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likes | 369 Views
남석하 ‘ 초당춘수곡 ’. 전 172 구 가사 애상적 . 풍류적 . 자연친화적 [A] 세상일을 생각하고 허망함을 느낌 ( 애상적 정취 . 내적 갈등 ) [B] 술을 먹고 자연을 즐김 ( 갈등 해소 . 풍류와 흥취 ) 주제 : 봄날의 흥취 . 유유자적. 주제 : 속세의 이익을 쫓는 마음을 경계함. 최치원 ‘ 우흥 ’( 즉흥적 감흥 ). 승 : 부귀를 탐하는 사람들. 기 : 욕심의 경계. 전 : 영화를 추구하는 사람들. 결 : 고독한 화자 ( 한탄 ).
E N D
남석하 ‘초당춘수곡’ • 전 172구 가사 • 애상적. 풍류적. 자연친화적 • [A] 세상일을 생각하고 허망함을 느낌(애상적 정취. 내적 갈등) • [B] 술을 먹고 자연을 즐김( 갈등 해소. 풍류와 흥취) • 주제 : 봄날의 흥취. 유유자적.
주제 : 속세의 이익을 쫓는 마음을 경계함 최치원 ‘우흥’(즉흥적 감흥) 승 : 부귀를 탐하는 사람들 기 : 욕심의 경계 전 : 영화를 추구하는 사람들 결 : 고독한 화자(한탄)
이규보 ‘지지헌기’ • 고전수필. 한문수필. 기(記) • 설의. 유추. 문답구조. • 교훈적. 경세적. • 주제 : 이익과 명리를 버리고 자신이 머물러야 할 곳에 머물러 사는 지혜
1문단 : 친구 이이립 소개 (‘세 벗의 의미 부여’ 부탁 받음) 유방선 ‘서파삼우설’ 2문단 : 물건도 벗 삼을 수 있음. 겸손하게 말한 것임. 3문단 : 세 벗의 진실된 의미 부여. 4문단 : 이이립에 대한 서술자의 기대. • 고전 수필. • 1) 글쓴 동기 = 설명을 덧붙여 해석해다오. • 2) 해석 (간접적 권유) = 세 벗에 대한 의미 부여 (정치참여 권유) • 3) 직접적 권유 = 나아갈 때다. 마땅히 눈을 씻고 기다리겠노라. • 주제 : 세 가지 사물에 대한 의미 부여와 이들을 통해 배울 수 있는 덕목
윤선도 ‘어부사시사’ 하사2 • 1653 년 67세 때 완도 보길도 부용동 은거 • 연시조(전40수). 평시조. • 세속에서 벗어나 자연과의 조화와 합일을 지향함. • 1 배띄워라. 2 닫드러라. 3 돋다라라. 4 이어라. 5 이어라 • 6. 돋디여라. 7 배셰여라. 8. 배매여라. 9 닫디여라. 10배브텨라. 춘사8 동사8 추사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