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likes | 608 Views
들어가기. 오늘의 목표. 주행장치. #2. 차량의 대차 (Bogie or Truck). #3. [ 스프링 ]. #4. 아나운서 : #2 주행장치는 일반적으로 #3 차량의 대차 (Bogie or Truck) 를 말하며 #4 차륜 , 차축 , 스프링 , #7 베어링 , 사이드프레임 , 볼스터 등으로 구성됩니다 . #4 에서 선형 , 또는 입체형으로 그려진 그림들이 등장해 원을 그리며 돌아가도록 함. 02_05. 학습하기. 1. 대차 > (2) 대차의 주요구성 부품. #1.
E N D
들어가기 오늘의 목표 주행장치 #2 차량의 대차(Bogie or Truck) #3 [스프링] #4 아나운서 : #2 주행장치는 일반적으로 #3 차량의 대차(Bogie or Truck)를 말하며 #4 차륜, 차축, 스프링, #7 베어링, 사이드프레임, 볼스터 등으로 구성됩니다. #4에서 선형, 또는 입체형으로 그려진 그림들이 등장해 원을 그리며 돌아가도록 함
02_05 • 학습하기 1. 대차> (2) 대차의 주요구성 부품 #1 [윤축(wheel and axle set)] 윤축 성우 : 이제 대차의 주요구성부품을 알아볼까요? #1 먼저 윤축은 #2 마주보는 2개의 바퀴와 #3 1개의 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동 체결을 위하여 #4 2개의 디스크가 차축에 결합되어 있습니다. #2에서 2개의 차륜 외형이 진하게 강조 #3에서 차축 외형이 진하게 강조 #4에서 2개의 디스크 외형이 진하게 강조
02_12 • 학습하기 2. 차륜, 차축 > (1) 차륜 ◆ 차륜의 각부 명칭 #1 #2 • 차륜의 구분 • 타이어 부분 • 타이어와 레일이 접촉하는 부분 : 답면 • Fillet : 곡선부분 • 3. Plate : 플레이트 부분(평편한 부분) • 4. Flange : 플랜지 부분 각부 명칭만 다음 장에 있습니다. 소경차륜의 장점, 문제점 및 대책 일체 차륜 #2 그림의 명칭은 마우스를 올리면 그림의 면이나 선이 강조되고 나타나도록 해주세요. 그림의 선이나 면의 위치는 다음 그림의 설명을 참조하세요. 성우 : #1 #2 차륜은 타이어 부분, Fillet(필렛) 부분, Plate(플레이트) 부분, Flange(플랜지) 부분으로 구분합니다. 차륜의 각부 명칭은 그림에 마우스를 올려 확인하세요.
02_13 • 학습하기 2. 차륜, 차축 > (2) 차축 ◆ 차축의 각부 명칭 #1 차축 차륜, 차축 조립도 #2 성우 : #1 차축의 각부 명칭은 그림에 마우스를 올려 확인하세요. 그림의 명칭은 마우스를 올리면 그림의 면이나 선이 강조되고 나타나도록 해주세요.
02_17 • 학습하기 3. 축상 및 축상조립장치> (4) 롤러 베어링의 종류 및 특징 #1 #2 원추형 롤러 베어링 구면형 롤러 베어링 #3 #4 원통형 롤러 베어링 R.C.T. 베어링 성우 :롤러 베어링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그 특징이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롤러 베어링에는 #1 원추형 롤러 베어링과 #2 구면형 롤러 베어링, #3 원통형 롤러 베어링, #4 R.C.T.(알씨티) 베어링이 있습니다. 그림에 설명내용 없이 그림만 있으면 됩니다.
02_18 • 학습하기 3. 축상 및 축상조립장치> (4) 롤러 베어링의 종류 및 특징 ◆ 베어링의 주요 치수 #1 치수가 안 적혀있네요. 기재해주세요. 그림상의 M,N,E….등의 이니셜은 무슨 뜻인지 몰라도 되나요? M,N,E는 치수를 표기하지 않고 치수대신 치환한 것임 치수는 중요하지 않고 첨가한 53번에 치수 덧붙였으니 수정바랍니다. 베어링 이상운전 상태 원인 및 대책 원통형 롤러 베어링 #2 성우 : #1 베이링의 주요 치수를 확인하세요. 그림의 각 번호에 마우스를 올리면 다음슬라이드의 그림이 나타나도록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