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likes | 184 Views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주요 과제. 한국경제와 지역경제의 현실. 1. 한국 경제의 이중구조 심화와 경기 양극화. 지역경제의 침체 가속. 주요 국민경제 지표. 수도권 대비 지방 현황 지표. 40.0. 145. 0.30. 30.0. 0.264. 0.25. 125. 20.0. 6.5%. 0.20. 10.0. 120.72. 105. 0.0. 5.4%. 0.15. -10.0. 85. 0.10. - 20.0. GDP 성장율. 65. 민간소비. - 30.0. 0.05. 국내투자 증가율.
E N D
한국경제와 지역경제의 현실 1 한국경제의 이중구조 심화와 경기 양극화 지역경제의 침체 가속 주요 국민경제 지표 수도권 대비 지방 현황 지표 40.0 145 0.30 30.0 0.264 0.25 125 20.0 6.5% 0.20 10.0 120.72 105 0.0 5.4% 0.15 -10.0 85 0.10 - 20.0 GDP성장율 65 민간소비 - 30.0 0.05 국내투자 증가율 - 40.0 55.51 45 0.0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 수출-내수, 대기업-중소기업, 제조업-서비스업간 생산성 격차확대 • 고용의 질 악화 및 영세서비스업의 침체 • 수출이 경제성장을 주도 (’03년 이후 GDP의 수출기여율이 80%이상) • 수도권과 지방간의 경제력 격차 확대 (GRDP지니계수 0.26, ‘02년 기준) • 수도권 대비 지방의 재정자립도 하락, 지방의 높은 어음부도율(수도권 0.06,지방 0.16, ‘04. 2/4분기) 기업 부도율 재정자립도 경제력(GRDP) 격차
경기침체의 원인진단 2 현상적 원인 근본적 원인 총요소생산성 변화 세계 주요국의 혁신역량 비교 (IMD, ‘04) 5 미국 캐나다 105 일본 프랑스 4 영국 한국 85 3.29 3 65 2 1.64 45 1 25 0.22 5 70년대 80년대 90년~03년 R&D인력 비중(*10) GDP대비 R&D비중(*10) GDP대비 교육지출(*10) 대학교육 산업기여도(*10) 산학협력활성화 정도(*10) 해외특허 (천$) • 내수부진 : 신용불량자 급증(368.5만명, ’04.8),비정규직 확대(56.2%, ’03.8), 조기퇴직자 증대 • 세계경제여건 악화 : 고유가 및 안보불안 (이라크전, 북핵문제 등) • 지난 반세기 동안 지속된 요소투입형 경제발전모델이 한계에 봉착 • R&D 생산성 저조 (R&D 지출 1% 증가시 장기균형경제성장률 0.16%p 증가, 미국은 2.75%p 증가)
3 요소투입형 성장전략의 성과와 한계 성과 한계 혁신주도형 성장전략으로의 대전환이 필요 지역혁신 •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전환 • 국민소득 80불(’61)에서 1만불(’95-’03)달성 • 경제발전 초·중기까지는 요소투입형 성장전략이 유효 • 후기로 갈수록 생산성 하락이라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작용하고 극심한 지역불균형 노정 • 생산성 하락 • 지역 불균형 혁신주도형 경제로 전환 균형발전전략으로 전환
4 혁신주도형 성장전략으로의 전환 혁신주도형 성장전략의 기본 모델 핵심과제 창의적 교육 / 인재양성 • 창의력과 상상력을 • 증진하는 교육 • 차세대 성장동력 • 분야 인재양성 • 맞춤형 인재양성 신산업 육성 / 기존산업 고도화 혁신클러스터 육성 산학협력 활성화 벤처기업/ 혁신기업 육성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 •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 5%에서+α를 추가할 수 있는 • 가장 강력한 내재적 동력은 산학협력 임
4 혁신주도형 성장전략으로의 전환 1. 산학협력 활성화 현황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혁신의 선순환 모델 구축 벤처창업 / 기술이전 기술평가 기술거래 연구개발 • 시장수요맞춤형 R&D • 산업별연구개발협의회 • (Sector R&D council) • 구축 –연구개발 정보와 • 시장정보의 교환 • 지역혁신협의회의 활용 • 기술평가모델 개발및 • 기법 보급 • 종합적 기술평가시스템 • 구축 –종합조정/관리 • 지식/기술의 상품화 • 촉진 • 기술시장 형성 (대학, • 연구소,산업,지역,전국) • 기술과 자본의 결합 •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 • 창업관련 규제개혁 및 • 창업 인센티브 강화 • 연구소 및 대학기반형 • 기업 창업 허용 • 기업의 기술수용능력 • 제고 ☞ UCSD Connect Program :대학의 명성과 신뢰 등 사회적 자본에 기초하여 기술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함으로써 기술거래 시장을 형성 • 산학협력 미흡 : 관계 부족, 신뢰 부족, 정보 부족, 역량부족 (4 부족) • 기업의 무관심과 노력 부족 • 연구개발의 사업화, 상업화 미흡 • 중소기업 등 기술수요자의 관심 및 흡수능력 취약
4 혁신주도형 성장전략으로의 전환 2. 혁신클러스터 육성 현황 산업단지 및 연구단지를 혁신 클러스터로 질적 전환 연구소 • 주문형 R&D • 기술의 상업화 촉진 • 인적교류, 기술교육 • 연구소 기업 설립 TLO • 기술수용성 증진 • R&D투자 확대 • 대학, 연구소와 교류 확대 • ㆍ지역인재 육성 • 주문형 R&D • 공동기자재 이용 • 기술지도, 기술교육 • 대학기업 설립 • 기술중개/중매기능 • 네트워킹, 정보교환 • (포럼),기술거래 촉진 대 학 기 업 산학협력단 • 산업단지: 생산기능 위주로 연구개발능력 부족 • 대덕연구단지: 연구기능 위조로 기술 상업화 부족 클러스터 육성지원조직
4 혁신주도형 성장전략으로의 전환 3. 벤처창업/혁신기업 육성 현황 주요 과제 • 전체 제조업체 중 R&D수행업체 수는 4,628개(’02년)로 4.2%에 불과 • 반면, 벤처기업의 기술력은 높음 (2,914개는 세계최고의 기술 수준 보유) • 신기술창업을 지원하는 벤처투자자금의 절대 부족 • 벤처 생태계에 대한 체계적 지원 ·관리 부족 • 기술평가 시스템 구축, 기술보증 등 기술거래시장 활성화 • 벤처 생태계 활성화 지원 (자금, 마케팅, 법률, 회계 등) • 퇴출 및 M&A시장 형성을 위한 법 ·제도적 지원 • 경쟁우위 있는 부문에 자원 집중
균형발전정책의 추진 5 국민소득 2만불 시대 조기 진입 • 지역혁신체계 구축 • 지역인재 양성 • 산학협력 활성화 • 혁신클러스터 육성 • 수도권 인구 안정화 • 삶의 질 향상 • 수도권의 경쟁력 증진 • 규제 개혁 • 신활력지역 발전 촉진 • 낙후지역 SOC 확충 • 지역개발사업 • 공공기관 지방이전 • (혁신도시 건설) • 지역전략산업 육성 • 지역특화발전특구 • 지정 및 활성화 혁신주도형 지역발전 신수도권 발전정책 혁신정책 균형정책 특화정책
향후 역점 과제 6 비전 재정립 수도권과 지방의 관계 • 유연한 분권형 국가의 건설 • 역동적인 다극분산형 사회 건설 •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발전, 공동번영 • 이를 위한 상생의 대타협, Big Deal 필요 • 적절한 행정수도 대안의 마련: 국민적 합의 도출 • 혁신도시의 건설 • 신수도권 발전 대책: 인구안정화, 삶의 질향상, 경쟁력 증진 • 강력한 지방분권 정책의 추진 4대 과제의 동시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