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으로서 특성화고의 교육력 제고 및 성과 향상 모델의 개발 및 적용

Presentation 2011. 08. 08.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으로서 특성화고의 교육력 제고 및 성과 향상 모델의 개발 및 적용. -Creating the strategic model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at the high school level-. 1. 연구 배경 (1). 단선형 성공경로 신화 (The one way to win myth) 와 직업교육의 쇠퇴.

wray
Download Presentation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으로서 특성화고의 교육력 제고 및 성과 향상 모델의 개발 및 적용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Presentation 2011. 08. 08.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으로서 특성화고의 교육력 제고 및 성과 향상 모델의 개발 및 적용 • -Creating the strategic model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career and • technical education at the high school level-

  2. 1. 연구 배경 (1) 단선형 성공경로 신화(The one way to win myth)와 직업교육의 쇠퇴 출처: 평생직업교육-평생취업체제 구축(KRIVET issue paper, 2009)

  3. 1. 연구 배경 (2) 소수만 성공하는 진로시스템 • (개인)잠재력 발현장애 • (사회)통합 저해 • (국가) 경제 경쟁력 저하 • 비효율적 국가인적자원개발 • 비생산적 교육투자 그 결과는 ? 출처: Gray, K. (2005). Other ways to win : Creating alternatives for high school graduates (3rd).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4. 2.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하향식 정책 처방의 일률 적용  학교 여건/특성에 기반한 발전 한계 • 교육과정 개편, 산학협력 등 교육적 처방  조직혁신, 역량개발 등 OD/HRD 관점 부족 • 생태론적 관점 (학교와 주변 환경과 교호작용)에 관심 부족 •  중등단계 직업교육에 대한 체계적, 종합적 연구 미비에 기인 • 교육과정, 산학협력, 창업교육, 전문대학 연계등 분절적인 연구가 주류 • 직업교육의 제도적 특징에 대한 이해 미비 • 중등 직업교육의 성과에 대한 새로운 해석 요청 • - 직업교육의 성과는 매우 다양하고, 영향 요인들은 서로 긴밀히 상호작용할 것 그간 직업교육 정책의 한계 선행연구의 한계 본 연구의 목적: “특성화고의 교육력 제고와 성과향상을 위한 모델 개발 및 적용” • 중등 단계 직업교육을 통해 달성하려는 성과(Performance)를 규명 •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투입/매개)을 탐색 • 각 변인과 성과 변인의 관계, 영향력, 경로를 종합적,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이론 모델 정립 • 이론모델 현장 적용 및 정교화, 정책 처방 제안, 성과 모니터링/평가 시스템 개발 • 사회제도적 관점에서 특성화고 조직 특성과 운영원리, 구성원의 사회심리적 특성 분석

  5. 3. 특성화고 교육력 제고 및 성과 향상 모델 (가설) 대안적 성공경로 선순환 사이클 (Virtuous Circle of Other Ways to Success) 학생 (교육성취와 노동시장 경쟁력) 교육적 요인 (교사, 교육과정등) 효율적 교수-학습 지원 지역산업과 협력 교사 (핵심역량 구축 및 지식창출) 물리적 요인 (시설, 기자재 등) 성과요인 (1차) 투입변인 (Input) 매개변인 (Process) 성과변인 (Output) 학교 (변화와 혁신역량 구축) 조직문화적 요인 (변화관리,혁신능력) 성과요인 (2차) 사회환경적 요인 (관련 산업 발달 등) 기업 및 지역사회 (성장과 통합) 교사 전문성 향상 /조직 몰입 경력계획 (CDP) (직업정보, 상담 등) 국가/지역수준의 직업교육 정책과 지원

  6. 4. 중장기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 계획 및 주요내용 3단계 (2017~2020) : 모델 이론화 및 확산 2단계 (2014~2016) : 성과분석 및 모델개선 1단계 (2011~2013) : 모델 개발 및 적용 관련이론 탐색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성과 분석 (1차) (학생, 교사, 학교 수준) 이론기반 모델 수립 (Initial model development) 성과 분석 (2차) (사회인식 변화.노동시장영향효과 등) 모델개선 및 확장 추가 연구(노동시장 성과분석 등) 모델 적용, 정교화 및 정책 제안 (Application Method) 모델 이론화/지식 체계화 실천 방안 보완 이론의 국내외 확산 1차 시범적용(12~13년) 2차 시범적용(14~16년) 대안적 성공경로 창출 시범 지원(2012~2017년) • TO-BE • 대안적 성공경로 : 취업 확대 • 생산적 인적자원 개발 및 활용 • 산업경쟁력 강화와 사회통합 • AS-IS • 단선형 성공경로 : 진학 80% • 비효율적 국가 인적자원개발, 활용 • 고용시장 미스매칭(mismatching) 정책적 기대 효과 (AS-IS/ TO-BE분석)

  7. 5. 제1단계 연구 계획 (2011~2013) 관련 이론 탐색 및 기초 조사 (Theory foundation & Basic analysis) 성과 측정 및 모델 이론화 (Multi-Level Measurement Development ) Step 4 (2013) Step 1 (2011) Development of Measurement Theoretical foundation & Basic analysis • 이론탐색 & 기초조사 • 사회제도로서 직업교육 • 전문계고 교사/학생 특징 • 그간의 연구성과 확인 • 활용 가능한 Data탐색 • 해외사례 분석 • 성과 측정 및 확인 • 변인 관계, 영향력, 경로확인 • 데이터 기반 모델 정교화 • 정책처방(국가,지방,학교수준) • 국내외 학회/저널 발표 Initial model development Application of Model Step 2 (2011) Step 3 (2012~2013) 이론 기반 연구모델 수립 (Initial model development) 연구모델의 적용 (Application Method) • 이론모델 적용 및 확인 • 이론모형의 현장 적용 • 관련 변인 정보 수집 • 성과 측정 도구 개발 • (시범 학교 운영) • 연구모델 개발 • (연역적 이론화 기법) • 투입변인 • 매개변인 • 성과변인

  8. 6. 연구 독창성과 연구진 우수성 한국적 맥락 (Korean Context) 미국적 맥락 (U.S.A. Context) International collaboration & Comparative viewpoint 국가수준 교육정책 전문가 (Education Policy Professional) 직업교육 전문가 (VET Policy Expert) 학교현장 전문가 (Field Practitioner) 조직개발 전문가 (Organization Development Expert) Systematic Multi-Approach Methods 이론기반 모델수립 (Theory-based Model Building) 데이터 기반 실증적 검증 (Empirical Validation)

  9. 7. 연구진 구성 및 역할

  10. 8. 연구결과 활용 방안 • 특성화고 교육력 강화 방안 제시 • 단선적 성공경로 개선 • > 대안적 성공경로 창출 기여 정책적 기여 • 박사(3), 석사(2), • 학사(1) 참여 • 차세대 학자 육성 • 국제 공동연구 참여 차세대 학자 육성 및 국제협력 특성화고 교육력 제고 및 성과 향상 모델 학문적 기여 • 단차원적 연구 극복 • 변인간 상관관계 규명 • 이론화 작업 • OD/HRD 등다양한 • 학문이론을 활용 교육적 활용 • 직업교육 이론, 지식개발 • 저서발간 • 실천처방 교육현장 제시

  11. 9. 사업단 운영 계획 • 연구보조원에 학습 기자재(컴퓨터 등) 제공 및 상시 학습/연구 공간 부여 • 직업교육 연구관련 서적 및 저널, 연구 결과물 등을 체계적 보관, 활용하는 직업교육 전문 연구소 육성 • 교육정책, 직업교육, 조직개발 전문가(1단계) 외에 인적자원개발(HRD), 인적자원관리(HRM), 교육과정 및 교육공학 (Curriculum, Instruction), 정책평가전문가가 참여하는 대규모 직업교육 연구단으로 확대 • 대학(국내/해외)과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자, 학교현장 전문가, 교육행정가의 협동연구 추진 • 연구에 그치지 않고, 연구결과의 정책화를 적극 추진(학술 세미나 등을 통해 연구결과 확산) • 미국 측 공동 연구원과 협력하여 ‘한미 직업교육 전문가 좌담회’ 개최 • 2단계부터 아시아및 유럽권 직업교육 전문가를 공동 연구진에 포함 • 국제적 직업교육 연구기관과 협력 연구 추진 • (예: 미국 National Research Center for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 연구활동 경비 외 연구결과 확산(학회 발표, 세미나 개최, 논문게재 등)을 위한 예산 편성 활용 • 연구보조원 지원(해외연수 포함) 확대를 통한 차세대 학자 육성에 노력 • 연구재단 및 소속대학의 연구비 관리규정의 엄격 적용 연구책임자 소속 대학을 연구거점으로 활용 융합적 정책 연구로 발전을 도모 국제 연구협력 활성화 연구결과 확산과 차세대 학자양성을 위한 예산편성과 엄격한 예산집행

  12. All my life I’ve always wanted to be somebody, but I see now I should have been more specific. Wagner, 1986 (Gray, 2006, “Other ways to win”)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