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 likes | 725 Views
한림대학교. 어음청력검사. 언어청각학부 황세미. 한림대학교. 1) 어음청력검사의 정의 2) 어음검사의 목적 WRS 와 SRT 의 PTA 예측. 한림대학교. 어음청취 역치 검사 어음 명료도 검사. 한림대학교. 어음청력검사로 얻을수있는 수치 어음청취역치 (speech reception or recognition threshold; SRT 어음강도 (PB50) PBHPL (half of peak level) 어음이해도 (speech discrimination score; SDS
E N D
한림대학교 어음청력검사 언어청각학부 황세미
한림대학교 • 1)어음청력검사의 정의 • 2)어음검사의 목적 WRS 와 SRT의 PTA 예측
한림대학교 • 어음청취 역치 검사 • 어음 명료도 검사
한림대학교 • 어음청력검사로 얻을수있는 수치 • 어음청취역치(speech reception or recognition threshold; SRT • 어음강도(PB50) • PBHPL(half of peak level) • 어음이해도(speech discrimination score; SDS • 최고명료도(PBmax)
한림대학교 • 4)어음 청력 검사의 자극음(SRT) 단음절 과 이음절 세음절 또는 네음절 단어
한림대학교 • 5)어음청력검사 자극음의 조건 • 동일음압단어 • 양양격 단어 • 난이도가 동일 • 각음소가 각표마다 동일한 비율 • 녹음된것을 사용하거나 검사자가 직접발성하는 육성 • 일상 생활과 친숙한 단어(familiarity) • 우리 나라 통일된 어음 검사표 부족
6)검사별 자극음 한림대학교 • SRT -이음절어(Sppondee) • 어음 인지 검사– • (PB word=(phonerically balanced word)
7)검사자극음의 사용방법 한림대학교 • 1)개방반응과 폐쇄반응 • 2)문장에 의한 단어변별검사 • 단점:문장에서는 의미를 추측하기가 쉬움
8)어음 청력 검사의 문제점 및 유의사항 한림대학교 • 검사자에 따라 차이가 있어 그 결과의 일관성이 떨어진다. • 동일한 순음청력 손실이 있어도 심한 사회적응능력의 장애를 유발 • 보청기 증폭의 가용범위가 좁아짐 • 종래의 PBword
한림대학교 *사회적응지수(social adequacy index: SAI) • 정상인은 SAI 94 이상이고 • 난청 부적합 상한 SAI 67 • 사회생활에 곤란 하한 SAI33 • 사회생활 불능은 SAI 10-15
8) SDT &SAI 한림대학교 • (speech dectection threshold) • (speech awaresness threshold • 순음청력도에서 가장 좋은 역치와 5dB내지는 10dB정도에서 일치 • 어음인지강도는 어음청취역치보다 약 10 ㏈ 정도 낮음
SRT 한림대학교 • Speech Reception Threshold) • 50%를 정확히 청취할수 있는 가장작은 어음강도 • 역치(PTA)와 -8내지 +6dB와 일치 해야한다.(Hopkinson,1978) • 어음청취역치보다 35-45dB높은강도로 어음을 청취
한림대학교 • 16)후미로성 난청 판별과 말림(roll-over phenomenon)현상: • 14)최대명료도치란: • 전음성난청에서는 어음청취 역치상 35-40dB의 어음 강도에서 최대명료도치를 얻을수 있다.
1)SRT(어음청취역치) Masking 한림대학교 • TE SRT와 NTE의SRT또는 PTAave(PTA평균역치) 또는 BCTave와45dB(IA)이상 차이날 때 NTE를 매스킹 한다. -> 어음에서의 IA는 약 45dB. • Min = TESRT - IA + NTE ABGave • Max = TEBCTave + IA • ML = 보통 TESRT - 20 + NTE ABGave
2)어음 명료도 (인지도) 차폐 한림대학교 • 어음에서의 IA값은 45dB • 거의 항상 매스킹 • TL = TESRT + 30 ~ 40 ->MCL • Min = TL - IA + NTE ABGave • Max = TEBCTave + IA • ML = TL - 20 + NTE ABGa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