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likes | 392 Views
대중교통중심의 교통종합대책. 2003.10. 대 구 광 역 시. 추진배경 및 목적. 기존 시설 운영효율화 및 대중교통중심 교통체계구축. 자동차 중심의 도로시설 공급우선 정책의 한계 지하철 건설 장기간 소요. 대중교통 수송분담율 현황 및 전망. 대중교통수송분담율 현황 (2002.12.31 현재 ). 수송분담율 현황 및 예측. 자 료 : 대구시 도시교통정비기본계획 , 2002.11. 시내버스와 지하철의 낮은 분담율은 장래 2020 년까지 지속 대중교통 수송분담율 증가를 위한 특별한 대책 필요.
E N D
대중교통중심의 교통종합대책 2003.10 대 구 광 역 시
추진배경 및 목적 기존 시설 운영효율화 및 대중교통중심 교통체계구축 자동차 중심의 도로시설 공급우선 정책의 한계 지하철 건설 장기간 소요
대중교통 수송분담율 현황 및 전망 • 대중교통수송분담율현황(2002.12.31현재) • 수송분담율 현황 및 예측 자 료 : 대구시 도시교통정비기본계획, 2002.11 • 시내버스와 지하철의 낮은 분담율은 장래 2020년까지 지속 대중교통 수송분담율 증가를 위한 특별한 대책 필요
□ 대중교통 수송분담율(버스+지하철) 60% 계획지표 주) 1. 대중교통수송분담율은 버스와 지하철의 분담율을 합한 수치임 2. 택시의 경우 준대중교통수단이나 택시의 역할이 개인을 위한 교통수단으로 사용됨으로 대중교통 수송문담율에는 포함하지 않음
대중교통우선시책 •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지정 • 고급급행간선버스(BRT) 도입 • 버스전용차로 확대설치 • 버스전용차로 단속강화 • 환승할인제 시행 • 환승시스템 확충 및 지하철 서비스 개선 중 점 추 진 시 책 주차관리정책 교통수요관리 • 교통유발부담금제도 확대 •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 지정 대중교통활성화 • 주차시설확충-공영, 민영 • 주차관련제도개선 - Red Zone, 바퀴자물쇠 • 주차단속강화 • 기존시설 활용 강화 - 거주자우선주차제 - 지구단위교통개선사업 시내버스서비스 개선 • 시내버스서비스평가제실시 • 권역별 공동배차제 시행 • 시내버스정보안내시스템 (BIS) 도입 • 서비스 질 향상
총소요예산 : 97,717백만원 - 추가예산 : 68,517백만원(연평균 : 13,703백만원) <연도별 소요예산>(백만원)
결 어 ○건교부의 도시교통개선 실천계획과 연계하여 추진 ○ 법개정 사항(바퀴자물쇠도입 등) 공동 대응 ○BRT시스템에 도입 및 건설에 대한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요구 ※어느 도시나 도시교통정책에 대한 해답은 모두 알고 있으나 추진이 문제임 계획의 실행을 위한 최선의 노력이 요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