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0 likes | 1.16k Views
Ch.6 재고관 리. 재고관리. 재고관리의 중요성 재고는 생산이나 구매가 수요발생시점보다 앞서 이루어질 때 당연히 발생 재고는 완제품뿐만 아니라 원자재 , 부품 , 서브어셈블리 (subassembly), 그리고 생산 및 유통과정에 필요한 여러 서비스 품목까지 포함 재고는 마케팅이나 구매부서와 같은 타 부서의 결정에 영향을 받음 재고자산은 엄청난 투자를 필요로 함 . 하지만 무조건 재고를 줄이기보다는 재고투자와 그로 인한 편익 간의 상충관계 (tradeoff) 를 고려해야 함
E N D
Ch.6 재고관리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 • 재고관리의 중요성 • 재고는 생산이나 구매가 수요발생시점보다 앞서 이루어질 때 당연히 발생 • 재고는 완제품뿐만 아니라 원자재, 부품, 서브어셈블리(subassembly), 그리고 생산 및 유통과정에 필요한 여러 서비스 품목까지 포함 • 재고는 마케팅이나 구매부서와 같은 타 부서의 결정에 영향을 받음 • 재고자산은 엄청난 투자를 필요로 함. 하지만 무조건 재고를 줄이기보다는 재고투자와 그로 인한 편익 간의 상충관계(tradeoff)를 고려해야 함 • 축적된 재고는 그 자체로 많은 문제점들을 덮을 수 있다. (부정확한 수요예측, 비효율적인 생산활동) 생산∙운영관리
재고가 감추는 문제들 (p.285)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 • 재고의 유형 • 파이프라인재고(pipeline inventory)순환재고(cycle inventories)안전재고(safety stock)비축재고(anticipation inventories)완충재고(decoupling stock) • 파이프라인재고(pipeline inventory) : 공장에서 물류센터, 물류센터에서 대리점, 대리점에서 소비자 등으로 이동 중인 재고 • 순환재고(cycle inventories) : 생산준비비용(setup cost)이나 주문비용(ordering cost)등의 고정비용을 줄이거나 가격할인을 받기 위해 필요 이상을 주문할 때 사용하고 남는 재고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 • 재고의 유형 • 안전재고(safety stock) : 수요의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추가적으로 보유하는 재고로서 평균수요량 이상 보유하는 재고 고객의 주문충족비율(fill rate) 유지 목적 • 비축재고(anticipation inventories) : 수요가 계절에 따라 변동하거나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리라 예상될 때를 대비하여 미리 확보하는 재고 • 완충재고(decoupling stock) : 시스템 전반에 걸쳐 각 재고보유처에 적절한 양을 보유하는 재고주로 재공품 재고 (work-in-process inventories) • 각각의 재고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은?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 • 재고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은? • 파이프라인재고(pipeline inventory)물류시스템의 개선 • 순환재고(cycle inventories)구매절차의 단순화,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 안전재고(safety stock)리드타임(lead time)의 단축 • 비축재고(anticipation inventories)선물계약(원자재), 기간할인또는 계절할인 • 완충재고(decoupling stock) pull system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 • 재고관련 비용 • 품목비용(item cost)주문비용(ordering cost)생산준비비용(setup cost)재고유지비용(inventory carrying or holding cost)재고부족비용(stockout or back-order cost) • 품목비용 : 개별 품목의 가격 또는 부가가치 • 구입비용 또는 생산비용 • 나사, 못 등의 싼 소모품과 완제품 등의 가격 차이 • 주문비용(생산준비비용) : 구매 또는 생산의뢰를 하는 데 필요한 제반 활동과 관련된 비용 • 구매의 경우 : 구매처 및 가격의 결정, 주문에 관련된 서류작성, 물품수송, 검사, 입고 등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비용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 • 재고관련 비용 • 주문비용(생산준비비용) • 자체생산의 경우 : 생산공정의 변경, 기계, 공구의 교체 및 이로 인한 작업시간의 손실 등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 • 재고유지비용 : 재고를 유지, 보관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 • 이자비용 또는 자본비용(capital cost)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이외에 취급(handling), 공간(storage), 보험, 세금, 도난, 진부화(obsolescence)및 파손(breakage, deterioration, perishable)등에 따른 비용이 포함됨 • 재고부족비용 : 재고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판매손실 또는 고객의 상실 등을 비용화한 것 • 제조기업인 경우 조업중단이나 품절(stockout), 납기지연(back-order)으로 인한 손실액까지 포함 (opportunity cost)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 • ABC 재고관리 • 20:80 원리 (Pareto principle) • 1906년 Italy 80% 토지를 20%의 국민이 소유 • ABC분류에서 A품목은 상대적으로 품목수가 적으나 매출액 비율이 높은 품목들이고, C품목은 이와 반대로 품목수는 많으나 매출액비율이 낮은 품목들이며, B품목은 A와 C 사이에 위치하는 품목들임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 • ABC 재고관리 (pp.221-222)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 • 다기준ABC분석 • 다기준ABC 분류의 사례 • - 화폐가치(매출액)를 기준으로 A, B, C로 분류 • - 중요성을 기준으로 Ⅰ, Ⅱ, Ⅲ으로 분류 • - 화폐가치와 중요성을 동시에 적용시켜 품목을 분류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 • 다기준ABC분석 사례 • AI, AII, BI AAAIII, BII, CI BBBIII, CII, CIII CC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의기본 모형 • 경제적 주문량 모형 (EOQ : Economic Order Quantity) • 단위기간당 발생하는 총재고유지비용과총주문비용을 최소화하는 주문량 • 가정 • - 매 기간당 수요는 알려져 있고 일정하다. • - 단위당 재고유지비용은 일정하다. • - 주문비용은 주문량 Q 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 - 구입단가는 주문량 Q 의 크기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 - 조달기간은 일정할 필요가 없으나 정확히 알 수 있다. • - 재고부족은 허용하지 않는다. • - 주문한 양은 일시에 도착하지 몇 번에 나뉘어 도착하지는 않는다.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의기본 모형 • EOQ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의기본 모형 • EOQ 예제 (p.228) • 연간 수요(D)= 40,000개, 주문비용(Co)= 80,000원, 단위당 연간재고유지비용(Ch)= 400원. • 연간주문회수 10회, 평균재고수준 2,000 • 재고유지비용이 800원이면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의기본 모형 • 수량할인(Quantity Discount)의 경우 • (see. p.230) • Q* =3814 w/ 구입단가 2200 • TC(Q=3000) = 89,726,667 Q* = 4000 w/ 구입단가 2000 • TC(Q=4000) = 81,600,000 • AB Q* =4216 w/ 구입단가 1800 • TC(Q=5000) = 73,540,000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의기본 모형 • 단일기간 확률적 재고모형 (single period inventory model) • Newsboy problem • Cu (cost of being under) : 재고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위당 미실현된 판매이익, 또는 판매손실 • 예 크리스마스 트리구입원가 : 25,000원, 판매가격 : 45,000원 미실현 기회비용: 20,000원 • Co (cost of being over) : 재고가 수요보다 많아 계획기간 말에 처분하는 재고 한 단위에 대한 비용 • 처분가격 : 1,000원, 처분비용 : 24,000원 생산∙운영관리
단일기간 확률적 재고모형 • News boy problem • Co : 24,000원, Cu : 20,000원Avg. TC = avg. total 처분비용+ avg. total 기회비용 생산∙운영관리
News boy problem • 기대값(평균값) 계산 • 평균 ? • 평균 ? 생산∙운영관리
단일기간 확률적 재고모형 • News boy problem • Co : 24,000원, Cu : 20,000원 • 적정주문량 : Q* = 220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시스템의 설계 • 계속실사제(continuous review system) • 계속적으로 재고를 관찰하다가 재고가 재주문점(reorder point)이하로 떨어지면 적정주문량 Q만큼 주문. • 정기실사제(periodic review system) • 정기적으로 재고를 실사하여 필요한 목표재고수준 (replenishment level) 에 부족한 만큼 주문. • 의사결정과제 • 실사주기 : 언제 재고를 파악 • 주문시점 : 언제 주문 • 주문량 : 얼마만큼 주문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시스템의 설계 • 계속실사제(continuous review system, Q-system) • 개별품목별로 R, Q 결정 • Q : EOQ로계산 • R : 리드타임(L기간)동안의 수요와 안전재고로 결정 • Use POS(point of sale) 시스템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시스템의 설계 • 정기실사제(periodic review system, P-system) • 다수 품목을 한꺼번에 주문, 개별품목별로 T결정 • P : EOQ / 연간 평균수요 x 365일 • T : P기간+ L기간 동안의 수요와 안전재고로 결정 • 저가품에 적용, less record keeping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시스템의 설계 • 리드타임의 단축과 재고 • R(reorder point) = m(mean demand) + s(safety stock) • s = 정규분포에서 서비스수준까지의 확률을 나타내는 z값 X 리드타임동안의 수요의 표준편차 • 리드타임은 줄일수록 좋다. • 수요예측이 정확하면 안전재고를 줄일 수 있다.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시스템의 설계 • 유통망에서의 안전재고 풀링 • 개별 매장에서 안전재고를 유지하는 것보다 물류센터에서 유지하는 것이 좋다. • 개별 매장에서 재고부족이 일어나면 인접 매장에서 보충하면 좋다. (관리비용이 늘어남) • trade-off : 물류센터를 합칠 경우 안전재고를 pooling 할 수 있지만 수송거리에 따른 수송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생산∙운영관리
EPQ (economic production quantity) • Lot size의 결정 (EOQ 가정과 동일) • D : 기간 수요량(예: 매주100개) 년 Dy= 100*50=5000 p : 기간 생산량 (예: 매주 500개) S : 생산준비비용(setup cost) (예:80,000원)Ch: 단위당 재고유지비용 (iC=이자율 i X 단위당 가격 C,예: 년400원) • Q : EPQ 생산∙운영관리
EPQ (economic production quantity) • Lot size의 결정 (EOQ 가정과 동일) • 최고재고수준 • EOQ : • EPQ : x 생산∙운영관리
재고관리시스템의 설계 생산∙운영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