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0 likes | 654 Views
자폐장애의 유병률 : 한국학령기 아동에서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정신과 김영신 부교수. Autism Conference for Korean Family 2012 년 6 월 16 일 토요일 , Teaneck, NJ. 내용. 자폐장애란 ? 자폐장애의 유병률이 왜 중요한가 ? 자폐장애의 과거 역학연구 결과 , 의미 , 문제점 한국학령기 아동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자폐장애 유병률연구의 미래 방향제시. 레트 장애. 자폐장애. 소아기 붕괴성장애.
E N D
자폐장애의 유병률:한국학령기 아동에서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정신과 김영신 부교수 Autism Conference for Korean Family 2012년 6월 16일 토요일, Teaneck, NJ
내용 • 자폐장애란? • 자폐장애의 유병률이 왜 중요한가? • 자폐장애의 과거 역학연구 • 결과, 의미, 문제점 • 한국학령기 아동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 자폐장애 유병률연구의 미래 방향제시
레트 장애 자폐장애 소아기 붕괴성장애 진단통계편람 4판(DSM-IV): 광범위성발달장애 아스퍼거 장애 비전형 범발달 장애
자폐장애란? • 3 가지 주요 증상 도메인 • 사회 상호작용의 질적인 손상 • 의사소통의 질적인 손상 • 제한되고, 반복적이며, 상동적인 행동, 관심사 및 활동 • 3세이전에 발병 • 경과 • 만성적, 많은 지지가 필요
리오 카너 교수 ““정동적 접촉의 자폐적 장애” The Nervous Child, 1943
한스 아스퍼거 리오 카너
비엔나 대학, 오스트리아 한스 아스퍼거 (Hans Asperger)(1906 – 1980) 1943년논문 “자폐적 정신병” 4 사례
사회적 상호작용의 이상 의사소통의 실패 “특이한” 관심의 발달 로라 윙 (L. Wing) (1981): 카너 + 아스퍼거
자폐장애의 유별률이 왜 중요한가? • 유병률 연구의 중요성 • 질환으로 인한 사회의 부담 • 예방과 치료에 대한 계획 • 시간에 걸친 유병률의변화 • 위험인자의 변화 • 치료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
자폐장애의 유병률 연구:결과 (/10,000) • 자폐장애 유병률 • 2000년 이전: 36.6/10,000 • 2000년 이후: 60/ 10,000 = 0.6% = 165명당 1명 • 2012년 CDC 연구 결과: 113/10,000=1.1% = 88명당 1명
자폐장애의 유병률 연구:결과 해석 • 지난 30년동안 왜 자폐장애의 유병률이 4배이상 증가했는가? • 자폐장애의 진단기준의 변화 • 자폐장애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나이가 어려짐 • 연구대상자의 숫자가 통계적으로 불안정적
자폐장애의 유병률 연구:결과 해석 • 진단기준의 변화가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필란드 연구) Kielinen et al., 2000
연구대상 연구대상 서비스 서비스 서비스 접근도가 떨어지는 경우 서비스 접근도가 높은 경우 동일 유병률 자폐장애의 유병률 연구:결과 해석 서비스 접근도가 유병률 연구에 미치는 영향
미네소타주의 경향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Educational Act (IDEA) ICD-10 DSM-IV DSM-III-R Gurney et al., 2003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현재 연구 상황 • 자폐유병률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나라.
한국 학령기 아동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 한국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의 특징 • 일도시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조사 실시 • 한국의 학교시스템을 사용 • 선별후 확진을 하는 2단계의 연구 • 다양한 정보제공자를 이용한 선별검사: 교사와 부모 • 표준화된 진단도구를 이용하여 자폐장애 확진 : ADI, ADOS, 인지기능검사
조사준비 (1): 지역사외와 파트너쉽 형성 • 고양시 교육청 • 장기간의 파트너쉽 • 교장, 교감, 보건교사, 교사와의 회의 • 고양시청 • 복지과 장애명부 담당
조사준비 (2): 토론그룹 회의 • 부모토론그룹 회의 • 자폐장애와 연관된 낙인 • 연구자료의 비밀 보장 • 선별 및 진단검사 결과에 대한 통보 • 교사토론그룹 회의 • 업무량 증가 • 연구자료의 비밀 보장 • 치료의 부재
조사준비 (3): 선별 및 진단기구의 한국 표준화 • ASSQ • 27 개 문항 • 선별점수 기준: 부모 ASSQ 상위 5th% 교사 ASSQ >10 • ADOS and ADI-R • 최상의 표준진단 • Kappa: ADI-R 0.71 ADOS 0.80
자폐장애 진단에 있어서 문화적 변인 고려 • 조사 시작전 • 토론그룹회의 • 선별 및 진단도구의 번역, 역번역, 한국어린이를 위한 표준화 • 조사 시행중 • 최선의 임상진단 • 한국과 미국 모두에서 풍부한 임상 및 연구경험을 쌓은 임상가
조사 시행 특수학교/장애자명부 일반학교 선별양성 진단검사 진단
조사 참여 어린이의 인구학적 특성 특수학교/장애자 명부 /서비스 이용아동 일반학교아동 출생연도
특수학교/장애자명부/서비스이용 자폐아동과 일반학교의 자폐아동의 임상적 특징 비교
왜 한국 아동에서 자폐장애 유병률이 높은가? 일반학교 아동의 유병률= 1.89% 특수학교/장애인명부/서비스이용 아동의 유병률= 0.75% (≈ 미국/유렵 유병률과 동일)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 • 연구결과를 다른 연구대상에서 재확인 • 유전 및 환경 원인인자에 대한 연구 • 치료제 개발
자폐장애의 유병률:한국학령기 아동에서의 자폐장애 유병률 연구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정신과 김영신 부교수 Autism Conference for Korean Family 2012년 6월 16일 토요일, Teaneck, N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