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9

디지털 유산의 보존 방안

디지털 유산의 보존 방안. 2004. 11. 19 서 혜 란 ( 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디지털 유산 (Digital heritage). 개념 인류의 지식과 표현을 디지털 형태로 나타낸 자료로서 그 영속적인 가치와 중요성 때문에 현재 및 미래 세대를 위해 보존해야 하는 것 디지털 형태로 생산된 것 (born-digital) /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것 (digitalized) 문화 , 교육 , 학술 , 행정 , 정보 ( 기술 , 법률 , 의학 등 ) 적 목적

verdi
Download Presentation

디지털 유산의 보존 방안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디지털 유산의 보존 방안 2004. 11. 19 서 혜 란 (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 디지털 유산(Digital heritage) • 개념 • 인류의 지식과 표현을 디지털 형태로 나타낸 자료로서 그 영속적인 가치와 중요성 때문에 현재 및 미래 세대를 위해 보존해야 하는 것 • 디지털 형태로 생산된 것(born-digital) /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것(digitalized) • 문화, 교육, 학술, 행정, 정보(기술, 법률, 의학 등)적 목적 • texts, databases, still and moving images, audio, graphics, software, web pages etc. Unesco. 2003. Guidelines for the Preservation of Digital Heritage.

  3. 디지털 유산(Digital heritage) • 특성 • 양적 성장 • 단명성 • 물리적 • 기술적 • 내용적 • 새로운 소유와 접근 모델 • “디지털 암흑시대” 시나리오 디지털 보존의 필요성 대두

  4. 디지털보존(Digital Preservation) • 개념 • RLG/OCLC Working Group on Digital Archival Attributes (2002) Trusted Digital Repositories: Attributes and Responsibilities. • Bit stream의 장기적 유지관리 • 내용에 대한 지속적 접근성 제공

  5. 디지털 보존(Digital Preservation) • 개념 • Garrett & Waters (1996) Preserving Digital Information: Report of the Task Force on Archiving of Digital Information. • 디지털정보의 무결성(integrity)을 유지하는 것 • 무결성의 조건 • 내용(content) • 고정(fixity) • 참조(reference) • 출처(provenance) • 맥락(context)

  6. 디지털 보존(Digital Preservation) • 개념 • Graham (1994) Intellectual Preservation: Electronic Preservation of the Third Kind. • 디지털 보존의 세 측면 • medium preservation • technology preservation • intellectual preservation • integrity and authenticity of the information as originally recorded • accidental change, intentional change that is well meant, intentional change that is not well meant(fraud) 각각에 대한 보존전략

  7. 디지털보존소의 속성 OAIS 참조모델 준수 행정적 책임 조직의 능력 재정적 유지 능력 기술적, 절차적 적절성 시스템 안전성 절차적 책임성 RLG/OCLC (2002) Trusted Digital Repositories: Attributes and Responsibilities. 디지털유산 보존의 책임

  8. 디지털유산 보존의 책임 • 생산자와의 협력 • 생산자: 기획자, 저자, 출판자, 소프트웨어개발자, 배포자 등 • 생산자와의 협력 필요성 • 협력의 방법과 내용 • 생산자대표와의 협상 + 개별적 협상 • 보존을 통한 상호이익의 확인 • 지침의 개발 • 사례 • Elsevier Science와 KB

  9. 디지털유산 보존의 책임 • 디지털자료의 납본 • 납본의 필요성 • “[유네스코] 회원국에는 자국의 디지털유산보존에 적절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국가적 보존정책의 핵심요소로서 … 법정납본 또는 자발적 납본 대상에 디지털유산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Unesco. 2003. Charter on the Preservation of the Digital Heritage. 제8항)

  10. 디지털유산보존의 책임 • 디지털자료의 납본 • 디지털유산의 납본 사례 • 오프라인 • 한국, 일본, 미국 • 온라인 • 영국, 프랑스, 독일,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 • 네덜란드(자발적 납본)

  11. OAIS Reference Model • 디지털자료의 장기보존과 지속적 접근제공을 위한 개념적 모델 • 1999년 CCSDS의 Red Book 발표 • 2002년 CCSDS의 Blue Book 발표 • 2003년 ISO/TC 20, SC13에 의해 국제표준 ISO 14721로 채택

  12. OAIS Reference Model • 수용사례 • NEDLIB(Networked European Deposit LIBrary) • Cedars(CURL Exemplars in Digital Archives) • PANDORA(Preserving and Accessing Networked Documentary Resources of Australia) • ERA(Electronic Records Archives)

  13. OAIS Reference Model

  14. 내용정보(CI) 표현정보(representation information) 보존기술정보(PDI) 참조정보(reference information) 출처정보(provenance information) 맥락정보(context information) 고정정보(fixity information) 보존 메타데이터

  15. 보존 메타데이터 • 주요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 명세 •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99) Preservation Metadata for Digital Collections. • CEDARS (2000) Metadata for Digital Preservation: the CEDARS Project Outline Specification. • NEDLIB (2000) Metadata for Long Term Preservation. • OCLC/RLG Working Group on Preservation Metadata (2002) Preservation Metadata and the OAIS Information Model: a Metadata Framework to Support the Preservation of Digital Objects.

  16. 디지털유산의 보존전략 • 단기 보존전략 • refreshing • technology preservation • 중장기 보존전략 • migration • emulation • 기타

  17. 디지털유산의 보존전략 • 보존전략 선정의 고려사항 • 기술적 타당성 • 비용-효과성 • 법적 제약 • 출판사와의 협정 • 이용자의 접근 조건 • 서로 다른 보존전략의 복합적 적용

  18. Emulation • 개념 • 디지털자료는 원래의 포맷을 유지한 채 보존하면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에뮬레이터를 채택하여 미래의 새로운 시스템에서 퇴화된 시스템을 흉내내게 함으로써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보존전략 • 장점 • 디지털자료의 내용뿐만 아니라 기능성과 ‘look & feel’을 유지할 수 있다.

  19. Emulation • 단점 • 에뮬레이터의 명세 작성이 복잡하다. • 대량의 정보를 보존해야 한다. • 비용문제가 아직 불확실하다. • 적용 대상 • 실행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복합적 디지털자료(예: 게임) • ‘look & feel’이 중요한 자료

  20. Migration • 개념 • 디지털자료를 하나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configuration)에서 다른 구성으로, 또는 차세대 컴퓨터기술로 정기적으로 이전시키는 보존전략 • 장점 • 변화하는 기술환경에서 이용자들이 지속적으로 검색, 현시 및 이용할 수 있다.

  21. Migration • 단점 • 장기보존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 보존관리자의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 • 데이터의 손실, 기능성과 ‘look & feel’의 손상 위험이 크다. • 적용대상 • 포맷이 잘 알려져 있는 디지털자료 • 접근과 관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자료

  22. 국제 디지털유산 보존 활동 • Unesco • 2001년 10월 제31차 총회에서 Resolution on Preserving Our Digital Heritage 채택 • 2003년 3월 Guidelines for the Preservation of Digital Heritage 발표 • 2003년 10월 제32차 총회에서 Charter on the Preservation of the Digital Heritage 채택

  23. 국제 디지털유산 보존 활동 • International Internet Preservation Consortium(IIPC) http://netpreserve.org/ • 2003년 7월 결성된 11개 국가도서관과 Internet Archive의 컨소시엄 • 목표 • 범세계적 인터넷 콘텐츠의 수집 • 관련 도구, 기술, 표준의 개발과 활용 촉진 • 각국 국가도서관의 인터넷 아카이빙과 보존 촉진

  24. 국내의 디지털유산 보존 활동 • 국립중앙도서관 • 1988년부터 ‘전산화자료’를 법정납본 받아 보존 활용 • 현재 온라인자료는 법정납본대상에서 제외 • 2001년 12월, 온라인저작물수집 및 보존에 대한 ISP 수립 및 시스템 개발 • 2003년 12월, 온라인디지털자원수집전담팀 구성, 수집 시작 • 2004년 2월, 온라인디지털자원심의운영위원회 구성, 온라인디지털자원의 선정지침 마련

  25. 국내의 디지털유산 보존 활동 • 국립중앙도서관 • 수집기준과 범위 • 처음부터 온라인으로 생산된 자원 우선 • 한국에서 생산된 자원(도메인 이름 .kr) • 해외에서 생산된 자원 중 한국인이 저자인 자원 또는 한국을 주제로 한 자원 • 현재 또는 미래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원 • 포함자료 • 행정기관, 대학, 연구소의 자원, 회의자료, 전자저널, 사회적 이슈 • 제외자료 • 블로그, 토론과 채팅, 게시판과 뉴스그룹, 포털사이트, 광고

  26. 국내의 디지털유산 보존 활동 • 국립중앙도서관 • 구축현황 • 180여 개의 중앙행정기관, 정부투자기관, 정부출연연구소 등이 생산한 간행물 및 연구보고서 14,000건 • 제17대 국회의원 후보자 홈페이지 900건 • 지역축제 홈페이지 30여건 • 웹로봇의 설계와 실용화 • 향후 계획 • 추천받은 28개 주제분야의 7,000개 URL 수집 • 저작권 처리 • 보존정책 수립

  27. 국내의 디지털유산 보존 활동 • 정보트러스트운동http://www.infotrust.or.kr • 2003년 정보트러스트운동 추진위원회(다음세대재단, 문화연대, 사이버문화연구소, 정보공유연대, 진보네트워크센터, 함께하는 시민행동의 연대기구) 발족 • 2004년 정보트러스트센터 • 인터넷 상에서 사라져 가고 있는 디지털 정보를 복원하고, 보존할 가치가 있는 사이버공간의 지식과 정보를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모금으로 공공화하는 운동 • 인터넷 연표 제작

  28. 국내의 디지털유산 보존활동 • 다음세대재단 • 2002년 대통령선거 웹 아카이빙 실험 • 2002.12.13 - 2003.3.30 • 대통령선거 관련 웹 사이트 수집 실험 • @2004 • 다음커뮤니케이션 직원으로 구성된 자원봉사팀이 2004년 6월 9일 하루동안 한국 인터넷을 나타내는 다양한 디지털 객체를 수집하여 정보트러스트센터에 기부

  29. 해외의 디지털유산 보존활동 • PANDORA http://pandora.nla.gov.au • 성격 •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의 주도 아래 납본권한을 가진 주립도서관 등 9개 기관이 참여하는 협력사업 • 호주의 온라인출판물의 장기보존과 활용을 목적으로 1996년부터 시작

  30. 해외의 디지털유산 보존활동 • PANDORA • 선택과 수집 • 호주에 관련된 인터넷 출판물로서 권위와 장기적 가치가 인정되며 오직 온라인 형태만 존재하는 것 • 참여기관마다 자관의 선택지침에 따라 선정 • 선정된 웹 사이트는 저작권자의 동의를 얻은 후 수집 • 수집로봇(HTTrack + Teleport Pro)에 의한 수집과 CD-ROM, FTP, E-mail을 활용한 출판자의 제출 • 대개 정기적 capture를 통해 업데이트

  31. 해외의 디지털유산보존 활동 • PANDORA • 저장과 장기보존 • PANDAS(PANDORA Digital Archiving System) • NLA가 자체 개발한 디지털아카이브 관리시스템 • 각 기관은 NLA의 중앙 아카이브에 원격저장 및 다운로드 • 수집된 웹 자원은 MARC로 편목하여 국가서지 및 수집기관의 자관 목록에 수록 • 장기보존의 기본지침을 설정하고 다양한 실험과 연구 진행

  32. 해외의 디지털유산보존 활동 • PANDORA • 이용 • 수집된 웹 자원은 대부분 인터넷 상에서 자유로운 접근 가능 • 일부 상업출판물은 출판자가 지정한 기간 동안 수집기관의 열람실에서만 이용 가능 • 메뉴방식에 의한 주제별 브라우징과 키워드 검색이 모두 가능

  33. 해외의 디지털유산보존 활동 • Kulturarw3 • http://www.kb.se/kw3/ • 성격 • 1996년부터 스웨덴국가도서관(KB)이 스웨덴온라인출판물의 수집, 보존, 접근, 활용방법 모색을 목적으로 수행 • 선택과 수집 • 스웨덴 전자문헌의 포괄적 수집 • 수집로봇(Combine)에 의한 대량수집

  34. 해외의 디지털유산보존활동 • Kulturarw3 • 저장과 장기보존 • 수집된 파일은 마그네틱테이프와 디스크에 고정하여 서버에 저장 • 마이그레이션과 에뮬레이션을 혼용한다는 기본입장을 가지고 관련 실험과 평가 계속 중 • 이용 • 2003년 6월부터 법에 의해 일반인에게 이용 제공 • KB 내의 터미널에서만 접근 가능

  35. 해외의 디지털유산보존활동 • Internet Archive • http://www.archive.org • 성격 • B. Kahle의 주도로 1996년 설립된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비영리단체 • 디지털형태로 존재하는 역사적 정보자원에 영구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도서관 구축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 • 선택과 수집 • 수집범위에 제한 없이 세계적 차원에서 광범위한 수집 • 자체 개발한 수집용 로봇

  36. 해외의 디지털유산보존 활동 • Internet Archive • 저장과 장기보존 • 분산저장 • 마이그레이션과 에뮬레이션 • 이용 • 연구자, 역사가와 학자들을 서비스 대상으로 설정 • 누구에게나 무료 접근 허용 • Wayback Machine • Recall

  37. 참고정보원 • PADI(Preserving Access to Digital Information) http://www.nla.gov.au/padi • ERPANET(Electronic Resource Preservation and Access NETwork) http://www.erpanet.org • DPC(Digital Preservation Coalition) http://www.dpconline.org • OCLC(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http://www.oclc.org/digitalpreservation

  38. 참고정보원 • RLG(Research Libraries Group) http://www.rlg.org/longterm • Digital-Preservation. JISC http://www.jiscmail.ac.uk/lists/digital-preservation.htmal • Padiforum-1 http://www.nla.gov.au/padi/forum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