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0 likes | 784 Views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중심이 되는 산업생태계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 2013 년도 전라북도 중소기업지원 시책. 지역 현황 비전과 전략 2013 년도 주요 지원사업 계획. INDEX. 2013 년도 전라북도 중소기업지원 시책. 지역 현황. 1. 인구현황. 2. 산업구조 현황. 3. 제조업체 및 종사자 현황. 단위 : 천명. 단위 : 개 업체 , 명. 단위 : %. 1,874. 95,381. 91,258. 3 차 산업. 1,873. 59.8. 85,427. 64.3.
E N D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중심이 되는 산업생태계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2013년도 전라북도 중소기업지원 시책 지역 현황 비전과 전략 2013년도 주요 지원사업 계획 INDEX
2013년도 전라북도 중소기업지원 시책 지역 현황
1. 인구현황 2. 산업구조 현황 3. 제조업체 및 종사자 현황 단위 : 천명 단위 : 개 업체, 명 단위 : % 1,874 95,381 91,258 3차산업 1,873 59.8 85,427 64.3 62.7 4,153 1,869 4,032 2차산업 3,643 30.6 29.1 25.9 1차산업 2010 2011 2012 9.8 8.2 9.6 2009 2010 2011 2010 2011 2012
4. 지역 내 총생산액(GRDP) 5. 1인당생산액 6. 수출 현황 단위 : 10억원 단위 : 백만불 단위 : 달러 ▲ 8.7% ▲ 12.5% 12,818 ▲ 21.2% 38,868 19,077 ▲ 8.5% 12,100 (잠정집계) 17,545 ▲ 8.1% ▲ 8.1% 34,547 31,855 14,476 10,505 2010 2009 2009 2011 2010 2010 2011 2012 2011
2013년도 전라북도 중소기업지원 시책 • 비전과 전략
② 중소기업 경쟁력확보를 위한 기술혁신 지원 ① 지역기업 경영안정을 위한 정책자금 지원 ③ 기업수요 중심의 맞춤형 인력양성 지원 중소기업·소상공인을지역경제성장의 새로운중심축으로 육성 (7개 분야 44개 지원사업) ⑦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지원 ④ 중소기업상품 판매 확대를 위한 마케팅 수출 지원 ⑥ 창업지원 및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육성 ⑤ 소상공인 경쟁력강화 및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
2013년도 전라북도 중소기업지원 시책 • 2013년도 주요 지원사업 계획
가. 중소기업육성 정책자금 지원 • 사업목적 • 중소기업 소요 자금의 적기 지원으로 기업경쟁력 강화 • 지원규모 • 지원한도및 조건 • 신청대상 • 주관기관 • 1,600억원 • - 창업자금 950억원, 경영안정자금 600억원, 벤처육성자금 50억원 • 창업자금 : 최고 10억원, 3년 거치 5년 상환, 융자이율 4.3%, 이차보전 1.0% • 경영안정자금 : 최고 3억원, 2년 거치 2년 상환, 이차보전 2.0% • (단, 일자리창출기업 및 도 전략산업 이차보전 우대 지원 : 3.0%) • 벤처자금 : 최고 10억원, 3년 거치 5년 상환, 융자이율 3.0%, 이차보전 2.3% • 제조업 전업률이 30% 이상인 도내 중소제조업체 등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28) • 전북경제통상진흥원(☏ 711-2022)
나. 전북경제 활성화 펀드 조성‧운영 • 사업목적 • 기술력을 보유한 유망‧벤처기업 발굴 투자로 기업성장 지원 • 조성규모 • 투자기간 • 투자대상 • 2013년 • 투자목표 • 지원절차 • 주관기관 • 150억원(도내기업 60% 투자) • 2012~2014년(3년간) •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유망‧벤처기업 • 3~4개사, 30억원 • - 시설자금 등 투자(전북도 전략산업분야 우선 투자) • 업무집행조합원(서울투자파트너스) 심사‧지원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46) • 운용사(서울투자파트너스, ☏ 02-566-2690)
가. 산‧학‧연 협력 기술개발 사업 • 사업목적 •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및 신기술·신제품 개발 지원 사 업 비 지원대상 지원조건 • 주관기관 지원신청 • 7,340백만원(국비 3,670, 도비 1,835, 기업 1,835) • 대학·연구기관과 공동연구개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 • - 신제품개발 및 연구개발 역량강화 등 • 1년간, 업체당 1억원 이내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4731) • 전북지방중소기업청(☏ 210-6453) • 1~9월까지, 매월 1~10일 기간 중 •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에 접속 온라인 신청
나. 품질경영 혁신 기반구축 지원 • 사업목적 • 중소기업의 원가절감 및 품질향상을 통한 고부가가치 생산 기반 구축 • 품질경영혁신 기반구축 : 6개 업체 • 품질혁신 리더 글로벌 연수 지원 : 15개 업체 • 전라북도 품질분임조 경진대회(5월중) : 8개 부문, 30개 업체 •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8월중) : 300개 분임조, 5,000여명 참석 지원규모 사 업 비 지원내용 • 주관기관 • 675백만원(기반구축 60, 연수지원 60, 경진대회 555) • 품질경영혁신 기반구축 획득, 품질혁신리더 연수,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등 • - 사업 공고 후 공모(도보 및 홈페이지 게시)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4731) • 한국표준협회 전북지역본부(☏ 214-2234)
다. 중소기업 산업기술정보 이용 지원 • 사업목적 지원내용 정보 제공기관 • 중소기업 의 생산 및 경영활동에 필요한 각종 산업기술정보 적기 제공 • 기술·특허·시장무역·기술도입·이전정보 등에 관한 정보 조사·분석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호남지원 214-8100) 사 업 비 지원대상 주관기관 • 75백만원(도비) • 도내 150개 중소기업(제공 정보별 업체당 500천원까지 지원)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4731)
라. 해외규격 인증 획득 지원 • 사업목적 지원내용 주관기관 • 중소기업 기술력 향상을 통한 수출 증대와 국제경쟁력 제고 • CE 등 150개 제품인증분야 해외규격 획득(20개 업체, 도비 5백만원 이내)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4732) 사 업 비 지원신청 • 160백만원(도비 100, 민자 60) • 2월중
마. 혁신형 중소‧벤처기업 육성 지원 • 사업목적 • 성장가능성이 높은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사 업 비 지원내용 • 주관기관 지원대상 • 700백만원(도비 300 전주시비 400) • 제품 개발 및 인증지원을 위한 6개 사업 지원 • - 시제품 제작, 인증 지원, 캐시·카우 전문기업 육성, 투자유치역량 강화 등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4732) • (사)전주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 발전 협의회(☏ 219-0341~2) •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 및 도내 혁신형 중소·벤처기업
바.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개발기술 사업화 지원 • 사업목적 • 방사선융합기술(RFT)의 사업화 지원, 기술애로지원, 공동기술개발, 기술이전을 통한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 • RFT 신소재 개발 분야 (궤양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기술 등) • RFT 환경오염복원 분야 (축산폐수 고도 처리 공정 기술 등 ) • RFT 식품생명공학 분야 (식품, 화장품, 의약품 소재 유전체 기술 등) • 방사선육종 분야 (고기능성 벼 신품종 개발 외 등) • 방사선기기개발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분야 (방사선 계측기 개발 기술 등) 사 업 비 • 첨단과학산업단지 입주를 추진(계획) 중인 있는 기업 • 연구소 보유 방사선융합기술 이전을 희망(예정)하는 기업 • 기타 연구소와 자매결연을 희망하는 기업 • 주관기관 지원내용 •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570-3247)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23)
가. 맞춤형 ‘대학 산·학·관 커플링 사업’ • 사업목적 • 기업 중심의 전문인력양성으로 청년취업 향상과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사 업 비 교육과정 사업내용 참여대학 주관기관 • 3,840백만원(도비 3,200, 대학 640) • 23개 전문과정(4년제 대학 15, 전문대학 2) 920명 교육 • - 이공계열 11개 과정 440명, 인문·사회·예체능계열 12개 과정 480명 • 기업, 대학, 전북도의 협력을 통한 대학 재학생 전문인력 양성 교육 • 전북대, 군산대, 전주대, 원광대, 우석대, 호원대 등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25), 대학 산·학 협력단
나. 특성화고교 기능인력 양성 및 취업 지원 • 사업목적 • 특성화고교 졸업생 취업지원 강화 및 기업수요 기능인력 공급 • 23개 과정 1,200명 • - 특성화고 산·학·관 커플링사업(3개교 60명) • - 특성화고 취업전환 커플링사업(농·상계열, 3개 과정 60명) • - 특성화고 기술명장 육성사업(17개교, 1,080명) • - 특성화고 졸업 취업자 야간대학 장학금 지원(1인당 년 2백만원) 사 업 비 지원대상 교육과정 주관기관 • 1,208백만원(도비 763, 시‧군비 445) • 도내 특성화고교 재학생 및 졸업자, 야간대학 재학생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4721) • 기업 맞춤형 기능인력 양성 및 취업지원, 기술명장 육성 • 취업 후 야간대학 진학자 장학금 지원 지원내용
다. 청‧장년 기업현장 기능인력 양성 및 취업 지원 • 사업목적 • 미취업 청·장년의 취업기회 제공 및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사 업 비 지원대상 주관기관 • 2,822백만원(국비 500, 도비 1,583, 시·군비 739) • 도내 주소를 둔 만 18~59세의 미취업자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4597) • 6개 과정 1,028명(도 전략산업 및 신성장동력 등 제조업 분야) • - 한국폴리텍대학 및 직업훈련기관의 현장중심 실무 교육(무료) • -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기능인력 양성 및 취업 지원 교육과정 • 기업에서 요구하는 주문식 맞춤형 인력양성 교육 • - 교육훈련비 및 교육생 훈련수당(월 30만원) 지원 지원내용
라. 기업근로자 재교육프로그램 운영 주관기관 교육대상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24) • 전주‧익산‧완주지역 소재 • 종사자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 재직근로자(400명) • 6개 분야 신기슬 교육(훈련기관 : 한국폴리텍대학) • - 기계금형, 설비장비, 전기전자, 메카자동화, 정보통신, 신재생에너지 등 • 중소기업 재직근로자에게 신기술 습득 기회 제공으로 • 기업 생산성 향상 및 근로자 고용안정 도모 • 317백만원(도비 95, 시‧군비 95, 자부담 127) • ※ 1인당 훈련비 800천원/년 정도 교육내용 사업목적 사 업 비
마.「청년취업 2000」사업 주관기관 • 전라북도 일자리정책관실(☎ 280-2826) • 1인당 최고 9,600천원까지 • - 수습기간 중 : 수습기간 동안 월 800천원 / 3개월 한도 • - 정규직 전환시 : 2년 이상 채용 약정시 월 800천원 추가 지원 / 9개월간 지원한도 • 청년 미취업자들에게 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및 취업 유도 • - 기업 체험근무 및 체험 종료 후 정규직 전환 • 1,200명 / 11,040백만원(도비 4,416, 시‧군비 6,624) • ※ 2012년도 지원실적 : 1,046명 • (청년취업자) 도내 거주 만 25~39세의 미취업 청년층 • (기업) 도내 소재 상시근로자 5인 이상의 고용보험 가입 업체 • 12개월간 인건비 보조 기업지원금 지원 • (수습기간 3개월, 정규직 전환 후 9개월) 사업목적 ’13년도 지원목표 지원대상 지원내용
바. ‘4050 중·장년층’ 취업지원 사업(’13년 시범사업) 주관기관 • 전라북도 일자리정책관실(☎ 280-2826) • 1인당 최고 7,200천원까지 • - 수습기간 중 : 수습기간 동안 월 600천원 / 3개월 한도 • - 정규직 전환시 : 2년 이상 채용 약정시 월 600천원 추가 지원 / 9개월간 지원한도 • 베이비부머 세대 등 중·장년층의 일자리 확대 및 자립기반 조성 • - 기업 체험근무 및 체험 종료 후 정규직 전환 • (취업자) 도내 거주 만 40~59세의 미취업 중·장년층 • (기업) 도내 소재 상시근로자 5인 이상의 고용보험 가입 업체 • 12개월간 인건비 보조 기업지원금 지원 • (수습기간 3개월, 정규직 전환 후 9개월) 사업목적 지원규모 지원대상 지원내용 • 100명 / 720백만원(도비 288, 시‧군비 432)
가. Buy전북 등 지역우수상품 육성 지원 • 상품 판촉활동 및 홍보 지원 • - 박람회 참가, 온라인 쇼핑몰 및 대형 유통매장 입점, • 한옥마을 우수상품관, 백화점 내 Buy전북관 입점, 브랜드 홍보 지원 등 지원내용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861) • 전북경제통상진흥원(☏ 711-2032), Buy전북협의회(☏ 229-5537) 사업목적 사 업 비 주관기관 지원대상 • 지역 우수상품의 판로 및 마케팅 지원으로 매출향상 도모 • 495백만원(도비) • Buy전북 인증업체(78개) 및 지역우수상품 생산업체
나. Buy전북 등 중소기업제품 디자인 개발 지원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861) • 전북경제통상진흥원(☏ 711-2032) 주관기관 • 디자인 개발지원을 통한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실현으로 • 대외경쟁력 강화 • 포장지, 카탈로그, BI, CI 개발 지원 • - 분야별 차등 지원(사업비의 50~70% 지원) • 도내 소재 중소기업 • - 전년도 동일분야 지원업체는 지원 제외 사업목적 사 업 비 지원내용 지원대상 • 200백만원(도비)
다. 전자상거래지원센터 운영 지원 주관기관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861) • 전주상공회의소(☏ 288-3016) • 전자상거래지원센터 e-biz마케팅 사업비 지원 • - 업체별 2백만원 한도(지원 업체수에 따라 변동 가능) • 도내 소재 중소기업 • - 최근 3년간 동 사업으로 지원을 받은 업체 제외 사 업 비 지원내용 지원대상 사업목적 • 60백만원(도비) • 온라인 판로개척을 위한 홈페이지/쇼핑몰 구축 등 지원
라. 지역제품 공공구매 확대 지원 사 업 비 사업목적 주관기관 • 176백만원(도 158, 시‧군 18) • 지역중소기업 생산품의 공공구매 확대로 매출증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 • 전라북도 민생경제과(☏ 280-3243) • 찾아가는 공공구매 전시‧상담회(시·군 순회, 8회) • 지역제품 공공구매지원단 운영(월 2회, 도내 공공기관 방문) • 기술인증(성능인증 등) 취득 지원 및 나라장터 등록 지원 등(연중) 사업내용
마. 대·중소기업 부품구매 상담회 주관기관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23) • 전북경제통상진흥원(☏ 711-2030) 지원대상 사업목적 사업내용 • 대기업 수요 부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 60여개 업체 정도 • 중소기업 생산제품 판로 확대 및 대기업 신규거래선 확보 • 대기업 구매담당자와 중소기업간 1:1 개별 구매상담(사전 매칭)
바. 수출기업 판로개척 및 마케팅 지원 사업목적 2013년도 수출목표 사 업 비 사업내용 주관기관 • 수출기업의 국내‧외 마케팅 활동 지원으로 제품 인지도 향상 및 매출증대 • 130억불 • 20억원(국비 10, 도비 10) • 전시·박람회 참가 지원 • ·단체 전시·박람회 : 부스임차료(100%), 통역료(50%) • ·개별 전시·박람회 : 해외(5백만원 이내), 국내(2백만원 이내) • 무역사절단 파견 지원 • ·FTA체결국, 항공료(50%), 통역료, 상담장임차료 등 지원 • 수출보험 가입비 지원 • ·업체당 연간 3백만원 이내(신용보증, 수출보험, 환변동보험 등) • 국제특송물류비 지원 • ·소요비용의 30%(월 500천원, 연 5백만원 한도)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377) 전북경제통상진흥원(☏ 711-2040) • 한국무역협회전북지역본부(☏ 214-6991) • 중소기업진흥공단전북지역본부(☏ 210-9912)
가. 소상공인 자금 지원 사업목적 지원대상 지원규모 지원자금 지원절차 주관기관 • 소상공인 경영난 해소 및 경쟁력 강화를 통한 민생경제 안정 • 저신용‧영세 소상공인 및 생계형서비스 업종 전환자 • 1,400억원 보증 지원(자금 및 이차보전) • 자금지원 신청 → 보증(전북신용보증재단) → 대출(금융기관) • 전라북도 민생경제과(☏ 280-3258) 전북신용보증재단(☏ 230-3333) • 창업·경영개선자금 : 업체당 70백만원 한도 • 골목상권 활성화 특례보증(신규) : 개인당 20백만원 한도 • 햇살론 : 창업자금, 운영자금, 생계자금, 대환대출 등 • 희망창업 특례보증 •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특례보증 • 산업은행 협약 자금(신규) : 1억원 한도
나. 소상공인 희망센터 운영 및 활성화 지원 지원내용 주관기관 • 센터 입주업체 창업성장 지원(100개 업체, 년 3억원) • 지식서비스산업 활성화 지원(32개 업체, 년 1억원) • 전라북도 민생경제과(☏ 280-3784) • 전북경제통상진흥원(☏ 717-1310) 센터현황 지원대상 입주기간 • 창업예정자, 창업 2년 미만의 소상공인 • 1년 •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945-6 • 보육실 72개실 및 부대시설(회의실, 창고, 공동기기실, 촬영실 등) • 소상공인 100개 업체 입주 및 창업‧성장보육
다. 소상공인 맞춤형 교육 및 컨설팅 지원 주관기관 • 전라북도 민생경제과(☏ 280-3784) • 전북경제통상진흥원(☏ 717-1310) 사업목적 지원대상 사 업 비 • 창업 아이템 제공, 경영진단으로 소상공인의 안정적 영업기반 확보 • 도내 소상공인 누구나 가능 • 도비 150백만원(교육 50, 컨설팅 100) • 맞춤형 컨설팅(125명), 교육(20회, 1,000명) • - 맞춤형 컨설팅(125명) : 전문가 1:1 맞춤형 컨설팅 • (창업, 경영진단, 사업전환 등 성장단계별 컨설팅) • - 창업경영개선 교육(20회, 1,000명) • 관련 전문가 교육 및 성공CEO 초청 사례 전파(사전 신청 없이도 참가 가능) 지원내용
라. 스타 소상공인 육성 주관기관 • 전라북도 민생경제과(☏ 280-3784) • 전북경제통상진흥원(☏ 717-1310) 사업목적 • 성장 가능성이 높은 소상공인을 방송사 공개 오디션을 통해 성공모델로 육성함으로써 도내 소상공인들에게 성공비전을 제시 지원대상 사 업 비 • 프랜차이즈, 생계형서비스업체 등 도내 소상공인 • 도비 150백만원 • 유망 소상공인 발굴 및 성장 지원 • - 경영지원 : R&D, 마케팅, 해외진출, 시설 개·보수 사업비 등(3개 업체, 60백만원) • - 경영지도 : 방송을 통한 업체 홍보 및 전문가 컨설팅 지원 • - 자금융자 및 이차보전 : 업체당 30백만원 한도 전북신보 특례보증, 이차보전 2% 지원내용
마. 프랜차이즈 산업 육성 주관기관 • 전라북도 민생경제과(☏ 280-3783) • 전북프랜차이즈협회(☏ 214-0045) • 전북경제통상진흥원(☏ 717-1310) 지원대상 지원내용 • 도내 가맹본부를 두고 있는 프랜차이즈 업체 • 가맹거래사업을 희망하는 우수소상공인 • 향토 프랜차이즈업체 국내 가맹점 확대 지원(120백만원) • - 타 시·도 프랜차이즈박람회 참가 지원(1업체당 2백만원 한도) • - 공정거래위원회 가맹본부 등록 지원(1업체당 1백만원 한도) • 프랜차이즈 업체 해외진출 지원(2개 업체, 각 10백만원) • - 해외 박람회 부스설치비, 해외매장 오픈마케팅, 현지 조사 비용 등 • 우수 소상공인 프랜차이즈 가맹본부화 육성(5개소, 70백만원)
가. ‘희망을 빌려드립니다’ 청년창업 지원 지원절차 • 교육 신청 ·접수 : 전북경제통상진흥원 홈페이지(www.jbsos.or.kr) 및 • 희망창업홈페이지(www.jbhope.or.kr) • 방문접수 : 전북경제통상진흥원(교육지원팀) 주관기관 • 창업경험이나 자금력이 부족한 20~30대 청년창업 준비자들에게 • 경영 노하우와 전문교육 실시 및 성공적인 창업 유도 • 전라북도 일자리정책관실(☏ 280-2871) • 전북경제통상진흥원(☏ 711-2051) 사업목적 지원내용 • 교육지원 : 창업 기본교육, 현장실습, 경영마케팅, 모의창업 등 • - 외식·서비스반, 소호형 제조·유통반, 지식·문화 콘텐츠반 400명(연 4회) • 자금지원 : 전북신용보증재단의 특례보증을 통해 최고 4천만원 한도 • - 창업자금 : 최고 30백만원 융자 (1년 거치 4년 균등상환) • - 성장정착자금 : 창업 후 1년 이상 영업 지속자 추가 1천만원 특례보증 • 사후관리 : 맞춤형 마케팅, 컨설팅, 간판지원, 홍보책자 발간 등 • 청년창업 수퍼스타V 육성 : 5개 업체(업체 당 1천만원 지원) 지원대상 • 만20세~39세 청년창업 준비자
나. 창업보육센터 운영 및 입주기업 보육 지원 지원내용 • 입주기업 보육 지원(사업공간 제공, 경영·기술 지도, 컨설팅, 인증획득 지원 등) • 창업 우수 아이디어 시제품 제작 지원(12개 업체, 총 6천만원) • 특례보증 지원( 업체당 최고 5천만원 한도) 및 이차보전 • - 운전자금 3천만원 한도, 시설자금 5천만원 한도 • - 변동금리 적용, 도 이차보전 2.0% • - 1년 거치 4년 균등분할 상환, 대출기관(전북은행, NH농협) 주관기관 • 우수한 사업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가진 창업 초기기업 및 예비 창업자 • 보육을 지원하여 성공적인 창업 정착 유도 • 전주대 창업보육센터 등 14개 센터(대학 12, 기관 2) • - 270여 개 입주기업 보육 지원 • 전라북도 일자리정책관실(☏280-2872) • 전북지역BI협의회(☏220-3737), 전북신용보증재단 (☏230-3362) 사업목적 센터현황 지원대상 • 창업 3년 이내의 업체 및 예비 창업자
다. 청년·서비스 창업지원센터 운영 지원내용 • 경영컨설팅 지원 및 CEO 마인드 함양 교육 및 훈련 • - 컨설팅 : 70개 업체 • ·일반과정 : 컨설팅 난이도나 전문성이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 업체(4회) • ·심화과정 : 고도의 전문성과 복합적인 컨설팅이 요구되는 업체(5~7회) • ※ 청년·서비스 창업지원센터 소속 컨설턴트가 신청업체에 대한 현장 확인 후 과정 구분 주관기관 • 청년·서비스 업체에 대한 경영컨설팅을 통해 경쟁력 및 자립역량 강화로 • 창업자의 경영안정도모 • 경영난에 처해 있는 도내 서비스 및 희망창업 업체 중 • 경영개선 컨설팅을 희망하는 업체 • 전라북도 일자리정책관실(☏ 280-3794) • 전라북도경제통상진흥원 (☏ 711-2010) 사업목적 지원대상
라. 협동조합 조기 정착을 위한 컨설팅 지원 지원대상 지원내용 • 도내 신설 협동조합 • - 중소기업기본법에 정한 중소기업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지원대상에 포함 • 홈페이지 구축, 공동 판로개척을 위한 홍보 마케팅, 브랜드 개발, • 시설 및 장비 구입비, 특허 및 실용신안 출원비 보조 등 사업목적 주관기관 • 신설 협동조합의 조기 정착을 위한 맞춤형 컨설팅 중심의 생태계 강화 • 전라북도 민생경제과(☏ 280-3244) • 전북경제통상진흥원(☏ 711-2077)
마. (예비)사회적기업 발굴·육성 지원 지원내용 • 인건비 : 1~50명(1년 단위 재심사), 2013년 1,107천원(1인당) 이내 • 사업개발비 : 인증사회적기업 최대 1억원, 예비사회적기업 최대 50백만원 • 전문인력 : 인증사회적기업 최대 3명 3년, 예비사회적기업 최대 1명 2년 • ※ 예비사회적기업은 상시근로자 10인 이상 사업장 대상으로 지원 지원대상 • 도내 (예비)사회적기업(2012년말 현재 111개) 사업목적 주관기관 • 도내에 소재한 성장 가능성이 높고 자립기반 구축이 뛰어난 • 기관·단체 등을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지정하여 육성 지원 • 전라북도 일자리정책관실(☏ 280-3781-2)
가. 중소기업 환경개선 사업 지원내용 • (복지편익시설 ) 여가시설, 체육시설, 보건위생시설 개선사업 등 • (근로환경개선 ) 환풍시설개선, 집진시설 개선사업 등 • (출퇴근차량 지원) 산단 및 농공단지별 근로자 출퇴근 차량 운행 • (기업보육시설) 시설비의 60~70% 차등지원, 운영비 지원 등 사 업 비 지원대상 • 36억원(도 6, 시‧군 15, 자부담 15) • 181건(복지편익시설 87, 근로환경개선90, 근로자출퇴근 버스 지원4) • - 도, 시·군 중점시책 참여 중소기업 우선 지원 사업목적 주관기관 • 중소기업 환경개선 지원으로 기업경영 환경 개선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46, 3228), 시‧군 기업지원부서
나. 찾아가는 기업애로 해소 지원 추진방법 추진체계 지원내용 • 도지사 등 도 간부공무원 기업현장 방문 애로사항 해결 • 정례(주 2회) 및 수시 기업현장 방문 • 유관기관 합동 일괄 처리시스템 구축 • - 현장간담회 개최 및 기업애로 해결 지원 등 • 맞춤형 기업애로 해소, 현장행정 기동반 운영 • - 자금, 기술, 인력, 마케팅 등 4개반(12명) 구성‧운영 사업목적 주관기관 • 현장 중심의 기업애로 해결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46, 3228)
다. 전라북도 모범중소기업 발굴·육성 지원대상 • 25개 업체(성장가능성과 지역경제 기여도 평가) • - 유망중소기업 : 20개 업체 • - 우수중소기업인상 : 5개 부문 각 1명 • (고용창출, 매출향상, 지역발전공헌도, 우수 신제품개발, 지역 장수기업) 지원내용 • 유망중소기업 : 경영안정자금 대출시(3억원 이내) 이차보전 1% 우대 • 우수중소기업인상 : 경영개선 보조금 업체당 50백만원 지원 사업목적 사 업 비 • 도내 중소기업의 경영의욕 고취 및 사기진작 도모 • 250백만원(도비) 주관기관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31)
라. 전통공예산업 육성 지원 지원내용 • 전통공예품대전 개최 지원 : 50명 시상 • 공예박람회 참가 지원 • 공예제품 개발 지원 : 80개 업체 사업목적 사 업 비 • 전통공예산업의 경쟁력 확보 및 판로 개척 지원 • 80백만원(도비) 주관기관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31) • 전라북도공예협동조합(☏ 231-2288)
마. 여성경영인 육성 리더십 스쿨 운영 사업목적 사 업 비 지원대상 사업내용 • 여성 전문경영인 육성과 여성창업 성공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운영 • 24백만원(도비 20, 자부담 4) • 도내 중소기업 여성 CEO • 마케팅 전략, 경영컨설팅, 자아탐구 및 개발, 우수여성기업 시찰 등 주관기관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31) • 한국여성경제인협회전북지회(☏ 272-9973)
바. 공정과 책임의 선진노사문화 확립 사업목적 사업내용 • 노사 화합과 상생분위기 조성 및배려와 양보의 • 노사문화 확립으로 기업하기 좋은 환경 구축 • 산업평화모범사업장 선정 지원(60백만원) • 산업평화대상 시상 • 노사의 선도적 역할을 위한 노사민정 협의회 운영(15백만원) • 지역 노사민정 협력(교육·홍보) 활성화 사업(160백만원) • 노사가 함께하는 노사대학 운영 등(92백만원) 사 업 비 • 327백만원(국비 80, 도비 247) 주관기관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962)
사. 기업상장 컨설팅 서비스 지원 사업목적 지원내용 • 중소·벤처기업 주식사무(주총·증자·우리사주 등)에 대한 무료 컨설팅 지원으로 기업상장 및 경쟁력강화 지원 • 주식사무(주총·유무상증자·우리사주 등)에 대한 무료 컨설팅 • 비통일주권 필요기업에 대한 제작방법 안내 및 무료제작 교부 • 통일주권 발행 및 채권등록 발행시 무료 컨설팅 지원대상 주관기관 • 비상장법인, 상장예정법인, 우리사주 설립 예정법인 등 • 한국예탁결제원(☎ 02-3774-3510, 전주고객센터 276-7761)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46)
아. 전자투표제를 활용한 주주총회 활성화 지원 사업목적 제도개요 도입효과 • 상장기업의 주주총회 운영시 인터넷 기반의 주총사무 관리로 주주의 권리보호와 회사의 경영환경 개선 • 주주가 주주총회에 직접 출석하지 않고 전자적 방법으로 • 의결권을 행사하는 제도(상법 제368조의4, ’10.5.23 시행) • (발행회사) 주총 의결권 사전확보, 주주의 권리행사 서비스 개선 • (주 주) 주주총회 참여기회 확대 및 권리 신장 • (국민경제) 투명한 기업경영 풍토조성, 사회적 비용 절감 주관기관 • 한국예탁결제원(☎ 02-3774-3510, 전주고객센터 276-7761) • 전라북도 기업지원과(☎ 280-3223)
2013년도 전라북도 중소기업지원 시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