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likes | 358 Views
홈네트워킹의 기반인 JINI & HAVI. 전산학과 대학원 1 학기 정종석. JINI & HAVI 란 무엇인가 ?. 인터넷 통신 매체 + Embeded Processor 의 발달 = Home Networking 기존 중앙 제어형 시스템이 아닌 인터넷을 통한 가정 기기 및 기존의 네트웍에 참여할 수 있는 H/W 와 S/W 를 가진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에 접근하여 제어할 수 있는 기술. Home Networking 표준화 작업.
E N D
홈네트워킹의 기반인JINI & HAVI 전산학과 대학원 1학기 정종석
JINI & HAVI란 무엇인가? • 인터넷 통신 매체 + Embeded Processor의 발달 = Home Networking • 기존 중앙 제어형 시스템이 아닌 인터넷을 통한 가정 기기 및 기존의 네트웍에 참여할 수 있는 H/W와 S/W를 가진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에 접근하여 제어할 수 있는 기술
Home Networking 표준화 작업 • Home Network 표준화 작업을 추진중인 그룹 • 기기간 무선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개발 : 홈 RF 워킹그룹(HomeRF Working Group) • 기기의 웹기반 통합기술 개발 : VESA • 기기간 유선연결 기술 개발 : 홈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 컴퓨터에서 기기제어용 표준 개발 : 홈 네트워킹 API 그룹 • 홈 네트웍을 구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 Sun microsystems : JINI • MicroSoft : Universal PNP • Lucent Tech. : 인페르노 • IBM : T SPACE
JINI란 무엇인가? • Sun Microsystems에서 제안하는 접속기술 • 자바를 기반으로 다양한 방식(LAN, ADSL, MODEM, 전력선, 무선 등)으로 네트웍에 접속되어 있는 지능형 기기(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장착되고 지니 아키텍쳐가 적용된)들이나 소프트웨어들이 동적으로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 기술이다. • 기기들이 특정한 H/W에 구애 받지 않고 각종 디바이스를 통해서 네트웍에 접속이 이루어지면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분산 네트웍 기술이다.
Structure of JINI Technology • JINI시스템에 참여하는 모든 기기는 서비스 개념으로 정의. • 3가지 구성 요소 • 서비스 이용자: 클라이언트 •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기기들(오디오, 프린터 등) • 서비스 관리자: JINI시스템을 관리, 운용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JINI연합체)
JINI System Architecture(2) • JINI Infrastructures • Discovery & Join • 기기들이 네트웍에 접속시 네트웍의 환경, 구성, 자신의 정보 등록등의 일련의 작업을 처리. • Discovery를 통하여 JINI 연합체를 찾아 Join을 통해 서비스를 등록/연결 시도. • Lookup Service • 등록되어진 모든 기기들의 서비스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서비스의 Proxy를 제공하는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다.
JINI Service • Java Space • 서비스의 한 형태로서 자바객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고 서비스들간 공유가 가능하게 하며 해당 객체를 원하는 서비스에 전송하여 줄 수 있는 즉, 서비스들의 집합장소이다. • Printing, Storages, Databases
JINI Programing Model • Leasing • JINI분산 네트웍 환경에서 임의의 서비스의 독점을 막기위해 일정 시간의 임대기간을 설정하여 이 시간이 종료하면 두 서비스간 네트웍 연결이 종료되고 상대 서비스이 객체가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제거되게 되는 네트웍 환경에서의 Garbage Collection이 발생하도록 한다. • Distributed Event • 네트웍상에서 발생되어지는 이벤트들의 정확한 전송을 보장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 Transaction • 네트웍상에서 발생하는 작업을 하나의 트랜잭션 단위로 처리하는 기술 • 분산 자바환경에서 모든 이벤트가 발생한 후 전체적인 작업처리가 정확히 종료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담당.
JINI를 적용한 Home Networking Senario 사례 1 사례 2 사례 3
HAVI란 무엇인가? • HAVI(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는 소비자가 가정에 있는 네트웍을 통해 연결된 다양한 디지털 오디오, 비디오 장치간의 상호 기능성을 제공해주는 Consumer Electronic Industry Standard(소비자 전자산업 표준)이다. • JINI와 HAVI의 관계 • HAVI시스템을 JINI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웍에 연결함으로서 디지털 AV 전자기기가 용량이 큰 비디오 파일과 같은 원격 네트웍 서비스에 접근해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HAVI와 JINI를 연결함으로서 Home Network의 개념을 확장시킬 수 있다. • Hitachi, Sony, Sharp, Toshiba등의 회사들이 HAVI를 공동연구 하고 있다.
HAVI의 특징 • 디지털 기기들의 Home Network • 디지털 AV데이터(HTML, 이미지 포함)의 전송과 처리, Clock, Timer와 같은 일반적이 유틸리티의 사용 • 다양한 상표의 디지털 오디오와 비디오 장치간의 상호 기능성 • HAVI Spec에 정의된 API를 통해서 작성된 Java APP는 특정 OS나 CPU에 독립적이다. • 사용자의 편의성 제공 • HAVI는 IEEE1394를 채택 : 초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 • 오픈 자바 플랫폼 • HAVI디바이스의 APP과 DCM을 위해 Open&Standard Java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 • HAVI 디바이스 • 케이블 모뎀, 디지털 TV, 인터넷 TV, 지능형 저장 장치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와 비디오 등
HAVI Architecture • Object-Based • HAVI 아키텍쳐의 서비스들은 software elements라고 불리는 객체로 모델링 되있다. • Software Element Identifier • 모든 객체는 naming service(registry)를 통해서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데 이때 80 bit의 identifier를 사용한다. • Message Based Communication • 모든 객체는 Message Passing Model을 사용해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데 target 객체는 유일한 SEID를 사용해서 정의 된다.
HAVI Software구성요소(2) • 1394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Manager : 비동기적이고 등시적인 대화를 수행할수있게 해주는 요소 • Messing System : 요소들간의 메시지 전달기능을 수행 • Event Manager : 홈네트워크 객체의 상태변이와 같은 이벤트 전달기능을 수행 • Stream Manager : 기능요소들 사이의 AV와 다른 미디어의 실시간 전송관리 기능제공 • Registry : 하나의 객체가 홈네트웍상에 다른 객체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디렉토리서비스 • DCM :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software element • DCM Manager : FAV와 IAV 디바이스에 있는 DCM code를 인스톨하거나 제거하는 기능 • SDD(Self Describing Device) data : IEEE 1212 주소체계를 따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DCM code-units을 포함하고 있다 • HAVI Bytecode Runtime : HAVI 바이트코드를 사용해서 구현된 업로드된 DCM이나 애플리케이션의 runtime환경을 제공해준다 • DDI(Data Driven Interaction) Controller : 사용자 Interaction에 포함된 바이트코드 객체
Universal Plug & Play • MicroSoft사의 네트웍 접속기술 • 기존의 Plug&Play기술을 네트웍상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 • JINI의 RMI(객체간 통신)와 대응하여 Window2000에서 제공하는 IPP(Internet Printing Protocol)사용. • UPNP는 어떤 미디어, 모든 네트웍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모든 종류의 네트웍 매체에서도 적용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Home Network의 현제 동향 • 1999년 1월 25일 공식 발표후 관련 업체의 꾸준한 지원. • HP, Canon, Nokia, Motorola등… • HAVI개발 업체와 SUN의 공동 노력. • MS와 Sun의 접속기술 양분화.
JINI의 비젼 • 자바의 성공과 인터넷에 대한 더 높은 요구의 출현으로 JINI는 탄생하게 되었다. • JINI기술은 분산형 컴퓨터로부터 PC, 전화기, TV, 휴대폰에 이르기까지 모든 전자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인텔리젼트 홈 네트웍을 구축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서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곧 현실로 다가오게 될것이다.
참고 문헌 / 자료 • JINI Tutorial • jiniworld.chonnam.ac.kr의 ‘개발자 입장에서본 Home Networking’ • jiniworld.chonnam.ac.kr의 세미나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