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3

디지털 도서관과 메타데이터 표준화

디지털 도서관과 메타데이터 표준화. 2004. 11. 1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서태설 tsseo@kisti.re.kr. 목 차.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디지털도서관의 개요 디지털도서관의 당면 문제점 메타데이터 표준화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메타데이터의 개요와 발전과정 주요 문헌정보 메타데이터 메타데이터 표준화 전략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MDR 에 의한 메타데이터 표준화. 1.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1960 년이전. 1960 년이후. 1990 년이후.

vega
Download Presentation

디지털 도서관과 메타데이터 표준화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디지털 도서관과메타데이터 표준화 2004. 11. 1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태설 tsseo@kisti.re.kr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2. 목 차 •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 디지털도서관의 개요 • 디지털도서관의 당면 문제점 • 메타데이터 표준화 •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 메타데이터의 개요와 발전과정 • 주요 문헌정보 메타데이터 • 메타데이터 표준화 전략 •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 MDR에 의한 메타데이터 표준화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3. 1.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1960년이전 1960년이후 1990년이후 200?년 54년 검색시스템 60년초 TSS 69년 ARPANet 81년 LAN 93년 모자이크 94년 Netscape Semantic Web 수작업 검색 (2차정보) 온라인 검색 (2차정보) Web 검색 (원정보) 차세대 Web 검색 (원정보+…) 검색 검색 시간효율성 검색 시간효율성 편리성/감성 검색 시간효율성 편리성/감성 의미/활용성 Data Card DB Schema Simple DTD DB Schema Metadata 전통적 도서관 정보센터 디지털도서관 가상도서관 디지털도서관의 개요(1/4) • 정보 검색 기술의 발전과정 시기 주요 기술 발전 검색 시장 요구 데이터 자료: 서태설 외, 지식콘텐트의 표준과 기술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3. 12.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4. 1.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현재 Internet 디지털도서관의 개요(2/4) 과거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5. 1.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디지털도서관의 개요(3/4) • 명칭 • 디지털도서관, 전자도서관, 가상도서관 • 개념 • 자료의 디지털화 + 네트워크에 의한 접근 • 기능 • 자원의 전자화된 목록을 통한 탐색 • 디지털 데이터, 정보, 지식의 제공 • 네트워크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자료: 한상완 외, “국가디지털도서관 구축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0권 제3호, 1996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6. 1.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디지털도서관의 개요(4/4) • 효과 • 폭증하는 정보의 효율적 관리 • 정보의 신속한 검색과 전달 • 분산된 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 창출 • 다양한 형태의(멀티미디어) 정보 제공 • 정보의 지역적 불균형(digital divide) 해소 • 정보의 중복 구축 방지 자료: 심효정, “디지털도서관의 정책과 제도의 분석”, 정보관리연구, 제34권 제1호, 2003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7. 1.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디지털도서관의 당면 문제(1/3) • 검색 및 출력 양식의 불일치(국가전자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8. 1.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ADONIS JTI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ISN0001-6349 YPB2002 VON81 IUN11 PGR995-1000 ATIMonoamniotic twins: Diagnosis and management CrossRef journal title="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issns="03604012,10974547" year="2001" volume="66" issue="4" page="612" atitle="Role of taurine in regulation of intracellular ... 디지털도서관의 당면 문제(2/3) • 데이터 요소 및 형식의 불일치(KISTI) Adonis 표준데이터 포멧파일 Adonis (1993-2002) Swetscan 표준데이터 포멧파일 Work table 생성 Swetscan (1994-) Ebsco 표준데이터 포멧파일 데이터 변환 데이터요소/형식 분석 Ebsco (1993-) CrossRef 표준데이터 포멧파일 참조 CrossRef 해외도입DB 표준데이터 포멧파일 해외도입DB Oracle DB 해외학술지 수집대상리스트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9. 1.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디지털도서관의 당면 문제(3/3) • 데이터 오류 및 중복 발생(KISTI) 오류 DB 통합 DB 오류코드부여 Y N 항목누락데이터? 중복데이터? 오류데이터? 표준데이터포멧파일 Y N N Y 중복 DB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10. 1.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메타데이터 표준화(1/3) • 정보의 표현 방법 Object Property Representation 논문 유형 Journal 제목 디지털도서관의 … 페이지 pp. 17-31 사용언어 KO 잡지명 정보관리연구 권호 제34권 제1호 : :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11. 1.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메타데이터 표준화(2/3) • 데이터 요소 및 형식의 불일치 표현(representation)의 불일치 항목명(property)의 불일치 유형 종류 Journal J 제목 표제 디지털도서관의 … 전자도서관의 … 페이지 쪽수 pp. 17-31 P. 17-31 사용언어 발행국가 KO 한국 잡지명 저널명 정보관리연구 정보관리연구 권호 권 제34권 제1호 Vol. 34 호 No. 1 • 명칭 표기의 차이 불일치 유형 불일치 유형 • 값 표기의 차이 • 다른 항목 선택 • 단위의 차이 • 명칭 세분화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12. 1.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 정보생산/유통기관 B 검색효율성 대폭 증가 DB 메타데이터 표준 정보자원 속성, 명세, 의미 등에 대한 메타데이터 등록 정보생산/유통기관 A DB 검색 비효율 정보생산/유통기관 A 정보생산/유통기관 B 정보생산/유통기관 C DB DB DB 정보생산/유통기관 C DB 정보상호운용 불가 정보 상호운용 가능 메타데이터 표준화(3/3) • 메타데이터 표준화의 효과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13. 2.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메타데이터의 개요와 발전과정(1/3) • 메타데이터의 정의 • 메타데이터의 개념은 이미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 사물에 대한 의사전달 및 데이터 양식, 스키마 등 • HTML에 기반한 웹 문서에는 메타데이터가 매우 취약하다. • XML은 이 부분을 강화한 것이다. • 이제 새로운 가능성을 가지고 메타데이터를 이야기 하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 시멘틱 웹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14. 2.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메타데이터의 개요와 발전과정(2/3) • 메타데이터의 기능 • Metadata identifies and describes an information object; it also documents how that object behaves, its function and use, its relationship to other information object and how it should be managed. • 메타데이터의 유익 • Effectiveness of searching • Cataloging + Relationship • System independence Anne J. Gilliland-Swetland, Introduction to Metadata, Getty In- formation Institute., 1998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15. 2.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메타데이터의 개요와 발전과정(3/3) • 문헌정보 메타데이터의 발전과정 2000 ONIX International ONIX Int. 2.0 ONIX ONIX Int. 1.3 EPICS FRBR INDECS 2002 MODS 1965 1995 MARC DC AACR2 TEI IH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16. 2.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주요 문헌정보 메타데이터(1/8) • MARC (MAchine Readable Cataloging) • MARC 형식은 시스템간의 레코드 교환을 위한 표준적인 목록 레코드 형식(구조)으로서 정보 자원의 기술(description)이라는 측면에서 도서관의 목록 레코드를 메타데이터로 보는 관점 • 1965년 LC MARC로 출발, USMARC로 개정 • MARC는 1971년에는 ANSI Z39.2, 1973년에는 ISO 2709로 채택 • USMARC -> CANMARC, UKMARC, KORMARC 등 • 1999년 USMARC과 CANMARC이 통합되면서 MARC21 • 간결성, 효율성, 표현력, 융통성에서 제한적이고, 인증 데이터, 네트워크 환경 등을 반영하지 못하며, 구조가 복잡함.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17. 2.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주요 문헌정보 메타데이터(2/8) • MARC 레코드 사례 리더 제어필드 데이터 필드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18. 2.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주요 문헌정보 메타데이터(3/8) • DC(Dublin Core) • 모든 네트워크 자원을 기술하려는 시도로, 확장성, 구문 독립성, 선택성, 수정가능성 등의 기준에 따라 누구나 쉽게 작성하도록 15개의 데이터 기술 요소만 제안 • 1995년 3월 OCLC와 NCSA가 Dublin 워크숍에서 시작 • 2000년 7월 한정어(Canberra Qualifier)의 도입 • 2002년 2월 DCMI는 Dublin Core Metadata Element Set, v.1.1를 발표 이래 세계 각국 표준으로 채택: CWA 13874, ANSI/NISO Z39.85, UK e-Government, ISO 15836:2003 • 너무 단순해서 디지털도서관용으로는 제한적임.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19. 2.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주요 문헌정보 메타데이터(4/8) • DC 15개 기본 요소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20. 2.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주요 문헌정보 메타데이터(5/8) • ONIX (ONine Information eXchange) International • 인쇄책, 전자책, CD, DV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미디어 제품에 대한 유통 메타데이터 • Amazon.com, Wil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등에서 사용. 미국/영국 70여개 기관 회원 • 250여개 element; 매우 상세한 명세로 주관적 해석이 개입될 여부가 없음. 예)<title>에 대한 사항이 6-7개 • 현재 Version 2.1 • IT 산업에 필요한 정보 제공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21. 2.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 <Product> <RecordReference>1234567890</RecordReference> <NotificationType>03</NotificationType> <ISBN>0816016356</ISBN> <ProductForm>BB</ProductForm> <DistinctiveTitle>British English, A to Zed</DistinctiveTitle> <Contributor> <ContributorRole>A01</ContributorRole> <PersonNameInverted>Schur,Norman W</PersonNameInverted> <BiographicalNote>A Harvard graduate in …· </BiographicalNote> </Contributor> : : : <BASICMainSubject>REF008000</BASICMainSubject> <PublicationDate>1987</PublicationDate> <Height>9.25</Height> <Width>6.25</Width> <Thickness>1.2</Thickness> Product(제품) <ONIXmessage> <header> <FromCompany>www.deu.ac.kr</FromCompany> <FromPerson>lcy@deu.ac.kr</FromPerson> <ToCompany>EDItEUR</ToCompany> <ToPerson>David Martin</ToPerson> <MessageNumber>1213</MessageNumber> <SentDate>2004070161330</SentDate> <MessageNote>샘플 자료를 보냅니다.</MessageNote> <DefaultLanguageOfText>kor</DefaultLanguageOfText> </header> Header(메시지) 주요 문헌정보 메타데이터(6/8) 자료: 이창열, “ONIX 메타데이터 체계와 구현”, KISTI 내부세미나, 2004 • ONIX의 구조 예 <?xmlversion="1.0"?> <!DOCTYPEONIXmessageSYSTEM "http://www.editeur.org/onix/2.0/short/onix-international.dtd"> <ONIXmessage> <header> ... </header> <product> ... </product> <product> ... </product> ... </ONIXmessage>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22. 2.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주요 문헌정보 메타데이터(7/8) • MODS (Metadata Object Description Schema) • MARC, DC, ONIX, IMS, TEI등을 절충하여 상호운용성과 정밀성을 모두 만족시킨 디지털도서관 영역의 범용 서지정보 표준 메타데이터 • 2002년 7월 Library of Congress가 공식발표 (현재 버전3.0) • MARC-compatible: MARC필드의 일부분 포함, 언어형식의 태그 사용 • XML schema 기반: MARC 21의 축약형 XML 버전 (MARCXML) • 19개의 상위요소와 64개의 하위요소 • METS (Metadata Encording and Transmission Standard)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디지털도서관의 요구에 부합 자료: 이수상, “MODS-디지털 도서관의 서지정보 표준 메타데이터”, KISTI 내부세미나, 2004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23. 2. 디지털도서관을 위한 메타데이터 주요 문헌정보 메타데이터(8/8) • MODS의 상위 메타데이터 요소 자료: R. Gartner, MODS: Metadata Object description Schema, Libraries and the Academy. Vol. 3. No. 1., 2003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24. 3. 메타데이터 표준화 전략 메타데이터의 상호운용성(1/4) •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정의와 방법 • 정의: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는 시스템들이 각각의 메타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ALCTS 1998) • 상호 운용성의 3요소: 구문, 구조, 의미 • 다양한 메타데이터 표준의 혼재로 상호운용 필요성 제기 • 방법: • 하나의 메타데이터로 통합: MARC21, MODS • 다양한 메타데이터 인정: Crosswalk, RDF •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ISO/IEC 11179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25. 3. 메타데이터 표준화 전략 메타데이터의 상호운용성(2/4) • USMARC과 DC,TEI, EAD의 매핑 테이블, DC와 다른 메타데이터 형식과의 참조 테이블, 공통 메타데이터 기술집합과의 매핑 • http://ukoln.bath.ac.uk/metadata/interoperability/참조 • 문제점 • 의미상의 일치를 위해서는 전문가의 지적 능력이 필요 • 메타데이터의 잦은 수정으로 인한 유지관리의 부담 • 정확한 1:1 대응이 되지 않는 부분 • 상호참조 테이블(Crosswalk)방법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26. 3. 메타데이터 표준화 전략 스미카 1 DC RDF 의미 Metadata Initiatives 스미카 1 MARC XML namespace 구문 XML 스미카 1 관리메타데이터 구조 RDF 모델 메타데이터의 상호운용성(3/4) • 공존하는 다양한 메타데이터 형식의 상호운용성 지원 • W3C에서 개념적인 차원의 통합 구조인 RDF를 개발, 구현 • 범용적 메타데이터 통합 구조 http://www.w3.org/RDF/참조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27. 3. 메타데이터 표준화 전략 메타데이터의 상호운용성(4/4) • 통제적인 방법로서 ISO/IEC JTC1/SC32에서 표준화 • 메타데이터 작성 지침 제공 • 데이터 요소(메타데이터)의 생성, 등록, 관리를 지원함으로써 시스템들 또는 조직들간의 정보 공유를 지원 • http://metadata-stds.org/11179/참조 •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MDR) 방법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28. 3. 메타데이터 표준화 전략 MDR에 의한 메타데이터 표준화(1/5) • 디지털도서관의 메타데이터 표준화 개념 기술위원회 표준화 실무작업반 DL-MDR 메타데이터 표준개발요청 메타데이터 참조 DB DB 표준 메타데이터 적용 검색 정보개발자 정보개발자 DB 정보개발자 정보이용자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29. 3. 메타데이터 표준화 전략 DB DB DB DB DB DB DB DB DB DB DB DB MDR에 의한 메타데이터 표준화(2/5) • MDR의 활용체계와 효과 공공도서관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해당 분야의 메타데이터 제공 각 기관의 정보제작 담당자 정기교육 데이터베이스 설계 제공 데이터베이스 품질 평가 메타데이터 표준 및 제작 지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구축 MDR 과학기술도서관 KISTI ……… 고품질의 일관성 있는 정보 수집 의학도서관 정보 이용자 의학도서관 ……… …………. : ……………..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30. 3. 메타데이터 표준화 전략 MDR에 의한 메타데이터 표준화(3/5) • 요구되는 제도적 장치 정보 표준화 평가 정보 표준화 의뢰 사업 완료 정보화 사업계획 사업 수행 기술위원회 DL-MDR 표준화 실무작업반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31. 3. 메타데이터 표준화 전략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사용자 관리 도구 데이터 요소 관리 도구 (요소 기본 관리, 요소 상태, 평가 및 이력, 요소 버전 관리, 데이터 요소 개념 관리, 개념 도메인 관리, 객체 클래스 관리) 스키마 셋 관리 도구 (스키마 셋 제안, 스키마 셋 투표, 스키마 셋 관리) 기관 정보 관리 도구 MDR 기본 기능 (등록, 평가 및 요소 표준화 기능) MDR에 의한 메타데이터 표준화(4/5) • KISTI의 사례 http://isv.kisti.re.kr/mdr/참조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32. 3. 메타데이터 표준화 전략 Super Administrator Division Administrator Registrar Committee Control Committee Submitter Steward General User General User General User …. MDR에 의한 메타데이터 표준화(5/5) • KISTI의 사례 MetaData Repository • 분야별 MDR • . • . • . 과학기술분야 MDR 산업기술분야 MDR • 과학 기술 분야 • 산업 기술 분야 . . . . . . . . Common Format • 정보 통신 분야 • 교육 분야 정보통신분야 MDR 교육분야 MDR 분야별 데이터베이스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33. Thank You Q N A 연락처: tsseo@kisti.re.kr 제 2회 메타데이터 표준화 세미나 더 자세한 내용을 알려면… 디지털도서관 컨퍼런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