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4

대체에너지 - 핵융합발전

대체에너지 - 핵융합발전. 사회과학부 200921153 이현기. 목차. - 핵융합 반응의 원리와 장점 - 지구에서 핵융합이 일어나려면 ? - 핵융합에 대한 시도 1~4 -KSTAR -ITER - 핵융합 발전의 난제. 핵융합 반응의 원리와 장점. 핵융합 연료 : 중수소 삼중수소 . 바닷물 1 리터에는 0.03 그램의 중수소가 들어있으며 삼중수소도 리튬에서 쉽게 얻을 수 있다 . ( 리튬매장 : 지각 600 년 , 바다 1500 만년 )

yovela
Download Presentation

대체에너지 - 핵융합발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대체에너지-핵융합발전 사회과학부 200921153 이현기

  2. 목차 -핵융합 반응의 원리와 장점 -지구에서 핵융합이 일어나려면? -핵융합에 대한 시도 1~4 -KSTAR -ITER -핵융합 발전의 난제

  3. 핵융합 반응의 원리와 장점 • 핵융합 연료: 중수소 삼중수소 . • 바닷물 1리터에는 0.03그램의 중수소가 들어있으며 삼중수소도 리튬에서 쉽게 얻을 수 있다. (리튬매장:지각600년, 바다1500만년) • “핵융합연료 1g= 석유 8톤” (100kw발전기 2대를 하루동안) • CO2 배출량 없음. • 방사능량도 원자력의 0.04%. (10∼100년이면 재활용이 가능할 정도의 소량의 중저준위 폐기물만 발생.) • 핵융합로의 온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없고, 온도가 떨어지면 핵융합은 자동으로 중단.->원자력 발전처럼 폭발이나 방사능 누출의 위험이 없음.

  4. 플라즈마? • 고체, 액체, 기체가 아닌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제4의 물질상태

  5. 지구에서 핵융합이 일어나려면 • 1억도의 플라즈마가 필요하다. • 1억도의 플라즈마를 담을 그릇이 필요하다. • 바닷물이 필요하다.(이중,삼중수소-리튬) • 플라즈마의 불순물이 없어야 한다.(빛)

  6. 핵융합에 대한 시도-1 • 자기거울장치

  7. 핵융합에 대한 시도-2 • 고리모양장치

  8. 핵융합에 대한 시도-3 • 8자형 고리모양장치(스텔러레이터)

  9. 핵융합에 대한 시도-4 • 토카막장치

  10. KSTAR • 1995.12 개발착수 ~2007.8 완공 • 세계최초로 초전도체(Nb3Sn) 이용 ->ITER도 이에따라 2015년 준공예정(과거에는 구리선을 이용해서 열 발생이 컸음) TFTR(미) JET(EU) JT-60U(일) 을 앞섰음 -초전도체 기술과 더불어 대형 진공기 기술 (플라즈마 불순물x)로 후발국이지만 ITER에 가입승인

  11. ITER •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라틴어로 ‘길’ 이라는 뜻 • 사 업 명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공동개발사업 • 사업기간2004년 ~ 2015년 • 건설지  프랑스 카다라쉬 • 추진체계EU와 6개국 공동으로 ITER 장치 제작비, 국제기구 운영비, 공동 R&D 비용 부담 • 총건설비3,577.7 kIUA (약 50억800만유로) -8조6천억원

  12. 핵융합발전의 난제 • 현재 플라즈마를 가두는 시간은 초 단위 • 최대 난제는 ‘블랭킷’ 기술 개발

  13. 출처 • KSTAR의 개발현황(현재 국가핵융합연구소 센터장의 글) http://www.etnews.co.kr/news/sokbo_detail.html?id=200710230035 • 국가핵융합연구소 www.nfri.re.kr • 교과서 http://madang.ajou.ac.kr/~ydpark/lectures/chem_cntxt/tp_nuclear.htm • http://weekly.chosun.com/wdata/html/news/200611/20061115000010.html

  14. • 감사합니다! • 질문이 있으시면 해주시길 바랍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