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 likes | 726 Views
서울교통시스템 개편 검토 ( 안 ). 2002. 9. 서울특별시 교통관리실. < 목 차 >. Ⅰ . 기본방향 Ⅱ . 버스개편 Ⅲ . 지하철운영개선 Ⅳ . 도심교통체계 Ⅴ . 주차관리. 교통관리실. 버스개편. 서비스개선. 버스활성화. 버스이용증가. 노선체계 개편 중앙버스차로제 교통카드이용 100% 버스사령실 환승시스템. 버스속도향상 편리한 버스 친절한 버스 교통정보제공 환승편의. 승용차이용감소. Ⅰ . 교통체계개편 기본방향.
E N D
서울교통시스템 개편검토(안) 2002. 9. 서울특별시 교통관리실
< 목 차 > Ⅰ. 기본방향 Ⅱ. 버스개편 Ⅲ. 지하철운영개선 Ⅳ. 도심교통체계 Ⅴ. 주차관리
교통관리실 버스개편 서비스개선 버스활성화 버스이용증가 • 노선체계 개편 • 중앙버스차로제 • 교통카드이용100% • 버스사령실 • 환승시스템 • 버스속도향상 • 편리한 버스 • 친절한 버스 • 교통정보제공 • 환승편의 승용차이용감소 Ⅰ. 교통체계개편 기본방향 버스노선, 운영체계 전면 개편으로 승용차 통행량 흡수 1 2 지하철운영 개선을 통한 시민편의 증진 • 심야연장운행 • 급행열차운행 • 운행시격단축 • 환승시설확대 • 이용율 증대 • 경영수지개선 • 시민편의
교통관리실 청계천복원에 대비한 도심교통체계 개편 3 중앙버스전용차로 도심교통운영개선 도심순환, 통근버스 도심소통원활화 4 도심차량집중을 억제하는 주차관리 기획단속 도심주차 수요감축 주거지주차장 확충
교통관리실 추진배경 : 장기간 해결 못한 만성적인 문제 소득증대 →승용차200만대 후진적 버스경영구조 도로율한계→정체 • 노선폐지,감축운행,업체도산 • 반복 운임인상 • 노사문제→시민짜증 다양한 버스우선정책 (전용도로, 보조금) 버스운행여건 점차 악화 • 서비스보다는 수익 • 업체의 영세성, 빚투성이 경영 • 서비스개선 노력은 뒷전 • 열악한 운전기사 처우→부족율 19% • 업체끼리 노선 다툼 • 수요집중지역 경쟁운행→혼잡, 공해의 요인 • 버스노선의 사유화, 수익위주→시민불만가중 • 수요를 따라 장거리 중복 굴곡노선 • 언제 올지 모르는 버스 • 그냥 지나치는 버스 • 아무데서나 정차하는 버스 • 굴곡노선으로 운전사 피로 • 불친절, 사고의 원인 • 반복적 요금인상 외에는 • 대안이 없는 경영 마인드 • 소득수준에 걸맞지 않은 버스서비스 • 승용차이용증가 • 낮 시간대에는 빈 버스가 도심교통체증 유발 →정상화를 생각할 수도 없는 버스운영 →사정은 매년 악화 →결국은 버스서비스 중단 초래우려 버스개편 서비스개선 (善循環) 소통증진 이용증가 승용차이용감소
Solution Diagram 기반시설 ·제도 노선시스템 운영시스템 버스우선정책 간선버스 준공영개념도입 • 외곽에서 도심까지 급행 • 환승센타 ·중요정거장만 정차 • 시가 정해주는 노선 ·시간표대로 운영 • 노선 : 시가소유 • 운행 : 버스회사 (단일 또는 컨소시엄) • 운영 : 적정보조→일찰제 • 공영차고지 • 버스사령실 • 중앙버스전용차로제 • 버스우선신호시스템 • 교통카드 100%사용 • 관계법령 개정 지선버스 • 교통권역내 연계 ·순환 • 간선버스 ·지하철 환승지점 까지만 운행 • 노선은 차치구와 협의 • 자치구주관, 지역협의체 • 버스규모 다양화 • 개인 ·법인 운영체 • 환승편의시설 • 환승할인요금 도심순환버스 • 도심일방통행제 • 저렴한 요금 • 보조금지원 → 입찰제 • 도심 ·부도심 결절점 순환 • 블록별 기업협의체 → 기업체 자율참여 통근셔틀버스 • 도심주차규제 • 기업체 교통수요 관리 • 블록별 통근버스 운행
교통관리실 버스개편 구현방안 1. 버스노선을 간선-지선체계로 개편 2. 버스산업개편 및 근로자복지향상 3. 중앙버스전용차로제 4. 교통카드사용율 100% 5. 공영차고지 조성 6. 버스사령실 (BMS) 7. 환승시설 개선 8. 통근 ·셔틀버스 운행
교통관리실 1. 버스노선을 간선-지선체계로 개편 □ 간선-지선간 기능구분 • 간선버스개념도 구 분 간선버스 지선버스 도봉공영 차고지 노선분포 도심 ↔ 외곽 지역내 연계 ·순환 정거장 (종점기능도 수행) 남북축 동서축 운행거리 장거리, 직선구간 단거리, 굴곡노선 운행속도 고속 (35~40km/h) 저속 (20~25km/h) 간선도로, 도시고속도로, 중앙버스전용차선 집분산도로, 이면도로 운행도로 • 지선버스개념도 ※ 간선 ·지선 ·권역별 버스색상, 디자인 구분 간선축에 굴절버스 검토
교통관리실 2. 버스산업개편 및 근로자복지향상 □ 버스산업개편 • 기존업체 ☞ 도시형, 좌석형, 순환형 혼재 (59개, 8189대) ☞마을버스 (150개, 1525대) • 간선버스, 지선버스, 도심순환, 통근버스 운영회사로 구분 • 업체자율선택참여, 적정보조정책 □ 운전기사의 복지향상 • 적정임금보장, 임대주택공급, 복지시설제공 • 적정운전시간보장 • 불친절, 난폭운행 원인근절 • 철저한 차량정비 • 평생직장 • 직업만족 시 민 서 비 스 향 샹
교통관리실 3. 중앙버스전용차로제 □ 빠르고 편리한 버스운행 (18.3→23.6→40.0km/h) • 시외곽에서 도심까지 신속한 연결 • 버스우선 도심교통체계 구축 • 정류장과 지하보도로 연결 (초기엔 평면연결) □ 간선교통축으로 확대 • 현재 천호대로 운영 • 도봉 ·미아로, 시흥대로 등 8~10차선도로 우선검토 • 필요시 4~6차선에도 설치검토 • 수도권연결 고속도로까지 확대 ※ 동북부지역 : 2003년 상반기 예정
교통관리실 ‘02 61% ‘03 100% 4. 교통카드 사용율 100% □ 목표 • 할인차등요금제 및 수입투명성 보장 → 경영합리화 □ 다양화 및 보급확대 • 모든 신용카드로 확대 (범용 서울카드 개발 수익화사업 검토) • 핸드폰 ·시계 등 개인휴대품에 장착 • 지하철 역사, 간선버스 정류소 등에 자판기 □ 할인율 확대 등 인센티브 제공 • 카드할인 : 8→20%, 환승할인 : 8→30→50% (수요탄력성 고려)
교통관리실 도봉 ‘02 3개소 ‘04 9개소 중랑 은평 강서 강동 양천 구로 송파 서초 5. 공영차고지 조성 확충 ’03간이사용 기존운영 : 은평, 강동, 송파 예 정 지 : 양천, 중랑, 서초, 구로, 강서, 도봉 시매입차고지 (12개소)
교통관리실 시설개선 • 400~500대수준 버스차고지 • 환승센터 : 외곽지역 버스, 승용차 • 주민주차시설, 소규모 판매시설 • 임대주택, 체육시설, 복지시설 • CNG충전소 • 수입기반확실 ☞ 민자유치 사업화방안 강구 ☞ 토지는 시가 매입해 임대
교통관리실 6. 버스사령실 (BMS) 버스에 GPS와 무선 송수신기를 설치, 버스의 운행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버스위치, 운행상태, 배차간격, 도착예정시간 등의 정보를 시민에게 제공하는 버스관리시스템 교통방송 연계운영 서울 BMS센터 • 실시간 버스정보 • 노선, 환승정보 • 실시간 버스정보 • 운행이력 DB 인터넷 <서울시 버스정보> - 시청 앞 정류소 (30) 62번 버스가 3번째 전 출발. 약3분후 도착예정 (9/ 6 AM 9시 35분 현재) 버스회사 • 앞뒤차량간격정보 • 운행정보 무선 인터넷 • 위치정보 • 운행상태 62번 버스가 3번째 전정류소를 출발했습니다. 약 3분후 도착예정입니다. ARS
교통관리실 설치효과 설계 및 Field Test 시범사업 본사업 • ’02. 10 ~ ’02. 12 • ’03. 1 ~ ’03. 3 • ’03. 4 ~ ’03. 7 기 간 • 동북부지역 간선도로 • 버스사령실, 5,000대 • 유무선 인터넷, ARS • 설계 및 시범노선 • 서울 전지역 간선도로 범 위 • 관리센터 • 버스 100대 • 버스 500대 • 유무선 인터넷 세부내용 예:소요시간 분석 (도봉산-시청) • 노선개편효과를 계량화하여 시민과 언론에 제공 • 준법운행유도 (배차간격, 결행, 중간회차, 개문발차,) • 버스카드와 연계하여 승객 O/D 파악
교통관리실 7. 환승시설개선 □ 지하철 역세권 환승주차장 • 환승주차요금 대폭할인 • 지하철 구내와 직통 연결 □ 버스환승시설 • 간선-지선 접점 정류장 •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연계 • 주요지하철역 간이환승센터 □ 기대효과 • 간선과 지선의 원활한 환승을 통한 대중교통 이용활성화 • 이용자 증가에 따른 경영수지 개선
8. 통근 ·셔틀버스 운행 유명무실한 현행 기업체 교통량 감축 프로그램 (자율10부제, 카풀제 + 통근 ·셔틀버스) □ 블록별 통근버스 운영 • 기업관계자 의견수렴 → 서면조사 → 간담회 • 도착지 블럭중심 노선구성 → 대량 교통량 발생지역간 운행 → 수요분석 및 Networking • 수도권 ↔ 서울직행통근버스 □ 도심승용차 억제 • 도심, 대량교통유발지 부설주차장 이용억제 → 타용도 전환유도 • 임원용 법인소유 승용차 억제유도 □ 블록별 기업체협의회 구성 및 공동운영 유도
교통관리실 블록별 통근버스 개념도 □ 블록공동이용형 A지역 B지역 G지역 도심 C지역 F지역 A사 B사 C사 D사 E사 F사 E지역 D지역 □ Circle 순환형 □ O/D형 업무 ·쇼핑지역 교통 수요 발생&도착 교통 수요 도착&발생 수요반응 셔틀버스
Ⅲ. 지하철 운영개선 1. 지하철 1시간 연장 2. 급행열차도입 3. 지하철 요금차등화
교통관리실 운영체계 개선 각역 정차 : 느린 운행 달라진 시민생활 패턴 종이표 요금체계 이용율 저조 운행종료 - 23:30 누증되는 경영적자 급행열차 심야연장운행 요금체계개편 (거리 ·시간대별 요금) • 시민편의향상 • 지하철이용율 증대 • 경영수지 개선
교통관리실 1. 지하철 1시간 연장 시민여론조사 • 시민 76.2%가 지하철 이용, 그 중 79.7%가 막차시간에 불만 • 1시간 연장운행 찬성 : 86.5% • 연장운행시 할증요금 지불의사 : 60% □ 전노선(1~8호선) 15~20분 배차 (12월초 시행) □ 수도권 전철역과 연계추진 □ 심야정비 ·보수시간 축소에 대비 장비보강
교통관리실 대피선 2. 급행열차도입 □ 타교통수단과 경쟁력 확보 3호선 ·일산선 시범운영 □ 기존노선 –격역정차 (일산선) 시발역 종착역 대화 주엽 정발산 마두 백석 대곡 화정 원당 삼송 지축 구파발 연신내 불광 녹번 홍제 무악제 독립문 경복궁 안국 종로3가 A패턴 A A A A A A A A A A A A A A B패턴 B B B B B B B B B B B B B B C패턴 C C C C C C C C C C C C C □ 신규노선(9호선) - 대피선
교통관리실 3. 대중교통수단 요금체계 개편 □ 거리별 역간 차등요금 □ 시간대별 차등요금 • 출퇴근시 (기본요금) • 주 간 (할 인) • 심 야 (할 증) • 교통수요분산 • 시민편의증진 • 경영효율화 차등요금 부과에 따른 수요탄력성, 수지분석 지하철 요금인상과 연계 버스요금차등화로 간선버스 개편시 시행
Ⅳ. 도심교통체계 1. 동북부지역 교통체계개선 2. 도심교통체계개편
교통관리실 도심교통체계방안 서울전역 교통운영시스템 개편 • 대중교통수단 우선체계 • 환경, 보행중시 • 강북우선개선 개편 전략 도심일방통행 버스전용차로 상습정체지점 이면도로정비 중점기획단속 주차요금정책 새로운 도심교통 체계 사례개선지역: 동북부 일원 시청앞 광장 청계천복원 버스노선개편 교통체계개선 (TSM) 중앙버스 전용차로 대중교통 수단발굴
교통관리실 1. 동북부지역 교통체계 • 대규모아파트단지 조성 • 강남에 비해 교통여건 열악 • 다양한 민원발생 • 대중교통우선서비스 ☞ 버스 및 지하철 환승체계 ☞ 중앙버스차로제 ☞ 버스우선처리시스템 • 광역교통체계 구상 ☞ 도로망 : 미연결도로 ☞ 병목구간개선 : 보국문길, 솔샘길 등 1차적 범위 (직접영향권) 성북, 강북, 도봉, 노원구 2차적 범위 (간접영향권) 중랑, 동대문, 광진, 성동구 일부 도심
교통관리실 2. 도심교통체계개편 청계천복원 • 도심소통체계 개선 ☞ 일방통행제 ☞ 이면도로정비 • 대중교통체계 ☞ 도심순환버스 ☞ 기업체통근버스 • 교통수요관리 ☞ 주차시설억제 서울전체 복원에 따른 영향권 도심 직접영향권 • 서울시전체 : 통행패턴변화분석 • 도심 : Simulation 분석
Ⅴ. 주차관리 1. 주거지 주차장 100%확보계획 2. 주차수요관리 강화
1. 주거지주차장 100% 확보 □ 더욱 심화되는 주차난 • 주차장확보율 : 2002년 6월말 현재 86% • 차동자는 매년 10만대이상 급증 • 과도한 주차장건설비용 : 주차장 1면에 약 4천만원 소요 □ “주거지 주차장 100% 확보 10개년 계획”수립시행 (2003~2012) • 중장기 주택가 주차시설 공급방안수립 • 시민의 자발적인 주차공간확보 유도 → 내집주차장갖기, 부설주차장 야간개방 등 • 주택가 야간박차질서 확립으로 주차질서의식 변화유도 → 거주자우선주차제 운영 정착 및 개선
교통관리실 2. 주차수요관리 강화 □ 도심주차수요억제시책 추진 • 상한제 : 상업지역 → 일반지역까지 확대, 13.76km2 → 25km2 • 주차요금 : 도심지는 상향, 외곽지역 환승주차장은 하향조정 • 단속강화 : 도심지불법주차에 대한 기획단속 • 도심주차장 감축 : 기존도심주차시설을 점진적 축소 주택가 주차확충 도심 점진적 촉소 기획단속 대상지점 - 간선도로 상습정체지점 - 대규모 교통유발시설 □ 외곽지역 환승주차시설 이용활성화 • 환승주차장 추가건설 : 2개소 700면 신설 • 환승이용자와 일반이용자의 주차요금 차등화 단속방법 일정기간계도→끈질긴반복단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