec = 23.090Mbits • 따라서 3분의 128Kbps 44KHz 음악파일은 3메가바이트(23Mbits)정도가 되며 실제 MP3파일의 경우 320Kbps이상으로 인코딩되기도 한다.
제5장 멀티미디어 기초 5.3 비디오(Video) 5.3.1 비디오 방식 •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비디오방식은 주사선수나 채널대역폭 등에 따라 분류 • 대표적인 비디오 표준방식 : NTSC, PAL, SECAM 세가지가 있다. • 방송표준이 다른 방송을 보려면 별도의 변환장치가 필요 • NTSC(National TV Standards Committee) - 미국과 우리나라 지역의 컬러텔레비전 표시형식 - 초당 프레임의 525개의 주사선(Scanning Line)으로 이루어진 해상도를 나타냄. • PAL(Phase Alternating Line) -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의 컬러텔레비전 표시형식 - 초당 프레임의 625개의 주사선으로 이루어진 해상도 • SECAM(Systems Equential Couleur A Memoire) - 프랑스에서 제안하여 소련을 비롯한 동유럽국과 일부 중남미 국가에서 표준채택 - 초당 25프레임의 625개의 주사선으로 이루어진 해상도 - 수직방향의 해상도는 떨어짐
제5장 멀티미디어 기초 5.3.2 주사선(Scanning line) • 비디오는 1초에 수십 장의 프레임이라 부르는 정지화상을 연속적으로 재생 • 사람 눈의 잔상 작용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모양을 재현 • 인간의 잔상 시간은 대략 1/16초 • 자연스러운 동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1초에 15장 이상의 정지화상이 필요 • 영화는 24프레임, NTSC 방식의 비디오는 30프레임으로 재생 • 비디오의 각각 프레임의 화상은 주사(Scanning)라 불리는 분해된 화소를 차례로 조합하는 과정을 거쳐 재생 • 주사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주사하는 수평주사와 위에서 아래로 주사하는 수직주사가 있는데 NTSC 방식의 수평주사선은 525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