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0 likes | 970 Views
친환경 딸기재배 기술. 울진군농업기술센터 손용원. 딸기농사 를 잘 짓는 조건. 딸기에 적합한 토양과 환경조건을 조성 - 배수양호 양토 , 식양토 , 약산성 토양 - 적정온도 주간 20 도 , 야간 10 도유지 - 충분한 광을 받을수 있도록 관리 딸기의 생리생태적 특징 이해 - 화아분화 , 휴면현상 , 보온시기 이해 - 뿌리 발육 충실 유도로 장기수확. 딸기재배 주요 용어. 관부(크라운) : 런너, 화아 잎, 뿌리 발생 정화방 : 가장 먼저분화된 화방 액화방 : 2번째로 분화된 화방
E N D
친환경 딸기재배 기술 울진군농업기술센터 손용원
딸기농사를 잘 짓는 조건 • 딸기에 적합한 토양과 환경조건을 조성 • - 배수양호 양토, 식양토, 약산성 토양 • - 적정온도 주간20도, 야간 10도유지 • - 충분한 광을 받을수 있도록 관리 • 딸기의 생리생태적 특징 이해 • - 화아분화, 휴면현상, 보온시기 이해 • - 뿌리 발육 충실 유도로 장기수확
딸기재배 주요 용어 • 관부(크라운) : 런너, 화아 잎, 뿌리 발생 • 정화방 : 가장 먼저분화된 화방 • 액화방 : 2번째로 분화된 화방 • 액아 : 정아옆에 붙어 나오는 포기 • 화아분아 : 꽃눈형성 • C/N율, T/R율 • 휴면 : 저온 단일 조건에서 자는 잠
딸기의 생리생태 • 화아분화, 휴면현상이 낙엽과수와 유사 • 장미과 숙근초본성(잎, 짧은줄기, 뿌리) • 줄기 관부의 측아는 화아 또는 런너가됨. • 딸기 수확 적산온도 600도 • 겨울 10도(60일), 15도(45일), 20도(30일) • 생육적온 17 ~ 20도 • 촉성전조 11월초중순(뿌리)
딸기의 화아분화 • 화아분화란? • - 생장점이 잎으로 분화하는것을 중지하 • 고 꽃으로 분화하는것 • 자연조건에서의 화아분화시기: 9월하순 • 화아분화촉진처리 • - 7 ~ 8월경에 인위적인 저온단일 처리 • - C/N율 조절을 통한 질소공급 제한
화아분화와 온도와 일장과의 관계 • 화아분화 1차조건 온도, 2차조건 일장 • 화아형성 온도범위 : 5 ~ 25도 • - 9 ~ 10도가 가장적합한 온도범위 • - 10 ~ 25도에서는 단일조건 필요 • - 온도 15도에서 소요일수 15일이면 • - 온도 25도에서는 30일이상 소요 • <효과없는 온도 5 ~ 10도, 25 ~ 30도 • 저해하는 온도 5도이하, 30도이상>
휴면의 이해 • 노지딸기(자연조건) • - 화아분화 : 9월하순 • - 휴면 : 10월하순 ~ 2월상순 • - 수확 : 4월하순 ~ 6월 초순(1,2화방) • 시설재배(촉성) • - 화아분화 : 9월초순(중순) ~ 5월 • - 휴면 : 반휴면(영양, 생식생장 공존) • - 보온시기 : 제2화방 분화기 ~ 휴면최심기
휴면의 이해 • 반촉성 재배 • - 화아분화 : 9월하순 ~ 10월하순 , • 12월하순 ~ 5월 • - 휴면 : 10월하순 ~ 12월초순 • - 휴면 타파(반휴면) : 12월 초순 • - 보온시기 : 휴면최심기 ~ 휴면타파기 • 휴면이 완전히 타파되면 화아분화는 끝.
친환경 토양관리 • 토양 정밀검정(EC, PH등) • 토양 물리성 개선 • 토양 화학적 성질 개선 • 토양 생태계 복원 • 높은 이랑 • 태양열 소독 • 적정 관수
친환경 비배관리 • 토양검정에 의한 정밀시비 • 기비는 유기질 퇴비만 시용 3톤/10a • 화학비료는 추비로만 사용(11월 이후) • 한방영양제, 미생물제재등 적절한 사용 • 점적관수 이용 비효 제고
비종별 성분 함량 • ● 질소비료 (성장촉진) • ○ 요소 : 46% • ○ 황산암모늄(유안) : 21% • ● 인산비료 (줄기를 튼튼하게함) • ○ 과석 : 20% • ○ 용성인비 : 20% • ○ 용과인 : 20% • ● 칼리비료 (결실을 좋게함) • ○ 염화칼리 : 60% • ○ 분상 황산칼리 : 50% • ○ 입상 황산칼리 : 45%
병해충 방제대책 • 병원성 미생물 밀도 경감 • 윤작, 녹비작물파종 • 태양열 소독(침수) • 육묘기부터 철저한 병해충 예방 • 온습도 관리, 현미식초, 목초액, 소다등 • 건묘 육성, 전생육기 우량관리 • 천적이용, 유황훈증기 활용등
병해와 미생물과의 관계 외부권 (아졸라, 시안세균 등) 비공생권 (Azospirillium, Pseudomonas 등) 식물 뿌리 공생권 (근류균 등) 면역 계 스트레스 병원균 N, P, 생육조절물질, 미량원소 등 양분, 물 등 마이코리자 균사 NIAST
기주에 부착 전파 25C 100%,6시간 병원균 포자발아 ... 바람 10시간 병원균 비산 침입균사 생성 6-7일 기주 15시간 분생포자 성숙 2일 흡기생성 5-6일 5일 . 균사신장 분생포자 생성 병반형성 흰가루병 생활사
발병환경 ㅇ 생육중기를 지나 기온이 20℃이상 되면 발생 - 건조한 조건 - 통풍이 불량하고 기온차가 심할 때 많이 발생 - 32℃의 고온에서는 발병억제 ㅇ 41종 식물에 발생 : 오이, 참외, 호박, 멜론, 수박 등 ㅇ 병원균의 월동 - 병든 식물체의 조직 속(난포자)
흰가루병균 분생포자의 발아와 습도와의 관계 발아율(%) 99 95 85 75 66 55 45 35 습 도(%) 99 95 85 75 66 55 45 35
발병하기 쉬운 환경조건 ㅇ 병원균(포자) 형성 - 20~30℃ - 상대습도 80%이상(강우시 현저히 감소) ㅇ 병원균의 비산과 엽면부착 - 12시부터 오후 3시경(포자이탈 ) : 오전에 이슬이 마른 후 농약 살포 필요 ㅇ 병원균 포자 발아 - 20~30℃ (25℃에서 최대), 명조건에서 양호 - 포화습도 (98%에서는 상당히 감소) ㅇ 병원균 침입 후 포자형성까지 소요일수 : 7일
규산질비료 토양혼화처리가 오이 흰가루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 비닐하우스 온 실 비료종류 처리방법 발병도(%) 방제가(%) 발병도(%) 방제가(%) 규산질비료 무 처 리 토양혼화 - 28.6 49.9 40.3 - 30.3 48.6 38.3 -
방제요령 ㅇ 온실이나 비닐하우스의 유리등이 더럽혀져 광선투과가 나쁠 경우, 질소비료를 과용하여 과 생장한 경우,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큰 경우 발병 증가 → 이런 점 개선 필요 ㅇ 포장위생의 철저 : 병든 잎 제거 소각 및 매몰 ㅇ 전염원 제거 : 주변에 박과작물이나 기주가 되는 자생식물 제거 ㅇ 시설내 습도관리에 힘쓴다 - 시설내 공중 습도가 높으면 병원균(포자)생성 및 발아 억제 ㅇ 길항균을 이용한 오이흰가루병균 방제 - 중복기생균(Ampellomyces quisqualis) ㅇ 동일한 약제의 연용을 피해야 한다 - 주요약제(훼나리, 비타놀, 리프졸, 사프롤, 티디폰수화제) 연용시 약저항성균 출현 보고(외국)
딸기 흰가루병 전염경로 • 발병주에서 주변포기로 포자가 비산하여 주로 전염 • 화분매개용 꿀벌에 부착되어 전염 • 포자 비산 12시 전후, 습도 55%이하, • 맑은 날 활발히 비산 • 이전에 감염된 식물의 조직에서 월동
딸기 흰가루병 발병조건 • 병원균 최적온도 20도, 습도 30 ~ 100% • 노지육묘에는 포자가 빗물에 씻겨 사멸 • - 비가림육묘, 야냉단일육묘, 저온암흑 • 처리육묘, 고랭지 육묘등 빈발 • 촉성, 반촉성은 2 ~ 4월, 노지 3 ~ 5월
딸기 흰가루병 방제방법 • 1) 경종적 방제 • 무병주 선정 채묘, 묘를 강건하게 육묘 • 통풍, 환기, 관수 주의 • 발생잎, 발병과, 발병주는 바로제거 • 정식시 묘는 본엽을 3장남기고 하엽제거 • 노지 및 차광망 50% 사용시 효과 • 2) 화학적 방제 • 육묘기, 보온개시기, 개화기 이전에 예방
난황유 이용 흰가루병 방제 • 예방목적 • - 식용유 60ml + 노른자 1개 +물1말 • ( 식용유 1.5l+ 노른자 15개 +물25말) • 치료목적 • - 식용유 100ml + 노른자 1개 + 물1말 • ( 식용유 2.5l+ 노른자 15개 +물25말) • 제조방법 • 1. 계란노른자+소량의 물을 믹서기로 혼화 • 2. 식용유 첨가 믹서기로 5분간 혼화 • 3. 전체물에 희석하여 살포
과산화수소수 이용 스트레스 경감, 병해예방 • □ 과산화수소수를 처리할 때는 알맞은 농도를 사용해야 합니다. • ○ 희석농도는 물1ℓ에 과산화수소 10㎖ 희석 • - 시판 과산화수소는 30~35%(20ℓ/약2만원) • ○ 5일간격 오전 10시 이전 엽면 충분히 살포 • 과산화수소와 농약 등을 혼용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