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6

디자인론 9 강

디자인론 9 강. 1. 디자인사 (2). 미술공예운동 (art & craft movement) - 1850~1914 - 18 세기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사회 전분야가 변화되고 공업과 기계생산에 의해 제품들은 대량생산되었다 . - 윌리엄 모리스는 기계만능주의가 결국 생활속의 전통적인 미를 파괴할 것이라고 주장하였으며 , 옷감 , 가구 , 인쇄 등의 응용미술의 여러 분야에서 수공업이 지니는 아름다움을 회복시키기 고자하는 중세적 원리에 따른 시도가 미술 공예 운동을 출발시켰다 .

velika
Download Presentation

디자인론 9 강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디자인론9강 1. 디자인사(2)

  2. 미술공예운동(art & craft movement) -1850~1914 - 18세기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사회 전분야가 변화되고 공업과 기계생산에 의해 제품들은 대량생산되었다. - 윌리엄 모리스는 기계만능주의가 결국 생활속의 전통적인 미를 파괴할 것이라고 주장하였으며, 옷감, 가구, 인쇄 등의 응용미술의 여러 분야에서 수공업이 지니는 아름다움을 회복시키기 고자하는 중세적 원리에 따른 시도가 미술 공예 운동을 출발시켰다. - 이는 근대 디자인사에서 가장먼저 일어난 운동은 영국으로 윌리엄 모리스가 고딕 부흥양식의 대표적인 건축가인 퓨진(A.W.Pugin)과 스승인 존 러스킨의 영향을 받아 예술의 민주화를 주장한 수공예 부흥 운동이다. - 근대 디자인 사에서 미술과 공예의 회복을 주장한 점에서 근대 미술 운동의 시초라 불리고 있다. - 모리스는 1861년 모리스 마샬 포크너 상회(Morris, Marshallm, Faulkner Co)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질이 높은 벽지, 염색직물, 스테인드글라스, 양탄자, 실내장식용품 등을 스스로 창조적이고 예술적인 제품을 수공업의 형식으로 디자인 하고 제작하였다. - 런던의 레드 라이온 스퀘어에서 운영 되었고 신 고딕 및 중세양식의 물품을 전문적으로 디자인하고 제작하였으며 모리스가 “공식가구”라고 부르던 것은 장엄하고 정교하며 반면에 “일상가구”라고 묘사하였던 유형은 극도로 단순한 것이다.

  3. - 부유층의 지나친 사치심을 조장하리라는 측면을 인정하였던 공시가구 모든 효과들이 풍요로운 상태를 성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 형태와 모양은 단순하고 평범하며 선적이거나 유기적인 형태로 제작되었다. - 양식의 가장 순수한 형태라는 측면에서 볼 때 장식은 제작과정에서 주어진 것이다. - 자연의 식물, 새, 동물의 형태들은 강력한 영감의 원천이며 대가로 간주되고 있는 윌리엄 모리스는 직물, 벽지 디자인에서 나타나고 있는 본질적으로 평평하고 2차원적인 양식화된 패턴 속에서 형태들을 사용하였다. - 모리스의 이러한 혁신 운동은 1860년대부터 시작하여 건축가와 공예가들의 큰 호응을 받았으며, 1880년대에는 직인기술의 향상을 위한 몇 개의 조직도 결성되었는데, 1882년의 ‘센추리 길드’, 1884년의 ‘아트위키즈 길드’와 ‘미술공계 전람회협회’ 등이 그것이며 “미술공예” 라는 명칭은 “미술공예 전람회협회” 라는 단체의 이름으로 최초로 사용되었다. - 이것은 곧 딜레마에 빠지게 되었는데 수공예에 의해서 생산한 제품이 기계에 의해서 생산된 제품 보다 값이 매우 비싸며 수공에 의존하다 보니 소량만이 생산 가능하므로 대중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 이들 직인적 공예운동은 기계능력의 가능성을 무시하였다는 점에서 시대를 역행한 듯하나, 예리한 문제점 제기와 세련된 미의식은 그 후의 공예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4. 붉은집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avita&logNo=30091531751 붉은집” 은 모리스의 디자인 이념을 명확히 보여준 것으로 평가 받는 건축물. 후에 상회 설립으로 이어지고 이는 모리스의 디자인 운동에 결정적인 계기가 됨 모리스의 신혼집으로 지어졌으며 모리스도 설계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짐 (외관) 붉은 벽돌로 지어졌으며 중세풍의 소박한 디자인으로둥근창을 사용하여 새로운 느낌을 주었으며 사목관의 분위기. (내부) 가구 및 모든 생활도구들이 모리스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디자인가구는 당시의 빅토리아풍의 과도한 장식이 된것들과 뚜렷이 구별되는 것이었고, 마감에는 나무, 회칠, 옻칠이 사용 계단등 실내 장식은 소박한 전원풍으로 차분한 분위기. (건축사적 의미) 역사주의 양식이 가지지 못했던 "통합성"을 생활 양식에서 보여주었다고 할수 있으며 붉은 집 에서 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손수 만들어 사용한 체험이 모리스의 디자인에 대한 자세를 확고하게 방향 지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시대적 배경) 붉은집은 런던에서 자동차로 한시간 반쯤 떨어진 교외에 위치한 전원주택"이다. 산업화 이후 도시의 산업이 확대되고 인구가 증가함으로써 도시 환경은 악화되어 쾌적한 생활을 유지할 수 없었고, 특히,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기위해 노동자들과 물리적 거리를 원했던 브루조아들은 전원에서의 안락한 생활을 꿈꾸었다. 이런 배경으로 생겨난 19세기 영국의 교외주택지는 "전원도시"의 기원이 되었다고 할 수 있고 교외주택지에 살고자하는 욕망은 중산계급으로 확대되어 주택이 상품의 가치를 가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당시에 지어진 교외주택들은 "고전주의" "고딕" ...과거의 역사적 양식을 인용하여 디자인되었는데, 모리스의 붉은집과 같은 유기적인 통합성,전체성은 결여되어 있었다. 또 붉은집의 가치는 주거방식의 이상,(도시생활자가 전원주택에 산다고 하는) 이상적인 생활양식을 제안한데 있다.

  5.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 1834년~1896년)는 영국의 작가이자 건축가이다. 생애 1834년영국런던 동북부에 있는 월섬스토에서 부유한 증권 중개업자의 셋째로 태어났다. 1848년 사립 기숙학교인 말버러 칼리지에 입학했다. 그곳에서 중세역사와 고딕 건축에 관한 책을 탐독했다. 1851년 교내 폭동으로 퇴학을 당한 후 옥스퍼드에 입학하기 위해 가정교사에게 교육을 받았다. 옥스퍼드 시절 1853년성공회 신부가 되기 위해 당시 옥스퍼드 운동이 활발하던 옥스퍼드 대학교에 입학했으나 오히려 중세사와 당시의 사회 문제에 관심을 쏟았다. 모리스는 옥스퍼드에서 평생의 친구가 된 화가 번 존스(Burne Jones, 1833년~1898년)를 만났고, 그의 사상의 토대가 된 러스킨(John Ruskin, 1819년~1900년)과 칼라일(Thomas Carlyle, 1795년~1881년)의 저작을 탐독했다. 특히 노동의 가치를 찬양하는 러스킨의 예술론에 영향을 받았다. 1855년 여름 옥스퍼드대학교 시절 모리스는 친구들과 함께 프랑스 북부 지방의 중세 고딕양식의 교회들을 방문했으며 파리에서는 자연에서 겸허하게 배우는 예술을 표방한 ‘라파엘 전파’의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Dante Gabriel Rossetti, 1828년~1882년)의 작품에 매료되었다. 모리스는 이 여행을 통해 성직자로서의 꿈을 접고 예술가로, 건축가로 살아가고자 결심한 계기가 되었다. 예술가로서의 삶 1856년대학교를 졸업한 모리스는 회화공부를 1859년까지 하였다. 1857년 여름 모리스는 로세티, 번 존스, 라파엘 전파 화가들과 함께 옥스퍼드 대학교의 박물관과 학생회관의 천장과 벽에‘아서왕의 죽음’을 주제로 프레스코화를 그린 경험은 그의 신혼집인 레드하우스 건축과 디자인 회사 ‘모리스.마셜.포크 회사'설립으로 이어졌다. 레드하우스는 중세 고딕풍의 건축물로 근대건축의 출발점이자 미술공예운동의 요람이 되었다. 모리스는 번 존스, 로세티, 웨브 등을 공동경영자로 하여 1861년 디자인회사‘모리스·마셜·포크 회사’를 설립했다. 모리스·마셜·포크 회사는 모든 생활용품을 예술가의 손으로 직접 아름답게 만들어 저렴하게 판매하겠다는 취지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벽화, 벽지, 장식, 스테인글라스, 조각, 자수, 가구 등 모든 영역에서 작품을 만들었다. ‘모리스·마셜·포크 회사’는 1874년 ‘모리스 회사’로 개편되었다. 모리스의 사업은 번창해서 1877년 런던에서 가장 번화한 옥스퍼드가에 상점을 낼 정도였다. 1884년 백여 명의 노동자를 고용했다. 하지만 모리스 회사의 노동자들은 모리스의 감독 하에서 기계적인 노동에 시달렸으며, 그들이 만든 제품들은 저렴하게 판매한다는 당초 취지와는 달리 높은 가격에 팔렸다. 게다가 공동경영자였던 로세티와 아내 제인 버든(Jane Burden, 1839년~1914년)이 불륜을 저지른 불행한 가정사 때문에 1874년 로세티와 결별해야 했고 평생 그를 증오했다.

  6. 정치 활동 1876년터키가 불가리아기독교인들을 학살했음에도 제정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기 위해 영국의 보수당 정부는 터키를 지원했다. 이에 분노한 모리스는 ‘동구문제협회’에 가담했고 자유당원이 되었다.하지만 자유당이 영국의 아일랜드 탄압을 지지하고 노동조합 지도자들도 노동자의 권익이 아닌, 투표권에만 관심을 기울이자, 1883년사회주의 정치단체인 ‘민주연맹’(후에 사회민주연맹으로 개명, 사회주의 단체임을 분명히 한다.)에 가입했다. ‘민주연맹’은 보통선거권 실현, 은행·철도·토지의 국유화, 1일 8시간 노동시간제 확립 등을 주장했다. 이때 같이 활동한 동료들로는 영국의 사회주의 운동을 형성한 하인드먼, 백스, 마르크스의 막내 딸 엘리노어와 그이 남편인 에이블링이 있다. 하지만 정치적 노선 차이로 연맹을 탈퇴, 사회주의 동맹을 결성했다. 사회주의 동맹은 국가사회주의를 거부하고 혁명적 사회주의를 지향했다. [편집] 출판 활동 모리스는 ‘사회주의동맹’의 기관지 《커먼월》(Commonweal)을 편집했으며, 이곳에 《에코토피아 뉴스》[1]를 연재했다. 1891년 켈름스코트 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책 표지를 직접 디자인했는데,나뭇잎과 꽃의 우아함을 표지에 그려낸게 모리스식 북디자인의 특징이다. 1896년 만들어진 《초서 작품집》은 세계 3대 아름다운 인쇄본 중 하나로 찬양받고 있다.

  7. http://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sugsch&nil_ch=&rtupcoll=&w=tot&m=&f=&lpp=&DA=IHPV&sug=&q=%EB%AF%B8%EC%88%A0%EA%B3%B5%EC%98%88%EC%9A%B4%EB%8F%99http://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sugsch&nil_ch=&rtupcoll=&w=tot&m=&f=&lpp=&DA=IHPV&sug=&q=%EB%AF%B8%EC%88%A0%EA%B3%B5%EC%98%88%EC%9A%B4%EB%8F%99

  8. (2) 아르누보 (Art Nouveau) - 1890년경까지 대부분의 예술가는 대량생산된 제품에 매력을 느끼는 대중의 취미를 저속하고 비예술적이라 경멸하고, 그것을 초월하는 것이야말로 참예술을 아는 길이라고 주장하였다, - 이를 극복해보려 노력한 자가 반 데 벨데였는데그는 1896년에 미술상인 빙그로부터 상점의 인테리어를 의뢰받아 곡선을 위주로 한 장식을 곁들여 주복을 끌었다. - 빙그는 이 상점을 아르누보, 즉 신예술양식리라 불렀는데, 이때부터 화려한 색채와 더불어 추상형식의 장식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 이런 경향은 1895년부터 20세기 초반까지 프랑스 영국 미국 스페인 등에 널리 퍼져나갔다, - 그러나 기계제품은 철저하게 장식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카메라의 출현으로 회화를 허둥대게 만들었으며, 그로 인해 고갱이나 고흐를 내면적인 상징작가로 만들었다. - 그러나 아르누보의 또 다른 의미는 철이나 콘크리트 같은 재료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는 점이다, - 당시까지 단순한 보조재료에 지나지 않던 철을 조형의 주역으로 클로즈업시켰으며, 새로운 시대는 기계만이 판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식시켰다. - 즉 식물모양을 공예양식에 도입하여 樣式美만을 주제로 창조된 공예의 형태였다. - 백합꽃의 줄기를 연상시키는 감각적인 곡선, 곤충의 촉각, 가느다란 화염, 유기적 곡선이 파도치고 흘러서 서로 얽히어 표현되고 있다. - 이런 양식미의 특성은 고전장식의 형식인 유일한 아칸더스 황금율을 추방한 셈이다. - 종종 ‘여성예술(feminine art)’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나른한 모습의 여성상과 어울리는 식물과 꽃 등의 독특한 주제에 따른 내용을 구성해낸다는 데서 생겨난 말이다.

  9. 신예술양식 – 화려한 색채와 더불어 유행 독일 – 청춘양식 / 오스트리아 – 미쳐 세세션 20C 초반까지 유행 철,콘크리트의 적극적인 사용 새로운 시대는 기계의 시대만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시킴

  10. 식물과 같은 유기적 형태가 도시적 분위기가 제거된 머나먼 환상의 세계를 연상시킨다. 색채는 차분히 가라앚아 있으며, 미묘하게 대비를 이루거나 얽혀있다. 분위기는 무지개빛 유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서 진주, 반투명의 뿔이나 상아와 같은 이국적인 재료로 가물거리는 빛의 효과를 추구하였다. 스타일상의 형식 때문에 뱀양식(Serpentine line), 채찍양식(Whiplash style), 화염양식(Flame style)이라고 불린다.

  11. ⦁평 ; Walter Crane은 “아르노보라고 칭하는 괴상한 장식의 병”으로 폄하하고 있다. 영국의 미술공예운동과 대륙의 아르누보는 같은 역할을 하였는데, 그 차이는 국민성의 차이이다. 이 둘은 역사주의와 근대 운동의 과도적 현상이었다. 그들은 수공예와 응용미술을 부흥한 공적이 있다. 아르누보는 오직 한 가지 점에서 미술공예운동보다 앞섰다. 그것은 어느 시대를 모방하거나 또는 거기에서 영감을 얻는 것을 반대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미술사학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그 연원은 로코코(Rococo, rocaile)에서 연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

  12. (3) 아르 데코 (Art Deco) Style Moderne이라고도 함. 1920년대에 시작하여 1930년대에 서유럽과 미국에서 주된 양식으로 발달한 건축과 장식미술. 1925년 파리 '국제 장식미술 및 현대산업 박람회'에 이 성향의 작품들이 처음으로 출품된 데서 유래된 것이다. 아르 데코는 후일 유행으로 발전한 모더니즘을 대표했다. 이 양식의 작품들에는 사치스런 수제품과 대량생산되는 세공품들이 있는데 이것들은 모두 부유함과 세련미를 상징하는 맵시있고 반(反)전통적인 우아함을 창조하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졌다. 이 양식의 특징은 단순함, 깔끔한 형태, 유선형 같은 외양, 구상주의 형태에서 나온 기하학적이고 양식화된 장식과 매우 다양하고 값비싼 재료로 이중에는 천연재료(비취·은·상아·흑요석·크롬·무색수정 등)와 인조재료(플라스틱 특히 베이클라이트, 바이타글라스, 철근 콘크리트 등)도 종종 포함된다. 이 양식의 제품들은 대량생산되는 일이 드물었지만 그 독자적인 특성은 기계문명의 근대성과 기계제작물의 디자인에 고유한 특질(상대적 단순성, 평면성, 대칭성, 요소들의 변함없는 반복 등)을 숭상하고 있음을 반영했다. 이 양식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준 것은 아르 누보, 바우하우스, 큐비즘과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러시아 발레이다. 또한 장식적 아이디어는 자연에서뿐만 아니라 아메리카 인디언, 이집트, 초기 고전 양식들로부터 얻었으며 나체여인상·동물·잎사귀·태양광선 등 모든 관례가 된 형태의 장식이 이 양식의 특징적인 주제를 이룬다. ▶ 아르데코 시대의 개관20세기초는 아직까지 아르누보가 국제적인 예술 양식으로 예술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는데 예술사조가 합리성과 단순성, 그리고 구조적 기능성을 요구하게 되면서 아르데코가 태동하게 되었다. 아르누보가 '수공예적인 것에 의해 나타나는 연속적인 곡의 선율을 강조'하여 공업과의 타협을 받아들이지 않았던 반면에 '아르데코는 공업적 생산 방식을 미술과 결합'시킨 기능적이 고 고전적인 직선미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아르데코의 이상이 실현된 것은 1920년대로 1차 세계대전 이전인 1914년까지는 19세기말부 터 서구 사회에 나타난 '세기말'적 경향이 계속해서 지속됨으로써 동방적 이국주의나 화려한 장식이 강하게 남아있었다. 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데스틸(DeStijl)운동과 바우하우스(Bauhaus)운동이 성립되어 국제적 영향력을 향사하게 되었는데 아르데코는 데 스틸 운동의 신조형주의와 바우하우스 운동의 기능주의에 자극을 받아 기능성과 단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가속화 되었다. 아르데코 가 전성기를 맞는 1920년대는 풍자적으로 프랑스에서는 '광기의 해', 영국에서는 '포효하는 20년시대'라고 불리웠다.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view.html?cateid=1026&newsid=20100710094941864&p=ytni

  13. (4) 19세기 후반의 회화와 그래픽 아트 세잔은 자연은 원주 구 원뿔로 이루어졌다는 결론을 내리고 훗날 입체파 구성의 기초가 되었다, 이 진보적인 조형은 그래픽 아트의 세계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쳤다, 미묘한 색의 배합이나 분위기의 변화를 묵살하고, 평면상에서 면과 면의 대비에 의한 구성을 함으로써 당신의 인쇄 특성에 맞았기 때문이다. 이때 영국에서는 자유로운 형식의 그림엽서가 유행하고 정교한 원색 인쇄가 개발되어 인기스타의 사진 옆서가 등장하는 등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톡톡히 하였다.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30211741

  14. (5) 독일공작연맹 결성 1906년 독일에서는 종래의 독창적인 제작에서 기계생산에 적합한 조형을 찾는 의식이 높아졌다, 그때 무테지우스는 신시대의 조형창조는 ‘영국식’을 따라야 한다고 하고 소수의 제조업자와 건축가 예술가 저술가들에 의해 독일공작연맹을 결성하였다. 그리고 1911년 그는 규격화를 주장하고, 규격화가 될 때 비로소 대중의 취미도 향상될 수 있고 상품의 양질화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