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likes | 253 Views
NO-RIVET (ub178ub9acubcb3ub0b4ud654ud328ub110) uc2dcubc29uc11c
E N D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 CLEANROOM TECH METAL ALUMINUM PANEL SYSTEM METAL CLEANROOM POLYURETHAN EPS PANEL ACOUSTIC MINERALWOOL NO RIVET GLASSWOOL SHEET SINGLE SHEET FIRE DOOR TPO PIR FIRE URETHAN BOARD TRUSS GIRDER DECK PLATE HIDDEN METAL WINDOW DOOR STEEL GLASS WOOL FR STRUCTURE of NO-RIVET 리벳 삭제 / 발포성패드 적용 경제성, 화재안정성, 고성능단열 확보
목 차 ● 내화구조 인정서 - SY-MG 123T-1 05 ● 내화구조 인정서 - SY-MG BT 123T-1 15 ● 내화구조 인정서 - SY-MG 100T-1 25 ● 내화구조 인정서 - SY-MG BT 100T-1 35
내화구조인정서 (SY-MG 123T-1) SY-MG 123T-1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123T-1〕 1. 내화구조 설계도서 SY-MG 123T-1 1-1 구조 설명도 ◦ 용도 : 내벽 및 외벽용 C형강 심재 표면재 단부 중앙부 판두께 내화성능 (두께, 높이, 폭, 리브) 그라스울 보온판 (두께 122mm, 밀도 64kg/m3 이상) 도장용융아연도금강판 (두께 0.5mm 이상) 지름 4.0mm 직결피스 (간격 200mm) 지름 6.0mm 셀프스크류 볼트 (간격 200mm) 3.2x100x50x20 이상 (간격 1500mm) 123mm 이상 1시간 〔수직시공〕 〔수평시공〕 (단위 : mm) (단위 : mm) 123이상 123이상 천정 천정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122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122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C형강 (3.2이상x100이상x50이상x20이상)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C형강 (3.2이상x100이상x50이상x20이상) 벽체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1500이하 벽체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콘크리트 바닥면 입면도 콘크리트 바닥면 입면도 수직단면도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수직단면도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122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122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직경 4.0직결피스 . 간격 200이하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직경 4.0직결피스 . 간격 200이하 수평단면도 수평단면도 06 07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123T-1〕 1. 내화구조 설계도서 SY-MG 123T-1 1-2 수평 단면 상세도 1-3 수직 단면 상세도 (단위 : mm) 123이상 천정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200이하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122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122이상) C형강 (3.2이상x100이상x50이상x20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A” 부분상세 벽체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B” 부분상세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콘크리트 바닥면 ① 그라스울 판넬 ②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600이하 ③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200이하 ④ 직경 9.0 SET ANCHOR 간격 1000이하 또는 직경 4.0 HILTI PIN,간격 600이하 ⑤ 발포성 패드 삽입 (두께 1.5이상) ⑥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123이상 벽판넬단위상세도 08 09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123T-1〕 1. 내화구조 설계도서 SY-MG 123T-1 1-4 시공 설명도 1-4-1 : 기타 상세도면 1-4-2 : 기타 상세도면 (가) 벽체판넬 조립 그라스울 판넬구조 시공설명도 ① 아연도강판 두께 1.0이상 ② 그라스울 벽체판넬 ③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200이하 ④ 발포성 패드 삽입 (두께 1.5이상) 판넬조립방향 (나) 외벽판넬 중도리 부분 ① 용마루 후레싱 상 ⑥ 직경 6.0 P.V.C 원형와샤 ⑩ “L” 형 칼라쉬트 앵글 ② 크로샤 스크류볼트 ⑪ 콘크리트 바닥면 ① C-형강 중도리 ③ 박공 후레싱 ⑦ 중도리 “C” 형강 ② 그라스울 벽체판넬 ④ END CAP ⑧ 직경 4.0 직결피스 ③ 직경 6.0 P.V.C 원형 스크류 볼트 ⑤ 그라스울 지붕판넬 ⑨ 그라스울 벽체판넬 고정 및 실리콘 충진 1-4-3 : 기타 상세도면 벽체 판넬 조립 ① 콘크리트바닥 (다) 외부판넬과 내부판넬 접합부분 ② 아연도강판 두께 1.0이상 ③ 직경 9.0 SET ANCHOR, 간격 1000이하 또는 직경 4.0 HILTI PIN, ① 그라스울판넬 (45도 절단) ② “L”형 칼라쉬트 ① 그라스울 벽체판넬 간격 600이하 ③ ”L”형 코너 후레싱 (외부) ② “ㄷ”아연도 챤넬 ④ 그라스울 벽체판넬 판넬조립방향 ④ 직경 4.0 직결피스 고정 및 실리콘 충진처리 ③ 직경 4.0 직결피스 ②에 고정 ⑤ 칼라쉬트 “L” 베이스 커버 ④ 발포성 패드 삽입 (두께 1.5이상) ⑥ 직경 4.0 직결피스 ⑦ 실리콘 충진처리 ⑧ 발포성패드삽입 (두께 1.5이상) 10 11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123T-1〕 2. 시방서 SY-MG 123T-1 2-1 SY-MG 123T-1 (건축용 철강제 벽판) 내·외벽의 수직시공 현장조립 시방서 2-2 SY-MG 123T-1(건축용 철강제 벽판) 내·외벽의 수평시공 현장조립 시방서 (가) 벽판넬의 조립은 바닥 콘크리트 작업이 끝난 후 그 위에 설치하며 그 바닥면은 평활해야 한다. 바닥면의 허용오차는 3m당 ±3mm (1/1,000) 정도 이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최대 10mm 이상 높이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한다. (가) 벽판넬의 조립은 바닥콘크리트 작업이 끝난 후 그 위에 설치하며 그 바닥면은 평활해야 한다. 바닥면의 허용오차는 3m당±3mm(1/1,000)정도 이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최대 10mm이상 높이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한다. (나) 바닥 콘크리트면이 평활하지 못한 경우 위항의 허용 오차내로 하기 위하여 시멘트 몰탈 등으로 마감한 후 벽체 조립을 해야 한다. (나) 바닥 콘크리트면이 평활하지 못한 경우 위항의 허용오차내로 하기 위하여 시멘트몰탈등으로 마감한 후 벽체 조립을 해야 한다. (다) 벽판넬 설치전 바닥면에는 베이스 찬넬을 두께에 맞추어 선정하여 1,000mm 간격으로 Ø9mm 규격의 셋트앙카 또는 Ф4 HILTI PIN을 600mm간격으로 고정한다. 이때 셋트앙카 시공 부위에는 반드시 적당 규격의 (Ф30mm) 와샤를 사용하며 동시에 볼트구멍 부위에 방수 마감을 하여야 한다. (다) 벽판넬 설치전 바닥면에 판넬 수직단면 상세도 도면(1-3 Detail B) 과 같이 베이스 찬넬을 두께에 맞추어 선정하여 1,000mm 간격으로 Ф9mm 규격의 셋트앙카 또는 Ф4 HILTI PIN을 600mm 간격으로 고정한다. 이때 반드시 적당규격의 (Ф30mm) 와샤를 사용하며 동시에 볼트 구멍 부위에 방수 마감을 하여야 한다. (라) 외부판넬 끝부분 연결은 “L”형에 앵글을 사용하여, 직결피스(Ф4mm, @600mm)로 체결하고 내부는 판넬과 베이스 찬넬을 직결피스로 체결한다. (라) 외부판넬 끝부분 연결은 “L”형에 직결피스(Ф4mm, @600mm)로 체결하고 내부는 판넬과 베이스 찬넬을 직결피스로 체결 한다. (마) 벽판넬의 폭은 1,000mm 이며 높이는 도면에 표시된 건물의 높이에 따라 제작한다. (마) 벽판넬의 폭은 1,000mm이며 높이는 도면에 표시된 건물의 높이에 따라 제작한다. 벽판넬의 폭은 1,000mm이며 길이는 기둥 간격을 고려하여 10m 내외로 절단하여 시공하되 판넬이 접합되는 기둥 부분에 실란트 테이프를 붙이고 건물 안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판넬을 밀착시켜 시공한다. (바) 벽판의 표준 마감 캡 부위는 발포성패드(두께 : 1.5mm)를 삽입후 직결피스 (Ф4mm, @200mm)로 체결하고, 폭 방향 연결부위에는 열손실 및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밀착 시공하며, 발포성 패드(두께 : 1.5mm)를 삽입후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 시공한다. (바) 벽판의 표준 마감캡 부위는 발포성패드 (두께: 1.5mm)를 삽입후 직결피스(Ф4mm, @200mm)로 체결하고, 폭 방향 연결부위에는 열손실 및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밀착 시공하며, 발포성패드 (두께: 1.5mm)를 삽입후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 시공한다. (사) 벽판과 중도리 띠장(C-형강 3.2Tx100x50x20)의 연결은 셀프스크류 직결볼트(Ф6mm)를 사용하여 판의 연결부위를 고정하여 판의 유동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직결볼트에 고무패킹을 끼워 누수를 방지한다. (사) 벽판과 중도리 띠장(C-형강 3.2Tx100x50x20)의 연결은 셀프스크류 직결볼트 (Ф6mm)를 사용하여 판의 연결부위를 고정하여 판의 유동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직결볼트에 고무 패킹을 끼워 누수를 방지한다. ㉮ 띠장의 간격 : 1,500mm ㉯ 직결 볼트의 제품 두께별 규격 ㉮ 띠장의 간격 : 1,500mm ㉯ 직결 볼트의 제품 두께별 규격 제품두께(mm) 직결볼트 규격(mm) 제품두께(mm) 직결볼트 규격(mm) 123 이상 Ф6 x 150 123 이상 Ф6 x 150 (아) 벽판넬 모서리 부분 연결은 알미늄 또는 코팅철판의 직각 앵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아) 벽판넬 모서리 부분 연결은 알미늄 또는 코팅 철판의 직각 앵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자) 벽판넬의 코너부분은 각 판넬의 접합부분을 45°로 엇빗 따내어 연귀 맞춤한 다음 내,외부에는 “L”형 알미늄 몰드 또는 코팅철판 앵글을 사용하여 직결피스(간격 @600mm)로 체결 고정한다. (자) 벽판넬의 코너부분은 각 판넬의 접합부분을 45°로 엇빗 따내어 연귀 맞춤한 다음 내, 외부에는 “L”형 알미늄 몰드 또는 코팅철판 앵글을 사용하여 직결피스(간격 @600mm)로 체결 고정한다. 12 13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인정서 (SY-MG BT 123T-1) SY-MG BT 123T-1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BT 123T-1〕 1. 내화구조 설계도서 1-1 구조 설명도 ◦ 용도 : 외벽용 C형강 심재 표면재 단부 중앙부 판두께 내화성능 (두께, 높이, 폭, 리브) 그라스울 보온판 (두께 122mm, 밀도 64kg/m3 이상) 도장용융아연도금강판 (두께 0.5mm 이상) 지름 4.0mm 직결피스 (간격 200mm) 지름 6.0mm 셀프스크류 볼트 (간격 200mm) 3.2x100x50x20 이상 (간격 1500mm) 123mm 이상 1시간 〔수직시공〕 〔수평시공〕 (단위 : mm) (단위 : mm) SY-MG BT 123T-1 123이상 123이상 천정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천정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122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122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C형강 (3.2이상x100이상x50이상x20이상) C형강 (3.2이상x100이상x50이상x20이상) 1500이하 벽체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콘크리트 바닥면 콘크리트 바닥면 입면도 입면도 수직단면도 수직단면도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122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122이상) 직경 4.0직결피스 . 간격 200이하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직경 4.0직결피스 . 간격 200이하 수평단면도 수평단면도 16 17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BT 123T-1〕 1. 내화구조 설계도서 1-2 수평 단면 상세도 1-3 수직 단면 상세도 (단위 : mm) 123이상 천정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200이하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SY-MG BT 123T-1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122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122이상) C형강 (3.2이상x100이상x50이상x20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A” 부분상세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1500이하 벽체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B” 부분상세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23이상x100이상) 콘크리트 바닥면 ① 그라스울 판넬 ②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600이하 ③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200이하 ④ 직경 9.0 SET ANCHOR 간격 1000이하 또는 직경 4.0 HILTI PIN, 간격 600이하 ⑤ 발포성 패드 삽입 (두께 1.5이상) ⑥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123이상 벽판넬단위상세도 18 19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BT 123T-1〕 1. 내화구조 설계도서 1-4 시공 설명도 1-4-1 : 기타 상세도면 1-4-2 : 기타 상세도면 (가) 벽체판넬 조립 그라스울 판넬구조 시공설명도 ① 아연도강판 두께 1.0이상 ② 그라스울 벽체판넬 ③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200이하 SY-MG BT 123T-1 ④ 발포성 패드 삽입 (두께 1.5이상) 판넬조립방향 (나) 외벽판넬 중도리 부분 ① 용마루 후레싱 상 ⑥ 직경 6.0 P.V.C 원형와샤 ⑩ “L” 형 칼라쉬트 앵글 ② 크로샤 스크류볼트 ⑪ 콘크리트 바닥면 ① C-형강 중도리 ③ 박공 후레싱 ⑦ 중도리 “C” 형강 ② 그라스울 벽체판넬 ④ END CAP ⑧ 직경 4.0 직결피스 ③ 직경 6.0 P.V.C 원형 스크류 볼트 ⑤ 그라스울 지붕판넬 ⑨ 그라스울 벽체판넬 고정 및 실리콘 충진 1-4-3 : 기타 상세도면 벽체 판넬 조립 ① 콘크리트바닥 (다) 외부판넬과 내부판넬 접합부분 ② 아연도강판 두께 1.0이상 ③ 직경 9.0 SET ANCHOR 간격 1000이하 또는 직경 4.0 HILTI PIN, ① 그라스울판넬 (45도 절단) ② “L”형 칼라쉬트 ① 그라스울 벽체판넬 간격 600이하 ③ ”L”형 코너 후레싱 (외부) ② “ㄷ”아연도 챤넬 ④ 그라스울 벽체판넬 판넬조립방향 ④ 직경 4.0 직결피스 고정 및 실리콘 충진처리 ③ 직경 4.0 직결피스 ②에 고정 ⑤ 칼라쉬트 “L” 베이스 커버 ④ 발포성 패드 삽입 (두께 1.5이상) ⑥ 직경 4.0 직결피스 ⑦ 실리콘충진처리 ⑧ 발포성패드삽입 (두께 1.5이상) 20 21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BT 123T-1〕 2. 시방서 2-1 SY-MG BT 123T-1 (건축용 철강제 벽판) 외벽의 수직시공 현장조립 시방서 2-2 SY-MG BT 123T-1(건축용 철강제 벽판) 외벽의 수평시공 현장조립 시방서 (가) 벽판넬의 조립은 바닥 콘크리트 작업이 끝난 후 그 위에 설치하며 그 바닥면은 평활해야 한다. 바닥면의 허용오차는 3m당 ±3mm (1/1,000) 정도 이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최대 10mm 이상 높이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한다. (가) 벽판넬의 조립은 바닥콘크리트 작업이 끝난 후 그 위에 설치하며 그 바닥면은 평활해야 한다. 바닥면의 허용오차는 3m당±3mm(1/1,000)정도 이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최대 10mm이상 높이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한다. (나) 바닥 콘크리트면이 평활하지 못한 경우 위항의 허용 오차내로 하기 위하여 시멘트 몰탈 등으로 마감한 후 벽체 조립을 해야 한다. (나) 바닥 콘크리트면이 평활하지 못한 경우 위항의 허용오차내로 하기 위하여 시멘트몰탈등으로 마감한 후 벽체 조립을 해야 한다. (다) 벽판넬 설치전 바닥면에는 베이스 찬넬을 두께에 맞추어 선정하여 1,000mm 간격으로 Ø9mm 규격의 셋트앙카 또는 Ф4 HILTI PIN을 600mm간격으로 고정한다. 이때 셋트앙카 시공 부위에는 반드시 적당 규격의 (Ф30mm) 와샤를 사용하며 동시에 볼트구멍 부위에 방수 마감을 하여야 한다. (다) 벽판넬 설치전 바닥면에 판넬 수직단면 상세도 도면(1-3 Detail B) 과 같이 베이스 찬넬을 두께에 맞추어 선정하여 1,000mm 간격으로 Ф9mm 규격의 셋트앙카 또는 Ф4 HILTI PIN을 600mm 간격으로 고정한다. 이때 반드시 적당규격의 (Ф30mm) 와샤를 사용하며 동시에 볼트 구멍 부위에 방수 마감을 하여야 한다. SY-MG BT 123T-1 (라) 외부판넬 끝부분 연결은 “L”형에 앵글을 사용하여, 직결피스(Ф4mm, @600mm)로 체결하고 내부는 판넬과 베이스 찬넬을 직결피스로 체결한다. (라) 외부판넬 끝부분 연결은 “L”형에 직결피스(Ф4mm, @600mm)로 체결하고 내부는 판넬과 베이스 찬넬을 직결피스로 체결 한다. (마) 벽판넬의 폭은 1,000mm 이며 높이는 도면에 표시된 건물의 높이에 따라 제작한다. (마) 벽판넬의 폭은 1,000mm이며 높이는 도면에 표시된 건물의 높이에 따라 제작한다. 벽판넬의 폭은 1,000mm이며 길이는 기둥 간격을 고려하여 10m 내외로 절단하여 시공하되 판넬이 접합되는 기둥 부분에 실란트 테이프를 붙이고 건물 안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판넬을 밀착시켜 시공한다. (바) 벽판의 표준 마감 캡 부위는 발포성패드(두께 : 1.5mm)를 삽입후 직결피스 (Ф4mm, @200mm)로 체결하고, 폭 방향 연결부위에는 열손실 및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밀착 시공하며, 발포성 패드(두께 : 1.5mm)를 삽입후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 시공한다. (바) 벽판의 표준 마감캡 부위는 발포성패드 (두께: 1.5mm)를 삽입후 직결피스(Ф4mm, @200mm)로 체결하고, 폭 방향 연결부위에는 열손실 및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밀착 시공하며, 발포성패드 (두께: 1.5mm)를 삽입후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 시공한다. (사) 벽판과 중도리 띠장(C-형강 3.2Tx100x50x20)의 연결은 셀프스크류 직결볼트(Ф6mm)를 사용하여 판의 연결부위를 고정하여 판의 유동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직결볼트에 고무패킹을 끼워 누수를 방지한다. (사) 벽판과 중도리 띠장(C-형강 3.2Tx100x50x20)의 연결은 셀프스크류 직결볼트 (Ф6mm)를 사용하여 판의 연결부위를 고정하여 판의 유동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직결볼트에 고무 패킹을 끼워 누수를 방지한다. ㉮ 띠장의 간격 : 1,500mm ㉯ 직결 볼트의 제품 두께별 규격 ㉮ 띠장의 간격 : 1,500mm ㉯ 직결 볼트의 제품 두께별 규격 제품두께(mm) 직결볼트 규격(mm) 제품두께(mm) 직결볼트 규격(mm) 123 이상 Ф6 x 150 123 이상 Ф6 x 150 (아) 벽판넬 모서리 부분 연결은 알미늄 또는 코팅철판의 직각 앵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아) 벽판넬 모서리 부분 연결은 알미늄 또는 코팅 철판의 직각 앵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자) 벽판넬의 코너부분은 각 판넬의 접합부분을 45°로 엇빗 따내어 연귀 맞춤한 다음 내,외부에는 “L”형 알미늄 몰드 또는 코팅철판 앵글을 사용하여 직결피스(간격 @600mm)로 체결 고정한다. (자) 벽판넬의 코너부분은 각 판넬의 접합부분을 45°로 엇빗 따내어 연귀 맞춤한 다음 내, 외부에는 “L”형 알미늄 몰드 또는 코팅철판 앵글을 사용하여 직결피스(간격 @600mm)로 체결 고정한다. 22 23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인정서 (SY-MG 100T-1) SY-MG 100T-1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100T-1〕 1. 내화구조 설계도서 1-1 구조 설명도 ◦ 용도 : 내벽 및 외벽용 C형강 심재 표면재 단부 중앙부 판두께 내화성능 (두께, 높이, 폭, 리브) 그라스울 보온판 (두께 99mm, 밀도 64kg/m3 이상) 도장용융아연도금강판 (두께 0.5mm 이상) 지름 4.0mm 직결피스 (간격 200mm) 지름 6.0mm 셀프스크류 볼트 (간격 200mm) 3.2x100x50x20 이상 (간격 1500mm) 100mm 이상 0.5시간 〔수직시공〕 〔수평시공〕 (단위 : mm) (단위 : mm) 100이상 100이상 천정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천정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99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99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C형강 (3.2이상x100이상x50이상x20이상) SY-MG 100T-1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C형강 (3.2이상x100이상x50이상x20이상) 벽체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1500 이하 벽체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콘크리트 바닥면 입면도 콘크리트 바닥면 입면도 수직단면도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수직단면도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99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99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직경 4.0직결피스 . 간격 200이하 직경 4.0직결피스 . 간격 200이하 수평단면도 수평단면도 26 27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100T-1〕 1. 내화구조 설계도서 1-2 수평 단면 상세도 1-3 수직 단면 상세도 (단위 : mm) 100이상 천정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99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200이하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99이상) C형강 (3.2이상x100이상x50이상x20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A” 부분상세 1500이하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SY-MG 100T-1 벽체 “B” 부분상세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콘크리트 바닥면 ① 그라스울 판넬 ②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600이하 ③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200이하 ④ 직경 9.0 SET ANCHOR 간격 1000이하 또는 직경 4.0 HILTI PIN, 간격 600이하 ⑤ 발포성 패드 삽입 (두께 1.5이상) ⑥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100 이상 벽판넬단위상세도 28 29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100T-1〕 1. 내화구조 설계도서 1-4 시공 설명도 1-4-1 : 기타 상세도면 1-4-2 : 기타 상세도면 (가) 벽체판넬 조립 그라스울 판넬구조 시공설명도 ① 아연도강판 두께 1.0이상 ② 그라스울 벽체판넬 ③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200이하 ④ 발포성 패드 삽입 (두께 1.5이상) 판넬조립방향 (나) 외벽판넬 중도리 부분 ① 용마루 후레싱 상 ⑥ 직경 6.0 P.V.C 원형와샤 ⑩ “L” 형 칼라쉬트 앵글 ② 크로샤 스크류볼트 ⑪ 콘크리트 바닥면 SY-MG 100T-1 ① C-형강 중도리 ③ 박공 후레싱 ⑦ 중도리 “C” 형강 ② 그라스울 벽체판넬 ④ END CAP ⑧ 직경 4.0 직결피스 ③ 직경 6.0 P.V.C 원형 스크류 볼트 ⑤ 그라스울 지붕판넬 ⑨ 그라스울 벽체판넬 고정 및 실리콘 충진 1-4-3 : 기타 상세도면 벽체 판넬 조립 ① 콘크리트바닥 (다) 외부판넬과 내부판넬 접합부분 ② 아연도강판 두께 1.0이상 ③ 직경 9.0 SET ANCHOR 간격 1000이하 또는 직경 4.0 HILTI PIN, ① 그라스울판넬 (45도 절단) ② “L”형 칼라쉬트 ① 그라스울 벽체판넬 간격 600이하 ③ ”L”형 코너 후레싱 (외부) ② “ㄷ”아연도 챤넬 ④ 그라스울 벽체판넬 판넬조립방향 ④ 직경 4.0 직결피스 고정 및 실리콘 충진처리 ③ 직경 4.0 직결피스 ②에 고정 ⑤ 칼라쉬트 “L” 베이스 커버 ④ 발포성 패드 삽입 (두께 1.5이상) ⑥ 직경 4.0 직결피스 ⑦ 실리콘충진처리 ⑧ 발포성패드삽입 (두께 1.5이상) 30 31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100T-1〕 2. 시방서 2-1 SY-MG 100T-1 (건축용 철강제 벽판) 내·외벽의 수직시공 현장조립 시방서 2-2 SY-MG 100T-1 (건축용 철강제 벽판) 내·외벽의 수평시공 현장조립 시방서 (가) 벽판넬의 조립은 바닥 콘크리트 작업이 끝난 후 그 위에 설치하며 그 바닥면은 평활해야 한다. 바닥면의 허용오차는 3m당 ±3mm (1/1,000) 정도 이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최대 10mm 이상 높이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한다. (가) 벽판넬의 조립은 바닥콘크리트 작업이 끝난 후 그 위에 설치하며 그 바닥면은 평활해야 한다. 바닥면의 허용오차는 3m당±3mm(1/1,000)정도 이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최대 10mm이상 높이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한다. (나) 바닥 콘크리트면이 평활하지 못한 경우 위항의 허용 오차내로 하기 위하여 시멘트 몰탈 등으로 마감한 후 벽체 조립을 해야 한다. (나) 바닥 콘크리트면이 평활하지 못한 경우 위항의 허용오차내로 하기 위하여 시멘트몰탈등으로 마감한 후 벽체 조립을 해야 한다. (다) 벽판넬 설치전 바닥면에는 베이스 찬넬을 두께에 맞추어 선정하여 1,000mm 간격으로 Ø9mm 규격의 셋트앙카 또는 Ф4 HILTI PIN을 600mm간격으로 고정한다. 이때 셋트앙카 시공 부위에는 반드시 적당 규격의 (Ф30mm) 와샤를 사용하며 동시에 볼트구멍 부위에 방수 마감을 하여야 한다. (다) 벽판넬 설치전 바닥면에 판넬 수직단면 상세도 도면(1-3 Detail B) 과 같이 베이스 찬넬을 두께에 맞추어 선정하여 1,000mm 간격으로 Ф9mm 규격의 셋트앙카 또는 Ф4 HILTI PIN을 600mm 간격으로 고정한다. 이때 반드시 적당규격의 (Ф30mm) 와샤를 사용하며 동시에 볼트 구멍 부위에 방수 마감을 하여야 한다. (라) 외부판넬 끝부분 연결은 “L”형에 앵글을 사용하여, 직결피스(Ф4mm, @600mm)로 체결하고 내부는 판넬과 베이스 찬넬을 직결피스로 체결한다. (라) 외부판넬 끝부분 연결은 “L”형에 직결피스(Ф4mm, @600mm)로 체결하고 내부는 판넬과 베이스 찬넬을 직결피스로 체결 한다. (마) 벽판넬의 폭은 1,000mm 이며 높이는 도면에 표시된 건물의 높이에 따라 제작한다. (마) 벽판넬의 폭은 1,000mm이며 높이는 도면에 표시된 건물의 높이에 따라 제작한다. 벽판넬의 폭은 1,000mm이며 길이는 기둥 간격을 고려하여 10m 내외로 절단하여 시공하되 판넬이 접합되는 기둥 부분에 실란트 테이프를 붙이고 건물 안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판넬을 밀착시켜 시공한다. (바) 벽판의 표준 마감 캡 부위는 발포성패드(두께 : 1.5mm)를 삽입후 직결피스 (Ф4mm, @200mm)로 체결하고, 폭 방향 연결부위에는 열손실 및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밀착 시공하며, 발포성 패드(두께 : 1.5mm)를 삽입후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 시공한다. (바) 벽판의 표준 마감캡 부위는 발포성패드 (두께: 1.5mm)를 삽입후 직결피스(Ф4mm, @200mm)로 체결하고, 폭 방향 연결부위에는 열손실 및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밀착 시공하며, 발포성패드 (두께: 1.5mm)를 삽입후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 시공한다. SY-MG 100T-1 (사) 벽판과 중도리 띠장(C-형강 3.2Tx100x50x20)의 연결은 셀프스크류 직결볼트(Ф6mm)를 사용하여 판의 연결부위를 고정하여 판의 유동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직결볼트에 고무패킹을 끼워 누수를 방지한다. (사) 벽판과 중도리 띠장(C-형강 3.2Tx100x50x20)의 연결은 셀프스크류 직결볼트 (Ф6mm)를 사용하여 판의 연결부위를 고정하여 판의 유동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직결볼트에 고무 패킹을 끼워 누수를 방지한다. ㉮ 띠장의 간격 : 1,500mm ㉯ 직결 볼트의 제품 두께별 규격 ㉮ 띠장의 간격 : 1,500mm ㉯ 직결 볼트의 제품 두께별 규격 제품두께(mm) 직결볼트 규격(mm) 제품두께(mm) 직결볼트 규격(mm) 100 이상 Ф6 x 130 100 이상 Ф6 x 130 (아) 벽판넬 모서리 부분 연결은 알미늄 또는 코팅철판의 직각 앵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아) 벽판넬 모서리 부분 연결은 알미늄 또는 코팅 철판의 직각 앵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자) 벽판넬의 코너부분은 각 판넬의 접합부분을 45°로 엇빗 따내어 연귀 맞춤한 다음 내·외부에는 “L”형 알미늄 몰드 또는 코팅철판 앵글을 사용하여 직결피스(간격 @600mm)로 체결 고정한다. (자) 벽판넬의 코너부분은 각 판넬의 접합부분을 45°로 엇빗 따내어 연귀 맞춤한 다음 내, 외부에는 “L”형 알미늄 몰드 또는 코팅철판 앵글을 사용하여 직결피스(간격 @600mm)로 체결 고정한다. 32 33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인정서 (SY-MG BT 100T-1) SY-MG BT 100T-1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BT 100T-1〕 1. 내화구조 설계도서 1-1 구조 설명도 ◦ 용도 : 외벽용 C형강 심재 표면재 단부 중앙부 판두께 내화성능 (두께, 높이, 폭, 리브) 그라스울 보온판 (두께 99mm, 밀도 64kg/m3 이상) 도장용융아연도금강판 (두께 0.5mm 이상) 지름 4.0mm 직결피스 (간격 200mm) 지름 6.0mm 셀프스크류 볼트 (간격 200mm) 3.2x100x50x20 이상 (간격 1500mm) 100mm 이상 0.5시간 〔수직시공〕 〔수평시공〕 (단위 : mm) (단위 : mm) 100이상 100이상 천정 천정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99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99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C형강 (3.2이상x100이상x50이상x20이상) C형강 (3.2이상x100이상x50이상x20이상) 벽체 1500 이하 벽체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콘크리트 바닥면 콘크리트 바닥면 입면도 입면도 SY-MG BT 100T-1 수직단면도 수직단면도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99이상) 직경 4.0직결피스 . 간격 200이하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99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직경 4.0직결피스 . 간격 200이하 수평단면도 수평단면도 36 37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BT 100T-1〕 1. 내화구조 설계도서 1-2 수평 단면 상세도 1-3 수직 단면 상세도 (단위 : mm) 100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천정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200이하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99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그라스울 보온판 64kg/m3 (두께 99이상) 도장용융 아연도금 강판 (두께 0.5이상) C형강 (3.2이상x100이상x50이상x20이상) “A” 부분상세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발포성 패드 (두께 1.5이상) 1500이하 벽체 “B” 부분상세 발포성패드 (두께 1.5이상) 아연도 강판 두께 1.0 이상 (100이상x100이상) 콘크리트 바닥면 ① 그라스울 판넬 ②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600이하 ③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200이하 ④ 직경 9.0 SET ANCHOR 간격 1000이하 또는 직경 4.0 HILTI PIN, 간격 600이하 ⑤ 발포성 패드 삽입 (두께 1.5이상) ⑥ 셀프스크류볼트 직경 6.0 SY-MG BT 100T-1 100 이상 벽판넬단위상세도 38 39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BT 100T-1〕 1. 내화구조 설계도서 1-4 시공 설명도 1-4-1 : 기타 상세도면 1-4-2 : 기타 상세도면 (가) 벽체판넬 조립 그라스울 판넬구조 시공설명도 ① 아연도강판 두께 1.0이상 ② 그라스울 벽체판넬 ③ 직경 4.0 직결피스, 간격 200이하 ④ 발포성 패드 삽입 (두께 1.5이상) 판넬조립방향 (나) 외벽판넬 중도리 부분 ① 용마루 후레싱 상 ⑥ 직경 6.0 P.V.C 원형와샤 ⑩ “L” 형 칼라쉬트 앵글 ② 크로샤 스크류볼트 ⑪ 콘크리트 바닥면 ① C-형강 중도리 ③ 박공 후레싱 ⑦ 중도리 “C” 형강 ② 그라스울 벽체판넬 ④ END CAP ⑧ 직경 4.0 직결피스 ③ 직경 6.0 P.V.C 원형 스크류 볼트 ⑤ 그라스울 지붕판넬 ⑨ 그라스울 벽체판넬 고정 및 실리콘 충진 1-4-3 : 기타 상세도면 벽체 판넬 조립 ① 콘크리트바닥 (다) 외부판넬과 내부판넬 접합부분 ② 아연도강판 두께 1.0이상 SY-MG BT 100T-1 ③ 직경 9.0 SET ANCHOR 간격 1000이하 또는 직경 4.0 HILTI PIN, ① 그라스울판넬 (45도 절단) ② “L”형 칼라쉬트 ① 그라스울 벽체판넬 간격 600이하 ③ ”L”형 코너 후레싱 (외부) ② “ㄷ”아연도 챤넬 ④ 그라스울 벽체판넬 판넬조립방향 ④ 직경 4.0 직결피스 고정 및 실리콘 충진처리 ③ 직경 4.0 직결피스 ②에 고정 ⑤ 칼라쉬트 “L” 베이스 커버 ④ 발포성 패드 삽입 (두께 1.5이상) ⑥ 직경 4.0 직결피스 ⑦ 실리콘충진처리 ⑧ 발포성패드삽입 (두께 1.5이상) 40 41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내화구조세부인정내용〔SY-MG BT 100T-1〕 2. 시방서 2-1 SY-MG BT 100T-1 (건축용 철강제 벽판) 외벽의 수직시공 현장조립 시방서 2-2 SY-MG BT 100T-1 (건축용 철강제 벽판) 외벽의 수평시공 현장조립 시방서 (가) 벽판넬의 조립은 바닥 콘크리트 작업이 끝난 후 그 위에 설치하며 그 바닥면은 평활해야 한다. 바닥면의 허용오차는 3m당 ±3mm (1/1,000) 정도 이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최대 10mm 이상 높이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한다. (가) 벽판넬의 조립은 바닥콘크리트 작업이 끝난 후 그 위에 설치하며 그 바닥면은 평활해야 한다. 바닥면의 허용오차는 3m당±3mm(1/1,000)정도 이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최대 10mm이상 높이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한다. (나) 바닥 콘크리트면이 평활하지 못한 경우 위항의 허용 오차내로 하기 위하여 시멘트 몰탈 등으로 마감한 후 벽체 조립을 해야 한다. (나) 바닥 콘크리트면이 평활하지 못한 경우 위항의 허용오차내로 하기 위하여 시멘트몰탈등으로 마감한 후 벽체 조립을 해야 한다. (다) 벽판넬 설치전 바닥면에는 베이스 찬넬을 두께에 맞추어 선정하여 1,000mm 간격으로 Ø9mm 규격의 셋트앙카 또는 Ф4 HILTI PIN을 600mm간격으로 고정한다. 이때 셋트앙카 시공 부위에는 반드시 적당 규격의 (Ф30mm) 와샤를 사용하며 동시에 볼트구멍 부위에 방수 마감을 하여야 한다. (다) 벽판넬 설치전 바닥면에 판넬 수직단면 상세도 도면(1-3 Detail B) 과 같이 베이스 찬넬을 두께에 맞추어 선정하여 1,000mm 간격으로 Ф9mm 규격의 셋트앙카 또는 Ф4 HILTI PIN을 600mm 간격으로 고정한다. 이때 반드시 적당규격의 (Ф30mm) 와샤를 사용하며 동시에 볼트 구멍 부위에 방수 마감을 하여야 한다. (라) 외부판넬 끝부분 연결은 “L”형에 앵글을 사용하여, 직결피스(Ф4mm, @600mm)로 체결하고 내부는 판넬과 베이스 찬넬을 직결피스로 체결한다. (라) 외부판넬 끝부분 연결은 “L”형에 직결피스(Ф4mm, @600mm)로 체결하고 내부는 판넬과 베이스 찬넬을 직결피스로 체결 한다. (마) 벽판넬의 폭은 1,000mm 이며 높이는 도면에 표시된 건물의 높이에 따라 제작한다. (마) 벽판넬의 폭은 1,000mm이며 높이는 도면에 표시된 건물의 높이에 따라 제작한다. 벽판넬의 폭은 1,000mm이며 길이는 기둥 간격을 고려하여 10m 내외로 절단하여 시공하되 판넬이 접합되는 기둥 부분에 실란트 테이프를 붙이고 건물 안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판넬을 밀착시켜 시공한다. (바) 벽판의 표준 마감 캡 부위는 발포성패드(두께 : 1.5mm)를 삽입후 직결피스 (Ф4mm, @200mm)로 체결하고, 폭 방향 연결부위에는 열손실 및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밀착 시공하며, 발포성 패드(두께 : 1.5mm)를 삽입후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 시공한다. (바) 벽판의 표준 마감캡 부위는 발포성패드 (두께: 1.5mm)를 삽입후 직결피스(Ф4mm, @200mm)로 체결하고, 폭 방향 연결부위에는 열손실 및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밀착 시공하며, 발포성패드 (두께: 1.5mm)를 삽입후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 시공한다. (사) 벽판과 중도리 띠장(C-형강 3.2Tx100x50x20)의 연결은 셀프스크류 직결볼트(Ф6mm)를 사용하여 판의 연결부위를 고정하여 판의 유동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직결볼트에 고무패킹을 끼워 누수를 방지한다. (사) 벽판과 중도리 띠장(C-형강 3.2Tx100x50x20)의 연결은 셀프스크류 직결볼트 (Ф6mm)를 사용하여 판의 연결부위를 고정하여 판의 유동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직결볼트에 고무 패킹을 끼워 누수를 방지한다. ㉮ 띠장의 간격 : 1,500mm ㉯ 직결 볼트의 제품 두께별 규격 ㉮ 띠장의 간격 : 1,500mm ㉯ 직결 볼트의 제품 두께별 규격 제품두께(mm) 직결볼트 규격(mm) 제품두께(mm) 직결볼트 규격(mm) 100 이상 Ф6 x 130 100 이상 Ф6 x 130 (아) 벽판넬 모서리 부분 연결은 알미늄 또는 코팅철판의 직각 앵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SY-MG BT 100T-1 (아) 벽판넬 모서리 부분 연결은 알미늄 또는 코팅 철판의 직각 앵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자) 벽판넬의 코너부분은 각 판넬의 접합부분을 45°로 엇빗 따내어 연귀 맞춤한 다음 내,외부에는 “L”형 알미늄 몰드 또는 코팅철판 앵글을 사용하여 직결피스(간격 @600mm)로 체결 고정한다. (자) 벽판넬의 코너부분은 각 판넬의 접합부분을 45°로 엇빗 따내어 연귀 맞춤한 다음 내, 외부에는 “L”형 알미늄 몰드 또는 코팅철판 앵글을 사용하여 직결피스(간격 @600mm)로 체결 고정한다. 42 43 SY FR STRUCTURE of NO-RIVET SY FR STRUCTURE of NO-RIVET
TEL 1588-0680 / 02-556-5458 본 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81길 3(역삼동) 에스와이빌딩 인주 1공장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인주산단로 23-120 인주 2공장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인주산단로 75-77 인주 3공장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인주산단로 75-78 파주공장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장산로76번길 14-90 논산공장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매죽헌로 879-20 영천공장 경상북도 영천군 대창면 선진길 46-6 본 책자는 저작권법에 의거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본 책자의 내용 및 제품 규격은 성능개선을 위해 예고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19. 12 All right reserved. The contents of this data and its product specification are subject to change without notice for quality improvement. Printed in Dec.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