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12

21 세기 뉴 패러다임과 뉴 리더

21 세기 뉴 패러다임과 뉴 리더. 2005. 5. 15. 金 光 雄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 kwkim@snu.ac.kr www.finegovt.com. 강의요약. 시대변화와 리더십. 사회변화는 수직적 관계에서 수평적 관계로 확대되고 있는데 , 그래서 조직도 평등조직으로 바뀌고 있는데 , 우리는 아직도 귀속주의와 연고주의 , 그리고 계급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세상의 변화 – 패러다임의 변화 ( Ⅰ ). 디지털 시대 접속의 시대

Download Presentation

21 세기 뉴 패러다임과 뉴 리더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1세기 뉴 패러다임과뉴 리더 2005. 5. 15 金 光 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kwkim@snu.ac.kr www.finegovt.com

  2. 강의요약 시대변화와 리더십 사회변화는 수직적 관계에서 수평적 관계로 확대되고 있는데, 그래서 조직도 평등조직으로 바뀌고 있는데, 우리는 아직도 귀속주의와 연고주의, 그리고 계급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3. 세상의 변화 – 패러다임의 변화(Ⅰ) • 디지털 시대 • 접속의 시대  소유에서 접속으로, 시장에서 네트워크로, 물자에서 시간으로  물건자체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물건의 기능이 필요  제품은 무료, 서비스는 유료  부동산보다는 時産이 중요  종래의 클럽보다 시간공유공동체 등장  새인간형 –사이버세계에서 자기 몫의 인생을 즐기고(유희정신); 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 On-line / Off-line 세계를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인간관계 지향형

  4. 지본(地本) 자본(資本) 뇌본(腦本) 세상의 변화 – 패러다임의 변화(Ⅱ) • 농본사회  자본사회  뇌본사회 • Unbroken wholeness(우뇌발달과 유관) • 정신과 물질의 일원론 • 부분이 곧 전체(이분법적 사고의 지양) • 비인과론 / 비결정론 / 비확실성 • Space of place  Space of flow • 공간없는 공간 (Spaceless Space) • 시간없는 공간 (Timeless time)

  5. 세상의 변화 – e코리아에서 u코리아로 1 • 유비쿼터스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이용해 ‘언제 어디에서든지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있는’ 기술·서비스를 의미 • 인터넷에 이어 유비쿼터스(Ubiquitous) 물결이 밀어닥치면서 전 세계가 공간이나 시간에 제약 받지 않고, 동시에 연결되는 단일 생활권에 묶이고 교통수단이나 위치에 제한 받지 않는 무한경쟁 비즈니스 환경이 조성. • 국제조사기관인 가트너 그룹은 올해 초 세계 RFID시장이 매년 급성장, 오는 2010년쯤 시장규모가 768억달러(88조3500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 • 정보통신부 진대제(陳大濟) 장관은 “인공장기에 부착할 수 있는 극소형 바이오칩과 같은 유비쿼터스 산업을 적극 개발하겠다”고 밝힘.

  6. 세상의 변화 – e코리아에서 u코리아로 2 • 아시아나항공- 2005년 7월까지 항공기용 초고속인터넷 시스템 도입 (시속 700km 이상 고속 비행하는 항공기 안에서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고, 인터넷쇼핑이나 뉴스, 정보 서핑 가능) • 전세계 2700만 회원을 확보한 온라인 게임 ‘라그나로크’ 의 제작사 그라비티- 해외근무 직원은 단 30명에 불과. 본사가 인터넷망을 통해 현지 게임 서버를 관리 • 디지털카메라판매사인 디시인사이드- 중국에서 조선족을 고용해 인터넷 게시판 관리 • 대표적인 u-비즈니스인 아웃소싱(Outsourcing)산업이 최근 2~3년 전부터 가파르게 성장 • 세계적인 조사기관인 가트너는 아웃소싱 분야가 올해 3.1% 성장한 뒤, 2007년까지 3년 동안 연평균 8% 성장할 것으로 예상

  7. 세상의 변화 – 메트릭스 사회 • 노틀 담 대학교의 물리학 교수 바라사시: “세상은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 그러나 우리는 매트릭스에 예속되어 있는 것을 모르는 채 이를 지키려고 노력 • 우리가 익숙한 모든 것, 나와 관련된 모든 것이 나를 속박하는 사실을 잘 모르면서 오히려 이를 추구 • 매트릭스는 시스템이자 통제 (William Irwin, ed. 2005. More Matrix and Philosophy. Open Court) • 우리는 스스로 자초하고 익숙해진 통제 속에 살고 있다.

  8. 우리는 사이보그(cyborg) 인간시대에 살고 있기도 하다. 사이보그: 인간과 전자장치 같은 기계가 결합된 형태 미디어가 인간 몸의 연장이 되는 것 인간의 신경망에 칩을 직접 연결하거나 아니면 뇌파를 통해 생각과 의지로 직접 조종 약도 화학반응의 작용으로 이해하지 않고 전기신호의 작동으로 효험 발휘 세상의 변화 – 사이보그 인간시대

  9. ‘숨바꼭질’에서 찰리라는 상상 속의 인물이 현실세계에서 흔적을 남기면서 실존하는 자신들의 존재를 의심하게 만드는 것과 같은 것 에밀리의 상상 속에서 숨바꼭질 친구인 찰리의 존재는 옆집 아저씨, 보안관, 혹은 집 관리인 등등 의심스런 존재로 등장 “그 무엇도 믿을 수 없다. 특히 당신의 기억은” 효율을 빙자한 이런 ‘통제 시대’에 사는 것이 옳을까? 서로 믿지 않고 모두가 법과 규정으로 스스로를 묶으려고만 드는 것이 과연 옳은가? 세상의 변화 – 통제의 시대

  10. 세상의 변화 – 여성성의 사랑과 포용, 그리고 다양한 사고 -하이테커(Martin Heidegger, 1889-1976): “서양의 역사는 망각(존재)의 역사” 기술적 지성이 세상을 지배한 것을 한탄. - 마음의 틀이 경험의 진실의 눈을 가렸다 현대사회는 기술관료적 매트릭스(Technocratic Matrix)에 묻혀있다 플라토의 동굴 속에 있는 벽의 그림자는 결코 실상의 현실세계일 수 없다. 허위의식이고 거짓 믿음일 뿐이다. - 몸은 마음과 떨어져 존재할 수 없다. ‘기술적 합리성’에서 벗어나야 한다. 사랑만이 진실이며 매트릭스(속박)를 파괴할 수 있는 힘이 있다 - 김용택 시인 사랑하는 순간만이 진실 -하이데커는 ‘존재’란 힘에 양보하는 그런 것이 아니라 다른 방법(길)으로 가는 것 ‘사랑의 길’(the path of love)과 ‘열정의 길’(the way of the heart)을 제시 -여기서 여성성이 등장한다. 사랑은 남성보다는 여성의 사랑으로 가능 -여성성으로 사랑하고 포용하고(‘다빈치 코드’에서 말하는 장미와 여성의 자궁), 그리고 다름을 이해하자.

  11. Cartesian-Newtonian Paradigm : 물리학적 기계론 Quantum Paradigm : 생물학적 지각론 “진리는 이제 영원한 것이 아니고 오직 진리체계 안에서만 진리”이다. 조직은 “보이지 않는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거미줄 같은 연합체” (A web-like association which is invisible) - 신뢰(信賴)와 신인(信認) : Margaret J. Wheatley 자기 유사성(self-similarity)과 자조(自照, self-reference)의 방향 모색 새 천년의 시대상, 변화의 변화

  12. 1) 동적 통합 (dynamic integration) 2) 우주적 상호연관성 (cosmic interconnectivity, unbroken wholeness) 3) 기계론적 과학 (mechanistic science)의 극복 세계, 국가, 정부, 조직은 ‘떨어질 수 없는 하나의 통합체’ (unbroken wholeness) 새 천년의 특징

  13. 양자사회(量子社會,quantum society)의 특징 • 전일적(全一的)이어야 한다. (동적 통합)⇒“이제 쪼개졌던 조각을 모으는 일이 중요해 진다.” 2) 개인/집단의 이분법에서 초월해야 한다. (Holism) 3) 복합적이어야 한다. (Either/Or ⇒ Both/And, My way ⇒ A shared way; shared leadership) 4) 부응하여야 한다. 5) 아래로부터 부상하는 것이다. 6) 환경 친화적이어야 한다. 7) 정신적이어야 한다. 8) 과학과 대화하여야 한다.

  14. 과거와 미래의 패러다임 비교 미분기술 : 분자모드 적분기술: 파장모드 • 분리된 개체간의 경쟁 • 직선적 팽창 • 자연에 맞섬 • 물질적.기계적 구성 • 수직적 사회 • 직선적 사고 • 이원론 • 상호의존적 개체간의 협동과 공존 • 순환적 발전 • 자연과의 조화 • 에너지적·시스템적 구성 • 수평적 사회 • 곡선적 사고 • 일원론

  15. 칼테지안/뉴터니안 패러다임 “세상은 거대한 기계” 양자도약 에너지가 춤추는 역 동 적 패 턴 가변적 네트워크 디지탈 관계의 중요성 경계없는 조직 독자성∙다양성 전체를 조감 하되 개체의 독자성을 인정 하는 다양성 On-Off가 자유로운 네트워크 공유, 확산 정보의 측정과 분석의 용이 대통령의 입장: 부처와 정책, 그 전체의 조화, 리듬 방향을 보려는 노력 필요 서로의 관계에 따른 본질변화 서로가 돕는 패턴의 거대 네트워크 새로운 패러다임의 내용

  16. 시민 지방 개인 국가 중앙 조직 부분이 곧 전체 • 과거의 부분들은 이제 전체와 다름없는 개체로 존재 • 미래사회는 다양한 개체들과 이들간의 관계로 구성 전체와 다름없는 부분들 과거의 부분들 국가에 대한 시민 중앙에 대한 지방 조직에 대한 개인

  17. Modern ‘ Cartesian-Newtonian Paradigm (a physical apparatus)’ • Separation of body and soul (Descartes) • Thinking system : Causality, Determinism, Certainty • Reductive science pulled down the object to DNA (Molecule) Paradigm shift 21th century’s ‘Quantum Paradigm (biological organism)’ • Substance is wave-particle duality • Thinking system : Non-causality, Non-determinism, Uncertainty • Integrative science evolved to Bio Informatics, holistic view by genome innovation

  18. 조직의 변화 • 탈피라미드 – Flat organization • Network • 보이지 않는 선으로 연결된 거미줄 같은 연합체 • 계급제 탈피 • 위계적 조직형태(규격화와 업무분업)에서 제작사와 독립하청 업체간의 한시적 팀 형태(할리우드 네트워크 모델과 같은 원자상태로 해체) • IBM ‘호텔식 운영’(14억 달라절약)  개인책상 없앰  사무실, 회의실 사전 예약제, 공유방식  휴대폰과 노트북만 지급

  19. 사람 ‘관계’의 변화 • 광주 비엔날레의 주제 : 인간 = Men + Space • 음표와 음표 사이의 침묵 • 지휘자와 연주자 사이의 눈짓, 몸짓, 표정을 통한 의사소통 • 관계를 무엇으로 메울 것인가가 리더십의 과제 • R - 기술이 새로운 기술로 등장

  20. 세계 유일의 ‘지휘자 없는 오케스트라’ 오르페우스 ‘오르페우스’에서 배우는 경영 원칙 8가지 • 1. 실무자에게 권력을 이양하라 • 2. 직원 개개인의 책임 의식을 고취하라 • 3. 각자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라 • 4. 리더십을 나누어 가져라 • 5. 수평적 팀워크를 길러라 • 6. 듣는 법과 말하는 법을 배워라 • 7. 합의를 이뤄낼 합당한 매커니즘을 만들어라 • 8. 임무수행에 열정을 바쳐라 활발한 토론과 의견 개진을 통해 완벽한 연주를 추구하면서 음악적 민주주의를 꽃피우는 오르페우스

  21. Shared leadership Co-leadership Partnership 리더십의 변화 혼자가 아니라 팀으로 21세기의 리더십 2인자와 함께 그 2인자와 팀원간의 관계, 그 공간을 어떻게 메우느냐가 새 시대의 리더십의 과제 언어, 신뢰, 상냥, 온화, 친절

  22. 접속의 시대 리더십 사례 리더의 자질과 역할 리더십의 차원과 인지구조 리더십과 파트너십 차 례 崔 漢 綺 『人 政』 用 人 道 在 萬 姓 - 사람을 쓰는 길은 만 백성안에 있다 -

  23. Age of Access 접 속 의 시대가 오고 있다

  24. 시 장 네트워크 판매자 구매자 공급자 사용자 산업 생산 시대 문화 생산의 시대 노동 의식(노동의 상품화) 유희 의식(놀이의 상품화) Age of Access 물적 자본 지적 자본(상상력,창조력) 가능성과 기회로 가득 찬 완전히 새로운 세계로 들어가는 통로이다 • 소유 관계와 시장개념은 실효성을 잃어가고 접속 관계와 네트워크가 부상 • 시장이라는 지리적 울타리로부터 사이버스페이스라는 시간적 공간으로 이전 • 정보와 서비스, 의식과 살아있는 경험을 거래하는 새로운 세계 • 하이퍼 자본주의 시대 : 우리의 시간이 거의 모두 상품화됨

  25. 용 비 용 규모 속도 • 1920년대 포드식 생산원리 • 판박이 영화 ( 1년 250편 생산) • 스펙터클 형, 블록 버스터 형 • 주문제작 체제 : 극장 체험 위계적 조직 형태 (규격화와 업무 분업) 제작사와 독립하청업체간 한시적 팀 형태 Age of Access 시장이 네트워크에 밀린다 • 규모의 경제에서 속도의 경제로 이전되고 있다 • 먼저 제품을 내놓는 기업만이 승자 • 단기간의 접속권이 장기간의 소유권리보다 우세 • 지식사업은 할리우드 네트워크 모델과 같은 원자 상태로 해체된다 베버식 고정된 조직 와해

  26. P&G ‘집회장’ IBM ‘호텔식 운영’ • 다양한 팀의 직원들이 함께 일하는 공간 • 기동성을 위해 바퀴 달린 서류함 사용 • 특수 회의실과 넓은 공간 배치 • 널찍한 복도, 중간중간에 소파 배치 (직원들간 자연스런 대화 유도) • 개인 책상을 없앰 • 개인 짐을 사무실에 두지 못함 • 휴대폰과 노트북 지급. • 집· 고객사무실에서 작업하도록 독려 • 사무실, 회의실은 사전 예약제, 공유 방식 • 유휴사무실 없앰. 임대료가 싼 곳으로 이전 Age of Access 무게 없는 경제………사무 공간의 脫 물질화 • 개인적 공간은 사회적 공간으로 바뀜 • 함께 일하면서 끊임없이 정보,지식,식견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얼굴을 맞대고 대화할 수 있는 확 트인 공간과 거리낌없이 다가갈 수 있는 구조가 필요 부동산 비용을 14억 달러 절감

  27. 상품의 교환 개념의 교환 생각을 관리하고 파는 능력이 기업의 성패를 좌우 물질적 풍요 감정, 영혼의 양식 접속의 시대 Age of Access 새로운 시대 : 형상·이데아·이미지·원형·개념의 세계 • 1990년 캘리포니아 대법원 판결 • 대학에서 무어씨 신체의 특이사항(비장 섬유에서 암세포와 싸워 백혈구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혈액 단백질이 나옴)에 대해 특허 받음 • 무어씨는 신체에 대한 재산권을 주장했으나 기각됨 • 법원은 대학의 지적 재산권을 인정함 • 특허 형태의 무형자산이 법의 보호를 받음 전통적 소유 관념 누구나 자기의 몸, 노동, 정신능력을 소유한다고 주장(존 로크) ‘네트워크 사업방식으로부터 발생하는 문제들을 공공정책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가’에 관한 고민이 필요

  28. 인간관계의 구조가 소유물의 생산과 상업적 교환에서 상품화된 서비스 관계로 탈바꿈 상품 교환 체제에서 경험 영역에 접속하는 체제로 전환 결국, 물질 차원보다는 시간의 차원이 중요 결국, 브리태니커도 온라인으로 대응. 모든 DB를 무료로 개방. 순수 서비스 회사로 변신 (주 수입원 :광고) • 학교 도서관 • 몬산토의 카펫 서비스 • 캐리어 에어컨의 냉난방 서비스 • 화공약품 업체의 서비스 Age of Access 서비스 세상(1)…서비스로 진화하는 물품 Encarta 디지털 백과사전 Vs.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CD $ 49.9& 지속적 upgrade 1천 6백 달러 접속을 보장하는 서비스 개발에 주력함 물건자체가 필요? Vs. 물건 기능이 필요?

  29. 절감분 공유 계약 • 고객의 사업을 공동 경영 • 실적과 수익 개선. 남는 차익 공유 • 고객이 사업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노하우와 식견을 빌려줌. (고객 = client, partner) 네트워크 효과 • 제품을 무료로 제공 제품의 유지·보수·업그레이드에서 수익 달성. • 많은 사람이 제품을 사용하면, 업계의 표준이 될 수 있음 Age of Access 서비스 세상(2)…제품은 무료!, 서비스는 유료! • PPG의 도색 공정 관리 서비스 • 페인트를 파는 것이 아니라, 도색 공정자체를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 • 고객인 Ford社는 쓰레기 처리비용을 절감. 절감액을 PPG와 공유 • 마이크로 소프트의Internet Explorer • 선 마이크로 시스템 Java

  30. 대부분의 관계가 상업적 관계로 전환 연결 속도 효율성 지속 시간 Age of Access 인간 관계의 상품화…개인의 삶은 시장이다 (lifetime value) 공간과 물자의 상품화가 인간의 경험(체험 경제)과 시간의 상품화로 바뀐다 • 기업의 전략 방향 • 고객 친밀감을 발전 • 공동체적 결속을 확립 네트워크화 • IT 기술은 관계의 매개물 • 새로운 기술; R-기술 등장 • Agent : 시스템 통합자, 거간꾼 IT 기술 R(관계)-기술

  31. 공동 관심 단지(CIDs, Common-interest developments) 월트 디즈니의 ‘셀러브레이션’ • 단순생활 공간이 아니라, 우아한 생활 양식을 종합적으로 제공 • 사유 재산 체제의 자율성을 포기 시간 공유 공동체 등 장 : 콜로라도 주 ‘사립 주거 클럽’ 회원 각자의 소지품을 1년내 창고에 보관. 회원 도착시 물품 제공 • 집을 새로 구입하기 보다는 별장에 접속할 수 있는 권리를 판매 Age of Access 삶으로서의 접속…부동산이냐? 時産이냐?

  32. 상품화된 새로운 문화의 문지기(Gatekeeper)는? 문화 정보 • 메가몰과 테마가 있는 대형 오락센터 • 다국적 기업의 오락, 소프트웨어, 통신 회사들 제조 농업 전세계는 가상의 전자 미디어에 에워 싸임 문화가 경제 생활의 제1열로 부상할 것임 Age of Access 자본주의의 새로운 문화 • 수많은 사람들에게 접속이 유일한 체험의 통로가 되는 세계에서 새로운 문화 중개자들은 가장 중요한 문지기 역할을 할 것이고, • 우리의 삶과 주변 세계들은 이런 문지기가 내린 결정의 산물이 될 것임

  33. 프로테우스, 다중인격자 변화무쌍한 인간 노동 정신 소유권 중요 자율성이 있는 자아 -Cyberspace 세계에서 자기 몫의 인생을 즐기고(유희 정신) *호모 루덴스 (놀이하는 인간) -흥미롭고 신나는 경험에 관심이 많고 On line/Off line 세계를 자유자재로 넘나들 수 있는 人(관계 지향적) Age of Access 새로운 인간형 부르주아 인간형

  34. Age of Access 탈 근대성…돌발적 가능성과 패턴 발생의 원리를 탐구 주체와 객체 二分法 불변의 진리, 객관성 직선적 발전관 힘들의 집합 과정과 운동, 우발성 창조적 행위의 연속 근대성 탈 근대성

  35. 국제통신협약 (`97년) 자국 영토 안에서 통신의 구조와 접속 양식의 기본적 조건을 정할 수 있는 권리를 박탈함. 정부의 힘을 약화시킴 • 『통신 혁명 ‘미국의 기회’』보고서 전자기 주파수 대역 : 공공재에서 사유재로 전환 FCC를 없애고, 주파수 경매 관련 행정업무만 처리하는 부서 설치 주파수 : 접속의 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생명줄 만약 주파수, 통신채널에 대한 관리권 이전 주파수, 통신 기술 등을 소유한 미디어 기업이 강해짐 시민 vs. 국가 시민 vs.시민 Age Shift of Access 국민 국가의 종말? • 시공간적으로 흩어진 경제에서 정부 한계 • 부가가치 산정 및 세금 반영 능력 미흡, • 국토에 대한 애정과 연대감 감소 등

  36. 새로운 소유 개념 『접속의 권한』으로 확대 참여수준 참여유형 접속이 배제되지 않을 권리 접속가치가 있는 것 결정할 권한 • 접속의 권리 : 개인적 자유를 재는 잣대 • 네트워크 세계에서 자치를 고수한다는 것은 단절과 고립을 의미 • 정부의 역할 : 사유재산을 보호하여 개인의 자유를 지켜주는 차원으로 변화 Age of Access 접속과 비접속 +

  37.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 음표와 음표사이의 침묵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조직원들과 늘 같은 생각만 가지고 있다면 그 조직은 새로운 것을 할 수가 없다 Age of Access 디지털 시대, 양자 패러다임의 시대

  38. 1 2 3 4 1 2 3 4 5 6 네트워크 조직으로 변한다…중요한 것은 신뢰와 사랑, 그리고 리더십이다 • 중간층의 도태 • 부서간 벽 허물기 • 최고관리층의 집단화 전문성 계급은 줄어들고, 너나 나나 대등한 입장에서 ‘전문성’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는 것 21세기에는 다양한 개체인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서 모든 것이 결정된다. 그 사이에 ‘신뢰’와 ‘사랑’이 가득해야 한다 신뢰 사랑 고위직에 오를 수록 능력과 감각 등 결국은 리더십이 제일 중요 리더십

  39. Perspective 주제/초점 방법 결과 Classical Modern Symbolic-Interpretive Postmodern 사회에서의 조직의 효과 조직의 운영 관찰과 역사적 분석 경험 속에서 개인적 반영 상징들과 이론적 틀 운영 실습을 위한 규정 “객관적” 기준에 따른 조직 비교 연구 다변량 통계 분석 서술적 방법 표준화된 방법들 의 상호연계 사례 연구나 조직 민속학과 같은 구어체 “주관적” 견해에 따른 조직 참여 관찰 민속학적 인터뷰 반영과 반영적 서술(reflexive accounts) 조직 이론과 이론화 연습 해체 이론화 연습의 비판 조직의 다양한 측면(Perspective)에서의 차이점

  40. Perspective 은유 ~로서의 조직 이미지 ~로서의 관리자 이미지 Classical period Modern Symbolic-Interpretive Postmodern 기계 machine 미리 정의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디자인되고 만들어진 기계 조직이라는 기계를 디자인하고, 만들고, 다루는 기술자 조직 organism 생존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살아있는 체계 적대적 세계에 대한 적응 적응 시스템의 상호의존 파트 그 조직의 상징이 되고자 하는 인위적 산물 문화 culture 공유된 가치, 전통, 관습을 통해 인류가 창조하고 유지하는 의미들의 패턴 콜라주 collage 조직이론이란 과거를 참조한 새로운 시각을 형성하기 위해 지식과 이해의 조각들로 구성된 콜라주이다. 이론가 예술가에 가까운 이론가 조직 이론의 은유들(Metaphors)

  41. Y자 형 원 형 휠 형 전방위 형 의사소통 네트워크형태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비중앙집중식 네트워크

  42. High Channel Richness Low Channel Richness Information Richness of Communication Channels

  43. 학습조직으로의 변화 조직의 변화 안정적인 환경- 효율적인 수행 격동적인 환경- 학습 조직

  44. 미식 축구 배치도

  45. 유럽식 축구 배치도

  46. Group Team • 정해진 강력한 리더가 있음 • 개인적인 책임감 • 그룹과 소속단체를 위한 특정한 목적 • 개인적인 작업 생산품 • 효율적인 만남의 지속 • 사업에서의 영향력에 의해 간접적으로 측정되는 효율성(재정적 수행과 유사) • 토론, 결정, 개인에 대한 작업 위임 • 리더십 역할을 공유하거나 교대함 • 개인적인 혹은 상호간의 책임감(서로 책임) • 특정한 팀의 비전이나 목표 • 공동적인 작업생산품 • 열린 토론과 문제해결을 촉진시키는 만남 • 공동적인 작업 평가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되는 효율성 • 토론, 결정, 작업 공유 그룹과 팀의 차이점

  47. 팀 유형 • 생산/ 서비스 • 충고/ 연좌 • 계획/ 발전 • 동작/ 협상 • 자기 지도 • Virtual 팀 특성 • 크기 • 역할 팀 구성 • 지식과 기술 • 성과와 비용 작업 팀(Work Team)의 효과성 모델 조직 구성 • 일반적 구조 • 환경 • 문화 • 전략 • 보상과 시스템 통제 팀 공정 • 믿음 • 단결 • 규범 작업 팀 효과성 • 생산적 성과 • 개인적 만족

  48. 갈등 망(Conflict Net) 모형

  49. Hierarchy =>Heterarchy

  50. 리더십 연속체(The Leadership Continuum) 관리자는 변화를 가정하여 임시 결정을 내린다. 관리자는 문제를 보여주고, 제안을 받아서, 결정을 내린다. 관리자는 한계를 정의하고, 결정을 내릴 그룹을 요청한다. 관리자는 감독자가 미리 정한 한계 안에서 부하들이 재량껏 움직이는 것을 허용한다. 관리자가 결정을 내리고 그것을 설명한다. 관리자는 결정을 “판매” 한다. 관리자는 생각을 말하고 질문을 요청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