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6

인권 침해 사례를 통해서 보는 미국 인권 법과 대응 방안 (1)

인권 침해 사례를 통해서 보는 미국 인권 법과 대응 방안 (1). 이윤모 ( 사회학 박사 ) 전 일리노이주 인권국 연구 . 기획 . 개발실장 Hansa Institute, Former President Diversity Solutions, Inc. Partner. 시카고 한인 문화회관 2012 년 9 월 특강. 기본권 - 인권 침해 사례들의 법적 유형. Subtle Discrimination: ( 은밀한 차별 ). 자신이 차별당한 일을 아는가 ?.

tobit
Download Presentation

인권 침해 사례를 통해서 보는 미국 인권 법과 대응 방안 (1)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인권 침해 사례를 통해서 보는 미국 인권 법과 대응 방안 (1) 이윤모 (사회학 박사) 전 일리노이주 인권국 연구.기획.개발실장 Hansa Institute, Former President Diversity Solutions, Inc. Partner 시카고 한인 문화회관 2012년 9월 특강

  2. 기본권-인권 침해 사례들의 법적 유형 Subtle Discrimination: (은밀한 차별) 자신이 차별당한 일을 아는가? • Did youeat a lot of Kimchi last evening? • May be in some other culture. • Did you understand what I said? • You always sneaking in after arriving late to work. • 직장에 새로 입사하여 근무를 시작하며 사무용품을 신청해서 배급 받은후에 회계 책임자가 와서“물건을 갈무리하지(hording) 말라”면서 도로 압수해간 일. • 휴가, 병가를 다녀왔는데 책상을 아예 치우거나 어피스를 외따른 별관 작은 방으로 옮겨 놓은 일.(이런 일은 백인 사이에도 연령차별 성차별로 발생한다.) • 기구의 재조직 때문이라면서 중역, 부사장 급 직위에서 돌연 일방적으로 해고 하는 일.

  3. 기본권-인권 침해 사례들의 법적 유형 Blatant Discrimination: (드러난 차별) • 1983년 노스브룩으로 이사한 나는 “차이니스냐, 너희 나라로 돌아가라”는 전화를 받았다. (The Civil Rights Act of 1968, Title III, Fair Housing Act, 1999 Hate Crimes Act) • 골프장에서 “Go back to Korea(너희 한국으로 돌아가라)” •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Title II - Public Accommodation; Illinois Human Rights Act, Public Accommodations; ADA (American Disabilities Act, 1990) • 한쪽 다리를 절단한 한인이 금속 공장에서 학대와 차별을 당해 주 인권국에 고발하도록 도운 케이스 (2000년대). •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Title VII, Illinois Human Rights Act, Public Accommodations; ADA (American Disabilities Act, 1990). • 학교에서 아이들 싸웠는데 “한국계 아이만 정학 당했다.” •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Title VI. Federal funding., The 1969 Federal Hate Crimes Law , ) • .

  4. 자신이 차별당한 일을 아는가? 자명한 차별인데도 주장하기 어려운 차별 • 주택 임대 차별: 작고하신 김에택, 염광섭, 정보라 박사 등이 유학생때 아파트 얻기가 어려웠다고 하셨다. 1960년대에도 그랬다고 한다. (연방 주택법 위반) • 고용 승진 차별: 1990년대에 대학의 한인 교수들(NWU, UIC, OH의 모 신학교등)이나 한인 고위직 공무원들이 승진과 중요회의에서 배제되며 책상을 치우거나 방을 옮기는 은밀한 차별을 당하는 일도 있었다. (연방 민권법 –평등고용조항 위반, 일리노이 인권법 위반) . • 고형석씨 살인혐의 피소 (Miranda warning , Miranda rights): • Bill of Rights (미국 헌법의 제 5, 6 수정 조항인 권리 장정 저촉 ) (- Fifth Amendment right against compelled self-incrimination/ • Sixth Amendment right to counsel) criminal suspects in police custody (or in a custodial interrogation) before they are interrogated. His subsequent voluntary statements can be used in court and police can continue to interact with (or question) him.

  5. ‘차별’이라는 단어의 도박성 긍정적 케이스들 • ‘서울가든’ 식당 개업을 위한 리커 라이선스 지연에 “차별 고발하겠다”한 마디로 글렌뷰 시청과 해결. • 크루즈 선박 식당에서 “차별 고발하겠다” 에 후한 대접. • 1990년 시카고 한.흑 갈등 타결과 푸드 배스켓 의례화. 부정적 케이스들 • 경찰서에 부도수표 신고하려다 집단 폭행당해. • 하수구 수리원에 차별 항의하다가 수리비 바가지. • 교통경찰과 시비하면 피해자 된다. (라드니 킹과 르스앤젤리스의 4.29폭동) 해결 미제 케이스들 (Fair Housing Act, Public Accommodations Law) • 샤핑몰 주차장 개조에 시 당국과 줄 당기기. • 상가 재개발 위한 철거 명령에 시 당국과 씨름.

  6. 재미 아시안 그룹 중에서 차별이 심각한 문제라는 비율은 한인이 24%로 가장높다 Pew Survey of Asian Americans, March 2012

  7. 1964년 제정된 민권법 첫 페이지 인권의 개념 정의와 민권법, 인권법, 관활권 범주

  8. 인권의 개념 정의와 범주 • 유엔 인권 헌장: 개인의 타고난 권리를 국적, 거주지, 성별, 민족 성분, 피부색, 종교, 언어, 기타 신분지위의 차별 없이 누리도록 보호한다. 유엔 인권 41 개 잇슈들을 포괄하여 특히개인을 권력의 탄압과 부당한 약탈로부터 보호함. (한국의 인권 개념도 유사) • 미국 연방 민권법: 시민의선거권, 주택권, 고용권, 안전 권리, 서비스기회 등에서 차별, 학대, 약탈당하지 않을 권리를 보호함. 유엔 헌장보다 범주는 좁게 평등시책, 즉 공공기관 및 개인에 의한 차별 제재와 예방 교육에 주력함. • 주 정부 인권법 및 지방 정부 조례:주민 전체를 상대로 연방 민권법 시행을 대리하며 추가로 주 인권법에 따라 특정 권리 침해를 제재-예방함. 연방 민권법보다 범주를 확대 시행하는 주도 있음. (다인종, 복합문화, 동성 선호 등에 더 민감하게 대응)

  9. 인권권 차별의 근거와 관활권 • 근거 (Basis) • 연방민권법 및 부수 법률들은 다음과 같은근거에서 차별을 금지한다. 인종, 피부색 ,종교, 민족, 조상, 국적 (고용문제), 연령(40 살 이상), 혼인상태, 가족 구성(주택), 체포기록, 신체 및 정신 장애, 성적취향(동성애), 군 복무 제대기록 등에 의한 차별을 금지한다. • 관할권 (Jurisdiction: 법규/소관 기구) • 연방 민권법 및 관계법들을 포괄적으로 시행하는 주 정부 인권국은 연방 평등고용청, 연방도시-주택개발부, 연방 법무부, 연방 노동부 와 협약 아래 연방법 집행을 각 주에서 대행한다. 동시에 주검찰총장을 비롯한 주 벙부 관서 및 주 내의 지방정부 (카운티, 시의 ) 인권위원회 및 민간 인권 기구들과 협조한다. • 일리노이 인권국 (IDHR)은 주 인권법이 규정하는 다음 5개 소관 영역을 집중적으로 조사, 대응하며 관련 기관들과 협조한다. 고용 차별, 부동산거래의차별, 금융 및 신용의 차별, 공공시설 서비스 활용의 차별 , 교육기관에서의 차별(성희롱)을 담당한다.

  10. 차별의 근거와 위반 잇슈 (일리노이 주 집행 ) • 고용차별: 채용 선발, 고용 조건 (예, 휴가)에, 고용기간, 승진, 보직 변경, 급여, 임기, 해고 등의 차별. ( 협약기관- U.S. EEOC: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DOL: U.S. Dept. of Labor) • 평등주택: 주택 및 상업용 부동산의 판매와임대과정의 차별. 거래의 기한, 조건, 자녀 있는 가족에 주택제공 거부, 장애인의 편의 주택/개축 거부, 자산 매각의 사기. ( 협약기관- HUD: U.S. Dept. Of Housing & Urban Development, Fair Housing Division) • 금융신용: 주에서 상업활동하는 금융기관의 담보, 금융 혹은 개인대출 및 신용카드의 차별. ( 협약기관- HUD, DOJ, IL Dept. of Professional Regulations ) • 공공 시설 서비스 : 공공 장소 및 시설 (식당, 음료 판매소, 숙박, 오락 시설, 정부 시설 포함), 대중 교통수단 등에서 판매, 소비, 서비스의 활용에 차별. ( 협약기관- DOJ: U.S. Dept. of Justice, Civil Rights Division) • 교육기관에서의 성희롱: 초급, 중고등학교, 기술학원, 대학 등 교육기관의 대행인들 (대학 총장, 고강, 교수, 교원, 조교, 행정직원 , 임시고용인 등이 학생에게 성적 , 장학금 등 혜택에 성관계 조건을 요구하는 행위. (유관기관- DOE: U.S. Dept. of Education, Civil Rights Division)

  11. Federal Laws Related to Civil RightsBill of Rights: Amendments to Constitution 연방 헌법 수정 조항중 인권 장정 First Amendment[Religion, Speech, Press, Assembly, Petition (1791) Second Amendment [Right to Bear Arms (1791) Third Amendment [Quartering of Troops (1791). No soldier shall, in time of peace be quartered in any house. Fourth Amendment[Search and Seizure (1791).(The right of the people to be secure in their persons, houses, papers, and effects, against unreasonable searches and seizures. Fifth Amendment[Grand Jury, Double Jeopardy, Self-Incrimination, Due Process (1791). No person shall be held to answer for a capital, or otherwise infamous crime, unless on a presentment or indictment of a grand jury. Sixth Amendment[Criminal Prosecutions - Jury Trial]. Right to Confront and to Counsel (1791)] In all criminal prosecutions, the accused shall enjoy the right to a speedy and public trial, by an impartial jury of the state and district wherein the crime shall have been committed. 고형석씨 살인 혐의 재판에 관련된 법문제는 5,6 조항

  12. Federal Laws Related to Civil RightsBill of Rights: Amendments to • Seventh Amendment [Common Law Suits - Jury Trial (1791)] (In suits at common law, where the value in controversy shall exceed twenty dollars, the right of trial by jury shall be preserved, and no fact tried by a jury, shall be otherwise reexamined in any court of the United States, than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common law. • Eighth Amendment [Excess Bail or Fines, Cruel and Unusual Punishment (1791)] Excessive bail shall not be required, nor excessive fines imposed, nor cruel and unusual punishments inflicted. • Ninth Amendment [Non-Enumerated Rights (1791)] The enumeration in the Constitution, of certain rights, shall not be construed to deny or disparage others retained by the people. • Tenth Amendment [Rights Reserved to States (1791)] The powers not delegated to the United States by the Constitution, nor prohibited by it to the states, are reserved to the states respectively, or to the people. • Total 27th Constitutional Amendments since effected Sept. 17, 1787 Source: Cornell Univ. Law School Web Site

  13. 1964년 민권법 이전 수정헌법의 인권조항 • Amendment 14: Civil rights. The Fourteenth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was adopted on July 9, 1868. • Section 1. All persons born or naturalized in the United States and subject to the jurisdiction thereof, are citizens of the United States and of the State wherein they reside. No State shall make or enforce any law which shall abridge the privileges or immunities of citizens of the United States; nor shall any State deprive any person of life, liberty, or property, without due process of law; nor deny to any person within its jurisdiction the equal protection of the laws. • OnJuly 26, 1948, Truman signs Executive Order 9981, which states, "It is hereby declared to be the policy of the President that there shall be equality of treatment and opportunity for all persons in the armed services without regard to race, color, religion, or national origin.”

  14. On December 1, 1955, in Montgomery, Alabama, Rosa Parks refused to obey bus driver James F. Blake's order that she give up her seat in the colored section to a white passenger, after the white section was filled. 미국 민권 운동 퍼스트 레이디: 로자 파악스 Parks' act of defiance and the Montgomery Bus Boycott became important symbols of the modern Civil Rights Movement. She became an international icon of resistance to racial segregation. She organized and collaborated with civil rights leaders, including Edgar Nixon, president of the local chapter of the NAACP; and Dr. Martin Luther King, Jr., a new minister in town who gained national prominence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U.S. Congress called "the first lady of civil rights", and "the mother of the freedom movement".

  15. 미국 민권운동의 상징 마틴 루터 킹 He led the 1955 Montgomery Bus Boycott and helped found the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SCLC) in 1957, serving as its first president. King's efforts led to the 1963 March on Washington, where King delivered his "I Have a Dream" speech. The boycott lasted 382 days. On December 21, 1956, after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had declared unconstitutional the laws requiring segregation on buses, Negroes and whites rode the buses as equals. He is best known for his role in the advancement of civil rights using nonviolent civil disobedience.[King has become a national icon in the history of modern American liberalism.

  16. 1964 년 미국 민권법의 제정과 발효 • Pres. Johnson , singing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17. Civil Rights Act 1964 (Titles I –IV) • Title I. Voting Rights Enacted in 1965, barred unequal application of voter registration requirements. directly addressed and eliminated most voting qualifications beyond citizenship. • Title II. Public Accommodations Outlawed discrimination based on race, color, religion or national origin in hotels, motels, restaurants, theaters, and all other public accommodations engaged in interstate commerce. • Title III. Public Facilities Prohibited state and municipal governments from denying access to public facilities on grounds of race, color, religion or national origin. • Title IV. School Desegregation Encouraged the desegregation of public schools and authorized the U.S. Attorney General to file suits to enforce said act.

  18. General This title declares it to be the policy of the United States that discrimination on the ground of race, color, or national origin shall not occur in connection with programs and activities receiving Federal financial assistance and authorizes and directs the appropriate Federal departments and agencies to take action to carry out this policy. This title is not intended to apply to foreign assistance programs. Section 601 – This section states the general principle that no person in the United States shall be excluded from participation in or otherwise discriminated against on the ground of race, color, or national origin under any program or activity receiving Federal financial assistance. Section 602 directs each Federal agency administering a program of Federal financial assistance by way of grant, contract, or loan to take action pursuant to rule, regulation, or order of general applicability to effectuate the principle of section 601 in a manner consistent with the achievement of the objectives of the statute authorizing the assistance. In seeking the effect compliance with its requirements imposed under this section, an agency is authorized to terminate or to refuse to grant or to continue assistance under a program to any recipient as to whom there has been an express finding pursuant to a hearing of a failure to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under that program, and it may also employ any other means authorized by law. However, each agency is directed first to seek compliance with its requirements by voluntary means. Section 603 provides that any agency action taken pursuant to section 602 shall be subject to such judicial review as would be available for similar actions by that agency on other grounds. Where the agency action consists of terminating or refusing to grant or to continue financial assistance because of a finding of a failure of the recipient to comply with the agency's requirements imposed under section 602, and the agency action would not otherwise be subject to judicial review under existing law, judicial review shall nevertheless be available to any person aggrieved as provided in section 10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5 U.S.C.§ 1009). The section also states explicitly that in the latter situation such agency action shall not be deemed committed to unreviewable agency discretion within the meaning of section 10. The purpose of this provision is to obviate the possible argument that although section 603 provides for review in accordance with section 10, section 10 itself has an exception for action "committed to agency discretion," which might otherwise be carried over into section 603. It is not the purpose of this provision of section 603, however, otherwise to alter the scope of judicial review as presently provided in section 10(e)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edit [edit] Title X Established the Community Relations Service, tasked with assisting in community disputes involving claims of discrimination. [edit] Title XI Title XI gives the Jury rights to put any proceeding for criminal contempt arising under title II, III, IV, V, VI, or VII of the Civil Rights Act, on trial, and if convicted, can be fined no more than $1,000 or imprisoned for more than six months. Civil Rights Act 1964 (Titles V – VII) • Title V. Civil Rights Commission Expanded the Civil Rights Commission established by the earlier Civil Rights Act of 1957 with additional powers, rules and procedures. • Title VI. Federal funding. Prevents discrimination by government agencies that receive federal funds. If an agency is found in violation of Title VI, that agency may lose its federal funding. • Title VII. Processing Employment Discrimination Complaints. Create EEOC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EEOC) as well as certain state fair employment enforce investigate, mediate, and may file lawsuits on behalf of employees.

  19. Civil Rights Act 1964 (Titles VIII) • Title VIII . Fair Housing Act. (1968) • The act prohibited discrimination in sale, rental, and financing of housing based on race, religion, national origin, (and since 1974, gender; since 1988, the act protect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families with children). • Redlining by financial institutions in deciding investment. • The acts also prohibited housing discrimination on the bases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 Title IX made it easier to move civil rights cases from state courts with segregationist judges and all-white juries to federal court. This was of crucial importance to civil rights activists who could not get a fair trial in state courts.

  20. Supplements to Equal Employment Act (Titles VII) Title VII also provides that an individual can bring a private lawsuit. An individual must file a complaint of discrimination with the EEOC within 180 days of learning of the discrimination or the individual may lose the right to file a lawsuit. Title VII only applies to employers who employ 15 or more employees. • In the late 1970s courts began holding that sexual harassment is also prohibited under the Act, that sexual harassment is sex discrimination and is prohibited by Title VII. Same-sex sexual harassment has also been held in a unanimous decision. • Title VII has been supplemented with legislation prohibiting pregnancy, age, and disability discrimination (See Pregnancy Discrimination Act of 1978, Age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ct of 1967,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of 1990). In 2012, the EEOC ruled that employment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gender identity or transgender status is prohibited under Title VII.

  21. Civil Rights Act 1964 (Titles IX) Title IX of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itle IX of the Education Amendments Act of 1972, which prohibits sex discrimination in federally-funded education programs and activities. • *Title II of the Genetic Information Nondiscrimination Act of 2008 (GINA), prohibit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genetic information with respect to health insurance and employment. took effect on November 21, 2009.

  22. 미국 인권법 집행 관.민 넷웍

  23. 한국에서는 대통령 이 임명하는 정부의 인권위원회가 포괄적으로 인권법을 집행하며 조사와 중재로 단시일에 타결을 보는 것과는 달리 미국에서는 연방 정부의 주요 관서들이 민권법 해당 조항 시행을 분담한다. 주정부와 지방 정부 단위에서도 연방 민권법에 상응하는 민권법/인권 조례, 시행규정을 별도 제정하여 실시하고 민간 기구들과 협조하는 체재를 갖추고 있다. • 주 정부 인권국/민권위원회(또는 대응 기구)는 자체 주법 을 시행하는 외에 연방 관서, 특히 연방 평등고용청, 연방 도시.주택 개발부, 연방 법무부, 연방 노동부 등과 협약 아래 연방법 집행을 각 주에서 대행한다. • 각급 정부 의 민권법 집행기관은 위반에 행정 처벌을 하는 권한을 갖는 외에 연방 민권법 및 관련법 위반 자들을 연방 법무부에 이관하거나 직접 연방 법원에 고발하여 처리한다. 미국의 인권법 집행 정부기관들의 기능분담

  24. 미국의 인권법 집행 주.지방정부기관들의 기능 • 주 정부 및 지방정부 (카운티, 시의 ) 인권위원회 및 민간 인권 기구들이 공조한다. • 주 검찰총장(Attorney General)은 인권법의 고용차별, 소비자보호법, 신용.프라이버시 보호법, 혐오범죄법 등을 조사하여 행정처리하거나 법원에 고발, 재판에 회부한다. • 카운티 단위에서는 검사장 (State Attorney)이 카운티 조례의 차별금지 조항을 조사하며 혐오범죄를 입건하여 위반자를 법원에 고발, 재판에 회부한다. • 시 단위 이하 (City, Village) 행정구에서 시/타운 인권위원회, 조례의 차별 고발을 받아 중재하며 악성 케이스를 주 인권국에 이첩하거나 법원에 고발한다. • 이 넷웍에서 주 정부 인권국은 주민들의 직접신고를 접수하며 자생단체들의 민권법 증진활동을 장려하는 쿼터 백 역할을 한다.

  25. 일리노이 주인권국(IDHR)의 소관사항 • 고용차별: 채용 선발, 고용 조건 (예, 휴가)에, 고용기간, 승진, 보직 변경, 급여, 임기, 해고 등의 차별. ( 협약기관- U.S. EEOC: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DOL: U.S. Dept. of Labor) • 평등주택: 주택 및 상업용 부동산의 판매와임대과정의 차별. 거래의 기한, 조건, 자녀 있는 가족에 주택제공 거부, 장애인의 편의 주택/개축 거부, 자산 매각의 사기. ( 협약기관- HUD: U.S. Dept. Of Housing & Urban Development, Fair Housing Division) • 금융신용: 주에서 상업활동하는 금융기관의 담보, 금융 혹은 개인대출 및 신용카드의 차별. ( 협약기관- HUD, DOJ, IL Dept. of Professional Regulations ) • 공공 시설 서비스 : 공공 장소 및 시설 (식당, 음료 판매소, 숙박, 오락 시설, 정부 시설 포함), 대중 교통수단 등에서 판매, 소비, 서비스의 활용에 차별. ( 협약기관- DOJ: U.S. Dept. of Justice, Civil Rights Division) • 교육기관에서의 성희롱: 초급, 중고등학교, 기술학원, 대학 등 교육기관의 대행인들 (대학 총장, 고강, 교수, 교원, 조교, 행정직원 , 임시고용인 등이 학생에게 성적 , 장학금 등 혜택에 성관계 조건을 요구하는 행위. ( (유관기관- DOE: U.S. Dept. of Education, Civil Rights Division)

  26. 관할권 (Jurisdiction: 법규/소관 기구) 연방민권위원회:U.S. Commission On Civil Rights • 연방 민권법 을 1964년 제정하기 이전인 1957년 연방 민권위원회가 창설됐다. 연방인권위원회는 민주.공화 양당을 초월하여 대통령이 임명하는 위원단으로서 민권 관계 사례 연구 보고서를 작성하며 인권 개선정책을 건의하는 기능을 갖는다. • 1964년 연방 민권법 제정 이후 의회는 연방 민권위원회가 존속하도록 를 수차에 걸쳐 입법을 개정했다. 그러나 인권침해 사례 조사권한이나 예산이 없기 때문에 현재는 전국을 수개의 지역관할구로 나누어 지역구 위원단을 두고 있으며 1년간 지역구 위원회 별로 한두 건의 보고서를 작성하는 정도로 거의 유명무실한 연방 기구이다.

  27. 연방 법무부 민권 국 U.S. Department of Justice Civil Rights Division • 법무부 민권국은 법무차관 급 소속 기관으로서 미국내의 모든 정부 관서나 민간 개인 및 단체들을 대상으로 민권법 전반의 집행을 감독, 수사하며 위반시 연방법원에 고발하여 처리하는 권한을 갖는다. 관련 조항에는 평등선거법, 평등고용법, 장애자법을 비롯하여 연방 기금을 활용하는교육기회, 고용, 신용, 주택, 공공시설 이용 등의 차별을 금지를 관장한다. • 또한 FBI 산하의 사법통계 국은 전국 범죄보고서 평준화법(Uniform Crime Reporting: UCR)에 의해 1만 4천5백여개 사법 기구(주로 경찰)들이 연례적으로 보고하는 범죄(혐오범죄 포함) 통계를 집계하여 공개한다.

  28. The UCR Program’s Hate Crime Statistics Program included 14,575 participating law enforcement agencies in 2011. These agencies provided 1 to 12 months of data about bias-motivated crime, and of those agencies, 1,944 (13.3 percent) reported 6,222 incidents. • The remaining 86.7 percent of agencies participating in the Hate Crime Statistics Program reported that no hate crimes occurred in their jurisdictions.

  29. ·연방 균등 고용위원회: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EEOC) • 균등 고용위원회는 대통령이 초당파적으로 임명하는 5인 위원회이며 그 위원장은 행정과 고용 차별 조사를 하는 막강한 권한과 예산을 집행한다. 위원장은 고용 차별 금지를 위한 정책 을 입안하여 시행하며 전국 주요 지 역별 지부를 두고 직접 고용차별 사례를 접수하여 조사하는 인력을 관리한다. 또한 주정부.지방 인권기관과도 계약하여 케이스당 보상을 지불하며 고용차별을 조사하여 해결하는 기능을 한다. • 이 컴미션 에는 대통령이 별도로 임 명하는 법무실장 (General Counsel)이 위원장의 법무를 보필하며 위법자(개인 및 대기어)들을 연방법원에 고발하여 처벌(대개는 벌금 부관)한가.

  30. ·연방 주택.도시개발부: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HUD) • 연방 주택.도시 개발부의 공평주택국 (Fair Housing Office: 차관급 관서)은 주택과 사업용 부동산의 임대 및 매매, 입주 조건에서 차별을 금지하는 조사, 교육, 홍보 사업을 관장한다. 이 부서는 연간 수십억 달러의 예산을 집행하며 연방 그랜트와 실적 보상금을 주정부 이하 인권기관 및 자생단체들의 조사와 홍보사업에 지원하여 주택차별을 단속한다. 주택청 자체는 전국 10대 지역 지부를 통해 직접 차별 고발을 접수하고 조사하며 주 정부 인권 기관의 협조 조사 결과를 근거로 주택차별 위법자들 연방법원에 이관하여 엄중한 벌금을 부과한다. • 연방법(Fair Housing Act) 및 대부분 주법(Human Rights Act)으로 금지하는 주택 차별의 근거는 인종, 피부색 , 출신국 배경, 종교, 성별, 심신장애, 가족 구성(자녀를 둔 가족), 성 지향(동성애) 등이다. • 연방 주택.도시개발부 의 공평주택 지원국 (Federal Housing Administration: FHA)은 평등주택법 보호대상자(극빈자, 노인, 심신장애자) 등을 위한 주택 건설비를 저리융자하며 임대비를 지원한다. 시카고에는 FHA 기금으로 한인 노인 아파트 2개 단지가 1980년대에 설립됐다.

  31. ·연방 노동부:U.S. Department of Labor • 2001년 설치된 장애자 취업보장국(Office of Disability Employment Policy: ODEP, 차관보급 관서)은 대학 졸업 심신장애자들이 취직에서 차별을 받지 않도록 전국적으로 감독하는 인력 수급 프로그램을 (Work- force Recruitment Program) 운영한다. • 연방 건설계약 준수 관리국(Office of Federal Contract Compliance Programs: OFCCP)은 연방 정부와의 건설 계약 사업체들의 평등 고용법 준수를 감시 한다. 고용 차별 계약업자에 대해서는 그 사업체의 인사관리실에 시정하도록 종용하며 불응시에는 연방 균등고용위원회로 고발한다. • 노동국의 민권 센터(Civil Rights Center: CRC)는 노동부 취직 지원자들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며 노동부 취업에 차별당했다는 고발을 조사하는 대외 시행부(Office of External Enforcement(OEE), 노동부 각 부서에서 평등 고용 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대내 부서(Office of Compliance Assistance and Planning :OCAP)가 있다. • 연방 노동부(U.S. Department of Labor)는 근로자들의 고용에서 일반적인 차별 외에도 법적 신분 미비자(비시민, 비영주권자)의 고용차별을 과거에는 규제하던 차관급 법무국 산하 민권실(Civil Rights Office: OCR)이 있었고 주업부와 협력했었으나 9.11 이후 폐지됐다.

  32. 연방 교육부(Department of Education: DOE) • 연방 교육부 민권실 (Office for Civil Rights)은 민권법을 시행함으로써 전국적으로 평등한 교육기회를 보장하고 교육제도와 기관의 민권문제점을 해결하여 탁월한 교육 환경을 증진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차별당하지 않도록 보호하며 학생들(학부모)로부터 학원의 인권침해 사례가 신고되면 조사하여 타결한다. 교육기관들이 자발적인 민권법 준수를 하도록 기술적 지원을 하며 교육기관의 민권법 준수계획을 심사한다. 특히 연방정부 기금을 수령하는교육기관에서 차별 사례에는 보조금 중단처리 등, 처벌을 한다.

  33. Civil Rights Network in U.S. • Federal Government Agencies ·Department of Education - Office for Civil Rights·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EEOC)·U.S. Department of Justice Civil Rights Division·U.S. Department of Labor·U.S. Department of Justice ADA Home Page·White House·U.S. Commission On Civil Rights State Agencies Municipal HR Commissions/ Committees Community Based Organizations Professional Organizations HR Units of Business Employers

  34. 파트 1, 2 끝 파트 3에 계속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