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likes | 471 Views
이집트 아랍 공화국. 20208. 김호진. 차례. 이집트의 역사 이집트의 대표 문화재 피라미드 이집트의 문화 이집트의 자연환경 이집트의 전통의상. 1. 이집트의 역사. 이집트는 기원전 5000 년부터 나일 강 유역에 농경 생활을 시작하여 최초의 고대 문명을 탄생시켰다 . 30 여 개의 파라오 왕조가 흥망을거듭하였으며 고왕조 , 중왕조 , 신왕조로 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 . 2. 이집트의 대표 문화재 피라미드.
E N D
이집트 아랍 공화국 20208.김호진
차례 • 이집트의 역사 • 이집트의 대표 문화재 피라미드 • 이집트의 문화 • 이집트의 자연환경 • 이집트의 전통의상
1. 이집트의 역사 • 이집트는 기원전 5000년부터 나일 강 유역에 농경 생활을 시작하여 최초의 고대 문명을 탄생시켰다. 30여 개의 파라오 왕조가 흥망을거듭하였으며고왕조, 중왕조, 신왕조로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
2.이집트의 대표 문화재 피라미드 • 고대 이집트를 대표하는 묘 형식의 하나이고 방추형의 석조건축물로, 왕묘로이용되었다. 그리스어 피라미스(pyramis)에 유래하는데, 그 어원에 대해서는 고대 이집트어의 기하학 용어 페르 엠 우스, 또는 형태가 유사한 그리스의 과자 이름에 의거하는 등 많은 설이 있어서 확정할 수 없다. 고대 이집트어명은 메르. 피라미드의 출현은 왕묘 독자적인 형식의 창출에 의해서 파라오(왕)를 정점으로 한 중앙집권국가가 확립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3.이집트의 문화 • 고대 이집트의 예술품은 파라오와 왕비의 조각품이다. 영원한 신성을 갖고 있는 왕은 영원한 모습으로 묘사되어야만 했다.얼굴은 옆모습을 하면서 눈은 정면을 보게 한다든지, 가슴은 앞 모습을 하면서 다리와 눈은 옆 모습을 표현함으로 영원한모습을 그리려 했다.
4.이집트의 자연환경 • 이집트는 경관의 지배적인 특정인 북류하는 나일강에 의해 크기가 다른 극도로 건조한 두지역으로 나뉜다 보다 큰 사막지대인 서부 사막은 와디가 없는 낮은 대지이며 보다 작은 동부 사막은 석회암과 사암층의 대지로 와디에 의해 널리 개석되어 있다
이집트의 전통의상 • 로인클로스(Loincloth)허리에 둘러 입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의복이다. 이집트의 로인클로스는 남녀가 입는 기본적인 옷으로 바느질을 하지 않고 천을 그대로 허리에 둘러 그 끝을 허리에 끼워 넣거나 끈이나 벨트로 천 위를 둘러매어 고정시켰다.- 칼라시리스(Kalasiris)직사각형의 헝겊 가운데에 속둘레선을 내고 양옆 선을 앞으로 접거나 앞자락을 뒤로 돌리고 뒷자락을 앞으로 돌린 후 허리띠를 매거나 핀을 꽂아 입는 로브(Robe)나 가운(Gown)형의 의상이다. 얇고 매우 곱게 짠 리넨을 사용하여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하이크(Haik)몸에 걸치거나 두르는 식의 쇼울(Shawl)형의 의상을 가리킨다. 하이크는 주로 왕족들의 위용을 과시하기 위해 입었는데, 몸에 걸치거나 두르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이 연출될 수 있으므로 이집트 의상 가운데 가장 우아한 형태로 독창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쉬스 스커트(Sheath Skirt)일명 쉬스드레스라고도 하는 어깨 끈이 달린 긴 스커트로 일반 남녀가 다 입었으나, 주로 여자가 입었다. 직사각형의 천을 옆으로 접어 한쪽 끝을 봉합하고 한 개나 두 개의 어깨 끈을 V자나 11자로 단 형태이다. 또한 스커트 허리를 가슴 밑 즉 하이웨이스트로 하여 유방을 그대로 드러냈다.- 튜닉(Tunic)직사각형의 헝겊을 어깨선에 접어 목둘레선을 내고 양쪽 진동선 밑에서부터 단까지 잘라내어 T자형으로 만든 의상이다. 신왕국시대의투탄카문 왕조 이후에 나타난 형태로 동방에서 수입해 온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