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359 Views
전자처방전을 위한 인터넷중계센터의 역할. 한국통신 기업거래사업부 임근찬 부장. 원외 전자처방전의 필요성. 의약분업의 본격실시 (2000.8.1 ~ ) 인터넷 기술의 발전 및 보급 확대 ADSL 의 급속한 보급 (2000.7 : 180 만 , 2000 년말 : 500 만회선 ) 정액제 요금도입으로 사용량과 이용요금과 무관 원외전자처방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 전자거래기본법 ( 전자문서 법적효력 ) 전자서명법 ( 전자문서의 인증 , 서명 등 후속분야 법적효력 ) 의료법 시행규칙 ( 전자서명법 준용 )
E N D
전자처방전을 위한 인터넷중계센터의 역할 한국통신 기업거래사업부 임근찬 부장
원외 전자처방전의 필요성 • 의약분업의 본격실시(2000.8.1 ~ ) • 인터넷 기술의 발전 및 보급 확대 • ADSL의 급속한 보급(2000.7 : 180만, 2000년말 : 500만회선) • 정액제 요금도입으로 사용량과 이용요금과 무관 • 원외전자처방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 • 전자거래기본법(전자문서 법적효력) • 전자서명법(전자문서의 인증, 서명 등 후속분야 법적효력) • 의료법 시행규칙(전자서명법 준용) • 사용자의 필요성 대두 • 환자불편 최소화(약국대기시간 최소화, 위변조 방지 등) • 종이비용 절감, 약국 재입력 비용 절감
중계센타의 필요성 • 전국적인 네트워크 필요 • 환자가 원하는 어떤 약국이라도 처방전 전송 가능 • 메시지의 안전하고 신속한 전달(수초 내) • 완벽한 메시지 보안시스템 필요 •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 가능 • 신뢰성이 높고 초고속 망과의 연계되는 전자처방전 서비스 필요 • 초고속망(ADSL, 인터넷고속회선 등)을 이용한 서비스로 망 안정성이 절대 필요함 • 전국 어느 지역이라도 설치 가능(읍.면 단위) • 수억 건의 데이터 처리능력 보유 업체
전자처방전 주요기능 기본기능 부가기능 • 처방전 전달 : 의료기관 송신, 약국 수신 • 처방전 조제결과 확인 : 조제완료, 조제포기, 조제중, 미수신, 조제약국, 조제일시 • 대체조제내역 통보 • 대체조제내역 승인요청 및 승인확인 • 일반메시지 전달 (기록, 관리가 필요한 메시지 전달) • 사용자인증 및 메시지 보안 • 표준 UI : 처방전 전달관련 사용자S/W • 가입자 간 채팅 • 약국검색, 지도정보 서비스 • 지불보장/예약조제, 택배서비스 (구현 중) • 처방전달 웹서비스 : 처방전 처리 현황 조회 - 공지사항, 게시판, 자료실 • 표준 UI 통합 브라우저 제공
환자 전자처방전 전달흐름도 (약국지정 송신) 환자가 조제할 약국을 지정하는 경우 3) 약국지정 1) 진찰 2) 처방전 작성 • 환자 도착 전 약품 확인 및 조제 가능 • 환자 대기시간 감소 • 예약조제, 택배 서비스로 발전 약국목록 정보 제공 지도 정보 제공 4) 인증 및 송신 5) 처방전 수신 및 인증확인 7) 처방전 처리결과 8) 조제약 제공 6) 처방확인/조제 (사전 조제 가능)
환자 전자처방전 전달흐름도 (약국 미지정 송신) 특정 약국을 지정하지 않고 송신 1) 진찰 • 환자가 전국 임의의 약국 방문 가능 • 전국을 대상으로 한 OPEN SYSTEM • 의료기관 간 담합의 문제 해결 2) 처방전 작성 3) 인증 및 송신 5) 환자 처방전 검색 - 환자 정보 입력 6) 처방전 수신 및 인증확인 4) 환자 방문 - 신분확인 8) 처방전 처리결과 7) 처방확인/조제 (사전 조제 가능) 9) 조제약 제공
전자처방전 전달흐름도 대체조제 (통보) 3) 처방확인 및 대체조제 작성 병원 약국 4) 대체조제 내역송신 6) 대체조제 내역 확인 1) 처방전 송신 2) 처방전 수신 5) 처방전 처리결과 처방전 중계시스템 의사인증 약사인증
처방전 전달 실제 구현도 1) 병원 (진료 후 처방전 작성) 2) 처방전 정보를 UI시스템 으로 통보 3) UI: 처방전 송신 처방전달API 7) 약국 4) 중계: 수신후 처방전 저장 5) UI: 처방전 수신 6) 약국 관리 프로그램 에서 자료처리
시스템 구성도 처방전 웹서버 처방전 중계시스템(이중화) • 처방전 송신/수신 • 암호화된 처방전의 • 저장/관리 • 가입자간 채팅 • 지도정보 서비스 • 웹 서비스 Mail Box 보 안 시 스 템 디렉토리 시스템 L4 SW L4 SW CA 시스템 방화벽 방화벽 키관리 시스템 L4 SW L4 SW INTERNET ADSL ISDN PSDN 사용자시스템 약국, 요양기관(병의원, 치과) : 55,000개
서버의 공개키 조회 공개키 디렉토리 암호화된 처방Data 해독 전자서명 등록부 공개키 검색부 공개키 저장 서버 공개키 서명신청 개인 비밀키 처방 Data 서버 공개키 서버 비밀키 수신 대상 공개키 + 암호화된 처방Data 해독 암호화 된 처방 Data 처방Data 전송 암호화 + 처방 Data 암호화된 처방Data 저장 처방전 DB 암호화 된 처방 Data 암호화된 처방Data 암호화통신 정보보호 (암호화 인증) 공인RA (Registration Authority) 역할수행
기대효과 (의료기관) 처방전 위, 변조 방지 의료사고 시 책임 소재를 명확히 구분 대체조제 발생시 이에 대한 응답/인지가 가능 환자의 진료 받는 시간의 감축으로 인한 환자 수 증가 (병, 의원 수입 증가) 원외 전자 처방전 전달이 법제화 될 경우 병, 의원에서 처방전 발행과 관련된 시간과 노동력 감소를 통한 병, 의원 경영 효율화 환자의 처방 자료에 대한 관리 및 백업을 지원 의료기관간, 의료기관-약국간의 커뮤니티 촉진
기대효과 (약국) 동네약국으로 원외처방전 분산 가능성 향상 환자의 사전 요청 시 환자 도착전 필요약을 구비하고 조제를 완료 보험청구를 위한 재입력 방지 종이 처방전의 회손으로 인한 판독오류 방지 위변조 처방전 문제 발생에 대한 책임소재의 명확한 구분 대체조제시 의사에 대한 통보기능의 수월
기대효과 (국민) 환자의 사전 요청시 환자 도착전 조제완료로 인한 대기시간 감소 처방전 보유 불필요 및 분실가능성 부재 환자가 약을 찾아 약국을 수차 전전해야 하는 불편 해결 향후 처방전 전송전 약국 보유 약품과 비교 기능 지원 조제 시 약국의 지리적 제약에 따른 불편 극복 전국 의료기관 지도정보를 활용한 환자 서비스 증대 약국 방문 없이 조제 및 배달가능 (택배가능시)
한국통신 전자처방전 시스템의 특징 • 다양한 의료정보서비스와 원활한 연계 - 심사평가원 보험청구 EDI 서비스 -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 EDI 서비스 - 각 손해보험사 자동자보험 EDI 서비스 - 국민건강보험공단 EDI 서비스 • EDI 협력업체를 기반으로 최적의 응용S/W 통합 제공 • 안정된 통신 서비스 - 통신망 사업자로서 최적의 통신 서비스 제공 - KORNET 연동 - 저렴한 통신(ADSL) 비용 • 완벽한 보안 서비스 - 국가 공인인증기관(KICA)의 인증서 사용 - 관련기관 보안성 승인 시스템 - PKI 기반의 인증시스템 - 국민연금EDI 시스템(상용)에 적용을 통한 검증 완료 - 의약품유통 정보시스템에 적용 예정 • 개방형 시스템 지양 - 전국 의료기관 대상 서비스 - 모든 가입자간 전방전 전달 가능 - 표준 EDI 서비스를 통한 축적된 기술 활용
추진일정 • 약사회 전담사업자 선정 및 협정체결 : 2000.2 • 사업추진 컨소시엄 구성 : 2000.3 ~ • 의원 · 약국 분야 : 비트, 메디다스, 서준 • 중계시스템 및 부가서비스 분야 : 메드벤 • 병·의원, 약국분야 S/W제공회사 와 S/W공급 협정(29개) • 대한의사회 사업자 제안 : 2000.4 • 보건사회연구원 주관 전자처방전 평가사업 공동추진 : 2000.4 ~ • 1차 : 2000.6 (10개 의원 및 약국) • 2차 : 2000.9 (의약분업 후 의료기관, 약국, 환자 참여, 실데이타) • 한국정보인증㈜와 공인인증 공급계약체결 및 공인인증서비스 • 제공 : 2000.8 ~ • 시범서비스 : 2000.8 ~ • 목표가입자 : 병원급이상(200),의원(2,000개),약국(10,000개) • 상용서비스 : 20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