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574 Views
인사행정론. 직무분석. 직무분석의 개념. 개념 직무담당자가 책임지고 달성해야 하는 성과책임과 직무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직무수행요건을 규명하고 , 직무의 난이도에 대한 상대적인 평가를 통해 직무가치를 규명 http://imnews.imbc.com/replay/nwtoday/article/2972636_5782.html 주요내용 모집 , 선발 , 인사이동 , 평가 , 보수 , 교육훈련 , 직무분장 , 업무처리절차 재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E N D
인사행정론 직무분석
직무분석의 개념 • 개념 • 직무담당자가 책임지고 달성해야 하는 성과책임과 직무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직무수행요건을 규명하고, 직무의 난이도에 대한 상대적인 평가를 통해 직무가치를 규명 • http://imnews.imbc.com/replay/nwtoday/article/2972636_5782.html • 주요내용 • 모집, 선발, 인사이동, 평가, 보수, 교육훈련, 직무분장, 업무처리절차 재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 한국 정부에서는 직무급 기초 자료, 성과평가와 보상을 위한 기준의 설정에 활용 • 직무분석은 좁은 의미의 직무분석과 직무평가로 구성
직무분석의 요소 직 무 요소 직 위 과업 광의의 직무분석의 대상 협의의 직무분석의 대상 •요소(element) : 작업이 나누어질 수 있는 최소단위(기초생활자 파악, 생활보조금 지급) •과업(task) : 특정한 목적으로 행해지는 하나의 명확한 작업활동(생활보조금 지급 여부 파악) •직위(position) : 특정한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과업군(사회복지-생활보조금 지급) •직무(job) : 작업의 종류와 수준이 유사한 직위들의 집단 (사회복지 업무)
직무분석 (2단계) 직무평가 (3단계) 급여설계 (4단계) 직무기술서 작성 (성과책임 설정) 직무값 책정 PMS 설계 (5단계) 전담요원 교육훈련(Internal Consultant Training) * PMS :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성과평가제도) 직무분석 추진 단계 현상분석 (1단계)
담당자가 책임 지고 달성해야 할 성과 (성과 책임) 직무 분석의 출발 성과 책임 설정 직무와 직무분석 • 직무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직무를 구성하는 임무 및 책임과 필요한 자격을 결정 • 자료수집, 직무기술서 작성, 직무분류 단계로 구분 직 무 조직의 개인 한 사람 한 사람이 담당하는 업무 - 단, 복수의 구성원이 담당하는 각각의 업무에 있어서 요구되는 성과, 기본적인 업무활동, 지식/경험, 문제해결수준 등이 일치할 경우 동일한 직무로 간주 (직무 수≤직원 수) - 예 : 조사관 수 4명 → 직무 수 1개 직무 분석 • 개별 직원이 담당하는 • 직무내용의 본질을 • 명확히 하는 것 직무의 본질?
직무분석절차(1) • 자료수집 • 특정 직무와 그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의 특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 • 설문지법 • 표준화된 질문지에 답변 • 면접법 • 조직구성원들과 관리자들과의 면접을 통해 직무에 관한 정보 수집 • 관찰법 • 직무분석자가 대상자의 직무수행과정을 직접 관찰 • 체험법 • 직무분석자가 직접 직무활동을 체험 • 대상자기록법 • 직무분석의 대상자가 업무일지에 매일 기입
직무분석절차(2) • 직무기술서 작성 • 수행직무내용, 직무의 특성, 필요한 지식과 기술, 학력, 요구되는 자격요건, 필요한 교육훈련 등 포함 • 직무내용을 바탕으로 성과책임 도출 • 직무분류 • 직무의 성격이 유사한 것을 묶어서 분류 성과책임의 작성예시(기상청 기획국장) • 종전의 직무내용 • 기상업무에 관한 주요정책과 장·단기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 기후관련 연구의 기획 및 조정 • 장기예보자료의 수집, 분석, 관리 • 기후변동의 감시 및 이상기후의 조사 · 분석 • 기후자료의 통계 및 발간 • 공작실의 운영 새로운 성과책임 • 기상 및 기후정보의 질을 높인다. • 기후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 산업기상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인다 • 기후관련 기술을 발전시킨다. • 국 사업(운영)전략을 수립한다 • 유관기관과의 협력관계를 강화한다 • 부하직원을 지도·육성한다
직무평가(1) • 직무평가의 개념 • 각 직무가 가지는 상대적 가치를 결정 • 각 직무가 요구하는 능력과 공헌도의 차이에 따라 보상에 차별 • 직무평가 방법 • 비계량적 방법 • 직무 간 상대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평가(서열법, 분류법) • 계량적 방법 • 복잡성, 책임성 지식의 요구정도 등 구성요소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통해 직무를 평가(점수법, 요소비교법)
직무평가방법 • 서열법 • 직무 전체의 중요도, 난이도, 책임도 등을 고찰하고 각 직무의 상대가치를 비교하여 서열 결정 • 비용이 적게 들고 신속하며 간편한 방법이나 주관적 요인이 작용할 가능성 • 소규모 조직에 적합 • 분류법 • 서열법과 마찬가지로 직무 전체를 종합적으로 평가 • 사전에 정해 놓은 등급기준을 활용하여 직무를 평가 • 서열법에 비해 진일보한 방법이지만 각 등급의 기준을 명확하게 차별화하는데 어려움
직무평가방법-점수법 • 점수법 • 가장 활용도가 높은 방법으로 각 직무를 기초적인 요소의 척도에 따라 계량적으로 계측하는 방법 • 한국 정부 직무분석에 활용한 Hay 기법도 점수법에 해당 • Hay 기법 : 동일직무 동일보수( equal pay for equal work)'의 원칙에 따라 개발된 직무분석 및 평가기법 • 점수법 평가절차 • 평가요소와 하위평가요소의 선정 • 투입-전문적 노하우, 관리적 노하우, 대인관계 기술 • 과정- 사고의 환경, 사고의 도전도 • 산출- 행동의 자유도, 영향력의 크기, 영향력의 특성 • 각 평가요소와 하위평가요소의 가중치 결정 • 평가 및 점수의 산정 • 직무등급의 결정 • 점수법의 장단점 • 과학적이며 객관적으로 직무가치를 평가 • 각 요소에 대한 평가점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만족할 만한 입증이 곤란
과정 산출 Problem Solving Accountability 6.행동의 자유도 4.사고의 환경 5.사고의 도전도 7.영향력의 크기 8.영향력의 특성 직무평가예시-평가요소 기본 요소 투입 Know-How 1.전문적 노하우 하위 요소 2.관리적 노하우 3.대인관계 기술
직무평가예시-평가과정 직무값 C실장 상대적 비교 직무등급 상대적 비교 직무값 B국장 AC 산출 (Output) 직무등급 직무 분석 직무값 E4C 200 A과장 PS 과정 (Process) 직무등급 A과장 FH3 400 E4(43) 175 ( 9 )등급 1 2 3 4 5 6 7 투입 (Input) • 성과책임 KH • Chart의 어느 Level인가 • 타직무와의상대감 • 수치화 (15%∼30%단위) 775 (15%단위) 직무 평가표 • 성과책임의 점검 • 차별화요인의 확정 • 프로파일 체크 • 관련자료 • 성과책임매트릭스 • 기타 Job Profiling • 결과중시의 직무인가? • 사고중시의 직무인가?
직무평가예시-직무평가표 Sample
직무평가예시-평가결과(직무등급) 직무등급 직위명 9등급 00국장, 00국장, 00국장 8등급 00국장, 00국장, 00국장, 00국장, 00팀장 Sample 6등급 00팀장, 00팀장, 00관 00팀장, 00팀장 00팀장 5등급 00담당관, 00팀장 00사원, 00사원, 00과장, 00과장, 00과장, 00대장 4등급 00사원, 00사원, 00사원, 00사원
직무분석의 한계 • 급변하는 환경에 따라 직무의 성격이 수시로 변화하는 것에 대한 대응이 어려움 • 융통성 있는 인사관리가 어려움 • 조직 구성원들에게 조직의 목표와 관계없이 직무기술서에 기술되어 있는 미시적인 업무에만 집착하게 함 • 직무분석의 과학적 타당성에 대한 의구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