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4

자폐장애의 유병률 : 한국학령기 아동에서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자폐장애의 유병률 : 한국학령기 아동에서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정신과 김영신 부교수. Autism Conference for Korean Family 2012 년 6 월 16 일 토요일 , Teaneck, NJ. 내용. 자폐장애란 ? 자폐장애의 유병률이 왜 중요한가 ? 자폐장애의 과거 역학연구 결과 , 의미 , 문제점 한국학령기 아동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자폐장애 유병률연구의 미래 방향제시. 레트 장애. 자폐장애. 소아기 붕괴성장애.

vin
Download Presentation

자폐장애의 유병률 : 한국학령기 아동에서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자폐장애의 유병률:한국학령기 아동에서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정신과 김영신 부교수 Autism Conference for Korean Family 2012년 6월 16일 토요일, Teaneck, NJ

  2. 내용 • 자폐장애란? • 자폐장애의 유병률이 왜 중요한가? • 자폐장애의 과거 역학연구 • 결과, 의미, 문제점 • 한국학령기 아동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 자폐장애 유병률연구의 미래 방향제시

  3. 레트 장애 자폐장애 소아기 붕괴성장애 진단통계편람 4판(DSM-IV): 광범위성발달장애 아스퍼거 장애 비전형 범발달 장애

  4. 자폐장애란? • 3 가지 주요 증상 도메인 • 사회 상호작용의 질적인 손상 • 의사소통의 질적인 손상 • 제한되고, 반복적이며, 상동적인 행동, 관심사 및 활동 • 3세이전에 발병 • 경과 • 만성적, 많은 지지가 필요

  5. 템플 그란딘과의 인터뷰

  6. 리오 카너 교수 ““정동적 접촉의 자폐적 장애” The Nervous Child, 1943

  7. 한스 아스퍼거 리오 카너

  8. 비엔나 대학, 오스트리아 한스 아스퍼거 (Hans Asperger)(1906 – 1980) 1943년논문 “자폐적 정신병” 4 사례

  9. 사회적 상호작용의 이상 의사소통의 실패 “특이한” 관심의 발달 로라 윙 (L. Wing) (1981): 카너 + 아스퍼거

  10. 자폐장애의 유별률이 왜 중요한가? • 유병률 연구의 중요성 • 질환으로 인한 사회의 부담 • 예방과 치료에 대한 계획 • 시간에 걸친 유병률의변화 • 위험인자의 변화 • 치료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

  11. 자폐장애의 유병률 연구:결과 해석

  12. 자폐장애의 유병률 연구:결과 (/10,000) • 자폐장애 유병률 • 2000년 이전: 36.6/10,000 • 2000년 이후: 60/ 10,000 = 0.6% = 165명당 1명 • 2012년 CDC 연구 결과: 113/10,000=1.1% = 88명당 1명

  13. 자폐장애의 유병률 연구:결과 해석 • 지난 30년동안 왜 자폐장애의 유병률이 4배이상 증가했는가? • 자폐장애의 진단기준의 변화 • 자폐장애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나이가 어려짐 • 연구대상자의 숫자가 통계적으로 불안정적

  14. 자폐장애의 유병률 연구:결과 해석 • 진단기준의 변화가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필란드 연구) Kielinen et al., 2000

  15. 연구대상 연구대상 서비스 서비스 서비스 접근도가 떨어지는 경우 서비스 접근도가 높은 경우 동일 유병률 자폐장애의 유병률 연구:결과 해석 서비스 접근도가 유병률 연구에 미치는 영향

  16. 미네소타주의 경향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Educational Act (IDEA) ICD-10 DSM-IV DSM-III-R Gurney et al., 2003

  17.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현재 연구 상황 • 자폐유병률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나라.

  18. 한국 학령기 아동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 한국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의 특징 • 일도시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조사 실시 • 한국의 학교시스템을 사용 • 선별후 확진을 하는 2단계의 연구 • 다양한 정보제공자를 이용한 선별검사: 교사와 부모 • 표준화된 진단도구를 이용하여 자폐장애 확진 : ADI, ADOS, 인지기능검사

  19. 조사준비 (1): 지역사외와 파트너쉽 형성 • 고양시 교육청 • 장기간의 파트너쉽 • 교장, 교감, 보건교사, 교사와의 회의 • 고양시청 • 복지과 장애명부 담당

  20. 조사준비 (2): 토론그룹 회의 • 부모토론그룹 회의 • 자폐장애와 연관된 낙인 • 연구자료의 비밀 보장 • 선별 및 진단검사 결과에 대한 통보 • 교사토론그룹 회의 • 업무량 증가 • 연구자료의 비밀 보장 • 치료의 부재

  21. 조사준비 (3): 선별 및 진단기구의 한국 표준화 • ASSQ • 27 개 문항 • 선별점수 기준: 부모 ASSQ 상위 5th% 교사 ASSQ >10 • ADOS and ADI-R • 최상의 표준진단 • Kappa: ADI-R 0.71 ADOS 0.80

  22. 자폐장애 진단에 있어서 문화적 변인 고려 • 조사 시작전 • 토론그룹회의 • 선별 및 진단도구의 번역, 역번역, 한국어린이를 위한 표준화 • 조사 시행중 • 최선의 임상진단 • 한국과 미국 모두에서 풍부한 임상 및 연구경험을 쌓은 임상가

  23. 조사 시행 특수학교/장애자명부 일반학교 선별양성 진단검사 진단

  24. 학교 방문, 강의 및 설문 조사

  25. 조사 참여 어린이의 인구학적 특성 특수학교/장애자 명부 /서비스 이용아동 일반학교아동 출생연도

  26. 특수학교/장애자명부/서비스이용 자폐아동과 일반학교의 자폐아동의 임상적 특징 비교

  27. 자폐장애 유병률

  28. 왜 한국 아동에서 자폐장애 유병률이 높은가? 일반학교 아동의 유병률= 1.89% 특수학교/장애인명부/서비스이용 아동의 유병률= 0.75% (≈ 미국/유렵 유병률과 동일)

  29.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 • 연구결과를 다른 연구대상에서 재확인 • 유전 및 환경 원인인자에 대한 연구 • 치료제 개발

  30. 자폐장애의 유병률:한국학령기 아동에서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정신과 김영신 부교수 Autism Conference for Korean Family 2012년 6월 16일 토요일, Teaneck, NJ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