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likes | 734 Views
창의성 ( 創意性 ) ( 창의성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 제 6 조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200903816 정용상 200903815 이현재. 1. 창의성의 정의 2.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 3. 교육방법에 대한 논쟁 - 과학주의적 입장 - 교양교육적 입장 - 진보주의적 입장 4. 정리하며 …. - 목 차 -. 창의성의 정의. 일반적인 사고유형에서 벗어나 새로운 유형으로 사고하는 특성
E N D
창의성(創意性) ( 창의성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제 6조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200903816 정용상 200903815 이현재
1. 창의성의 정의 2.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 3. 교육방법에 대한 논쟁 - 과학주의적 입장 - 교양교육적 입장 - 진보주의적 입장 4. 정리하며… - 목 차 -
창의성의 정의 • 일반적인 사고유형에서 벗어나 새로운 유형으로 사고하는 특성 • 이미 알려져 있지 않은 참신한 아이디어나 그런 아이디어의 복합체를 생산해 내는 것 • 상상력, 독창성, 창조성, 발명, 모험적 사고, 탐구, 영재성 등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 • 모든 아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창의적으로 태어남 • 서로 다름을 허용하고 존중 • 21세기의 빠른 사회변화에 따른 위기 대처능력을 기르기 위해 창의성 교육이 필요
바람직한 창의성 교육의 사례( 토란스 연구소 ) • 서로 다름을 허용하고 존중 • 아이들을 통제하지 않고 많이 경험하고 스스로 알아가도록 돕는 일 • 스스로 좋아하는 일, 잘 할 수 있는 일을 찾도록 도와주고 그것을 열심히 추구하도록 하는 것
창의성 교육방법에 대한 논쟁 • 과학주의적 입장 • 교양교육적 입장 • 진보주의적 입장
과학주의적 입장 • 과학적으로 고안된 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성을 평가하고 계발 • CPS (Creative Problem Solving) –기업체, 교육계에서 활용, 창의적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통해 구조화된 틀을 제공 • 브레인 스토밍(Brain storming) - 오스본 박사
브레인 스토밍(Brain storming) 여러 명이 토의를 통해, 어떤 주제나 문제에 대해 두뇌에서 폭풍이 몰아치듯 생각나는 아이디어를 쏟아내어 최선의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방법
브레인 스토밍(Brain storming) • 미국의 알렉스 오스본 (ALEX OSBORN)이 1961년 창안 • 현재 세계 각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집단 발상법 • 일명 눈덩이처럼 아이디어가불어 난다 하여 ‘SNOW BOWLING’기법이라고도 함
과학주의적 입장 • FPSP(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토렌스, CPS를 교육현장에 더욱 적합하게 만든 것 • 국내학자 : 김영채(계명대학교 교수), 이순복(성균관대학교 교수)
교양교육적입장 • 창의성을 계발시키기 위해 따로 시간을 내어 가르칠 필요는 없음 • 모든 교과목을 충실하게 공부하면 그것이 자연스레 창의성을 계발
진보주의적 입장 • 창의성이란 몰입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재구성해가는 과정(존 듀이,미국의 교육 철학자) • 듀이에서 대안적 창의성에 대한 생각을 끌어내기 위한 노력(최석민/ 조용기 대구교대 교수) • 창의적 결과는 지식이나 창조적 사고에서 올 수 없고, 몰입과 열정이 수반할 때 가능(칙센트미하이 교수)
프로그램식 교육에 대한 찬성(과학주의적 입장,김영채 교수) • 교육의 내용을기초적인 것, 현실적인 것, 현실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점점 확대시켜 갈 수 있음 • 실질적 성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의한 접근법이 보다 효율적이고 적합
프로그램식접근 방법에 대한 비판(진보주의적 입장,최석민 교수) • 창의성 검사 점수와 실제 성취도가 일치하지 않음 • 학교의 일반 교과목만 해도 바쁜데 별도의 시간을 내서 창의성을 교육하기는 힘이 듬 • 프로그램식 교육이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하나의 도식처럼 작용하여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
정리하며… • 창의성이란? • 알기를 원하는 것 • 냄새를 맡고, 귀를 기울이는 것 • 먼 길을 거쳐 무언가로 더 깊게 파고 드는 것 • 때론 모래성을 쌓고 틀 밖으로 벗어나, • 인내와 의지로 내일과 악수하는 것
토론주제 -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성 개발이 효과적인가? - 바람직한 창의성 교육 방법은?
참고문헌 • 한국창의성재단, 지식의 이중주, 해나무, 2009, 287p • 전경원,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6, 394p •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18007358 • http://blog.naver.com/dualgundam?Redirect=Log&logNo=30044021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