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 likes | 512 Views
컴퓨터와 인터넷. 컴퓨터의 원래 의미는 ?. Harvard Computer Women (1913). 17 세기 계산기. 파스칼의 톱니바퀴 계산기 가감산을 할 수 있는 최초의 기계식 수동계산기 라이프니츠의 계산기 곱셈과 나눗셈을 할 수 있는 계산기. 최초의 기계식 수동계산기인 파스칼의 톱니바퀴계산기. 탁상 계산기의 원리가 된 라이프니츠의 계산기. 찰스 배비지의 Difference Engine (1833). 증기기관으로 작동 . 당시에는 일부만 제작 1991 년 재제작
E N D
컴퓨터의 원래 의미는? Harvard Computer Women (1913)
17세기 계산기 • 파스칼의 톱니바퀴 계산기 • 가감산을 할 수 있는 최초의 기계식 수동계산기 • 라이프니츠의 계산기 • 곱셈과 나눗셈을 할 수 있는 계산기 최초의 기계식 수동계산기인 파스칼의 톱니바퀴계산기 탁상 계산기의 원리가 된 라이프니츠의 계산기
찰스 배비지의 Difference Engine (1833) • 증기기관으로 작동. 당시에는 일부만 제작 1991년 재제작 • 배비지는 당시 모든 연산이 가능한 Analytic Engine을 만들려고 했음
입력장치는? Jacquard’s weaving loom (1804)
배비지의 Analytic Engine 설계 (1830년대) • 천공카드(입력장치), Store(저장장치, 기억장치)와 Mill(CPU)로 구성 • 수치뿐 아니라 계산프로그램도 천공카드에 입력 가능 모든 연산 가능
앨런 튜링의 Universal Machine 영국의 수학자 Alan Turing의 simple & universal machine 모든 연산을 다 할 수 있음이 증명됨
전기식 아날로그 컴퓨터 Harvard Mark I designed by H. Aiken (1943): 전쟁 당시에 ballistics계산을 위해 사용
무엇일까요? Harvard Mark I (1945)
최초의 상업용 대형 컴퓨터 UNIVAC UNIVAC (1951)
1950년대 초기 컴퓨터의 사용과 수요: 군사적 필요 • NC machine-tool MIT's servomechanism lab-공군-GE의 합작으로 개발 • 숙련 노동자의 공작기계 사용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대체 • 유연한 공장자동화 출발 • 공군과 MIT의 SAGE-project • 미국 전역의 레이더망과 공군기지를 실시간 연결 • MIT's Whirlwind computer가 그 중심에 있었음. • 이 둘에 공통적인 것: • 인간의 작업을 컴퓨터가 대체. 극단적으로, 인간이 없는 기계의 세상 • Paul Edwards: Sage-Project는 “닫힌 세상”의 세계관 구현 • 세상을 동-서, 미-소의 닫힌 블록으로 • 이 둘의 대립을 시뮬레이션과 게임 이론으로 풀어냄. • 인간의 감정과 같은 요소를 배제하려고 노력 • 컴퓨터가 그려낸 세상은 이러한 세계관의 모델이자 구현수단이었음
1950년대 자동화에 반대하는 포스터: “더 적은 주 노동시간으로 자동화에 싸우자”라는 구호 이미 이 당시부터 컴퓨터를 통한 자동화가 인간을 직장에서 밀어낸다는 생각이 널리 퍼지게 됨.
컴퓨터 수요의 확장 : 군부에서 기업으로IBM 360 (1964)
누가, 왜 개인 컴퓨터인 Altair를 샀는가? • 지금까지 컴퓨터의 용도는? “복잡한” 계산 군부와 기업에서 사용 • 당시 컴퓨터를 가지고 (계산이 아닌) 다양한 시도를 하던 그룹이 존재 • Lee Felsenstein's <Community Memory> • 미니컴 단말기를 공공장소에, 주민이 사용 • <민중의 컴퓨터 회사> • 컴퓨터를 인간의 통제가 아닌 자유를 위해 사용하기를 주장 • Ted Nelson: <Computer Lib>, <Dream Machine> 출판 • hypertext주창 • “the purpose of computers is human freedom” • 컴퓨터 애호가들의 Homebrew Club - S. Dompier의 경험 • 이들의 신념 - 컴퓨터는 "great equalizer" (더 작아지고 더 싸질 것임); 자유와 평등 • 이러한 신념은 스티브 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액이 1976년 만든 Apple II에서 구현: Apple II의 모토는 “IBM의 힘을 민중에게” 이런 가능성이 열리는 물리적 원인은?
해커의 윤리 • 컴퓨터에 대한 접근에 제한이 없어야 한다 • 모든 정보는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권위를 불신하고 권력을 분산하라 • 해커는 그들의 학위나 지위가 아닌 해킹능력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 컴퓨터에 예술과 미를 창조할 수 있다 • 컴퓨터는 삶을 더 좋게 만들 수 있다
Ted Nelson의 Computer Lib“The purpose of computer is human freedom” Homebrew Club (1976)
이상과 현실 • 열린 이상은 곧바로 또 다른 세력에 직면 • 컴퓨터가 급속히 자본주의 시장에 편입 • 이를 상징적으로 잘 보여주는 것이 빌 게이츠가 회람시킨 <컴퓨터 애호가들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 (1976) • 대부분의 사용자가 베이직을 전혀 구입하지 않았다 • 어떤 전문가가 한 푼도 받지 않고 일을 할 것이며, 3년의 시간을 투자해서 프로그램을 하고, 오류를 찾아낼 것인가 • 컴퓨터 애호가들, 당신들이 하는 짓은 도적질이다 ... • Free Software Foundation을 설립한 Richard Stallman: • MIT의 컴퓨터 전공자들이 다 돈을 찾아 떠나는 것에 침통자유와 열린 정신을 위한 재단 설립 • 1980년대에 열린 소비자 시장 • 자유와 평등의 세상이 아닌, 로열티와 MS의 자연 독점의 세상
분산 네트워크 : 인터넷의 등장 • 1960년대 당시에 2가지 네트워크 - star network & distributed network • Arpanet 은 distributed network과 개방형 프로토콜 TCP/IP를 채택 • 왜? Paul Baran이라는 RAND연구소의 핵전쟁 이후의 군사 명령체계 이것 때문에 Arpanet이나 인터넷이 냉전과 군부의 닫힌 세계관을 담는가?
Arpanet이나 인터넷이 냉전과 군부의 닫힌 세계관만을 구현? No • 기술 디자인은 그 속에 구현된 이념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는가? • 사실 Arpanet은 핵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라기 보다는, 그 이후에도 생존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상정한 것 • 극도로 탈중앙집권적이어야 함 • 그렇지만 더 중요한 문제: 실제로 Arpanet 어떻게 디자인 되었는가? • Arpanet은 비밀이 아니었음 : 수 많은 엔지니어들의 상호협력의 산물 • 엔지니어들은 핵전쟁보다는 resource sharing에 관심 • TCP/IP는 NWG(Networking Working Group)의 대학원생의 개발 • 수평적인 의견 교환을 통해 권위 형성 (나중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지금도 이러한 문화는 계속되고 있음 • 네트워크의 목적이 협력과 모든 사람을 이에 포함시키기 위한 것 • 결국 군사용 Millnet은 Arpanet에서 분리 (1983)
1971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