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0 likes | 1.51k Views
Ⅱ. 개성있는 원소. 2 주기적 성질 02. 원소의 주기적 성질. 최외각전자 ( 원자가 전자 ). 원자가 전자. 원자에서 화학결합 또는 반응에 참여하는 전자의 수. 최외각 전자. 최외각 전자껍질에 존재하는 전자의 수. 두 개념은 동일하지 않지만 지금 수준에서는 동일하게 다루어도 무방. 단 . 18 족 원소는 다름 ( 원자가 전자 : 0, 최외각 전자 : 8). 내 수업에서는 ‘ 원자가 전자 ’ 보다 ‘ 최외각 전자 ’ 로 설명할 것임. 최외각 전자. 최외각 전자.
E N D
Ⅱ. 개성있는 원소 2 주기적 성질 02. 원소의 주기적 성질
최외각전자(원자가 전자) 원자가 전자 원자에서 화학결합 또는 반응에 참여하는 전자의 수 최외각 전자 최외각 전자껍질에 존재하는 전자의 수 두 개념은 동일하지 않지만 지금 수준에서는 동일하게 다루어도 무방 단. 18족 원소는 다름 (원자가 전자: 0, 최외각 전자: 8) 내 수업에서는 ‘원자가 전자’보다 ‘최외각 전자’로 설명할 것임
최외각 전자 최외각 전자 최외각 전자껍질에 존재하는 전자의 수 1족 : 최외각 전자 1개 2족 : 최외각 전자 2개 13족 : 최외각 전자 3개 …. …. 17족 : 최외각 전자 7개
유효핵전하 유효핵전하 전자가 느끼는 원자핵의 전하 다른 전자들의 가리움에 의해 실제 원자핵의 전하보다 작게 나타남 유효핵전하에 의해 여러 가지 주기적 성질이 나타남
유효핵전하의 주기적 성질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가 +1 증가할 때 전자의 가리움 효과는 -1 증가하지 않는다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유효핵전하는 점점 증가함 같은 족에서는 대체로 유효핵전하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원자반지름 원자 반지름 원자의 경계가 모호함 핵간거리 원자반지름은 원자핵 거리의 절반으로 정함 원자반지름
원자반지름 원자핵과 전자는 서로 끌어당김 정전기적 인력 발생 정전기적 인력이 강할수록 원자 반지름은 짧아진다 +6 즉, 유효핵전하가 클수록 원자반지름은 작아짐
원자반지름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유효핵전하는 증가한다 유효핵전하가 증가할수록 +6 원자반지름은 작아진다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원자반지름은 작아진다
이온반지름 원자 : 양성자와 전자의 수가 동일하여 전기적으로 중성을 띤다 이온 : 원자가 전자를 얻거나 잃어서 전하를 띤 상태 원자들의 여러 가지 상태를 보았을 때, 안정한 이온 원자의 최외각 전자가 8개 될 때 안정화 됨을 발견함 옥텟규칙(팔전자 규칙)
이온반지름 1족 원소 금속 최외각전자 : 1개 전자를 7개 얻음 또는 전자 1개 잃음 전자 1개 잃으려는 경향을 나타냄 17족 원소 비금속 최외각전자 : 7개 전자를 1개 얻음 또는 전자 7개 잃음 전자 1개 얻으려는 경향을 나타냄
이온반지름 1족, 2족, … 등 금속 원소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면서 전자 껍질 수가 감소 전자의 가리움효과 감소로 최외각 전자의 유효핵전하 증가 원자반지름 > 이온반지름
이온반지름 16족, 17족, … 등 비금속 원소 전자를 얻고 음이온이 되면서 최외각 전자껍질에 전자가 채워짐 전자간 반발 증가 전자의 가리움효과 증가로 최외각 전자의 유효핵전하 감소 원자반지름 < 이온반지름
이온화 에너지 E 이온화 에너지 0 전자를 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원자 반지름 감소 유효핵전하 증가 핵-전자간 인력 증가 최외각 전자의 에너지 준위 감소 이온화 에너지 증가
이온화 에너지 E 이온화 에너지 0 전자를 때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같은 족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핵과 전자의 거리 증가 핵-전자간 인력 감소 최외각 전자의 에너지 준위 증가 이온화 에너지 감소
이온화 에너지 2족-13족 2족은 의전자가 때어짐 13족은의전자가 때어짐 보다높은 E준위의 전자가 때어지므로 13족의 이온화에너지가 더 낮다
이온화 에너지 15족-16족 15족의 전자는 짝지은 전자가 존재하지 않음 16족의 전자는 짝지은 전자가 존재하므로 전자간 반발이 증가하여 전자의 E준위가 높아짐
이온화 에너지 첫 번 째 전자를 때어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 제 1 이온화 에너지() 두 번 째 전자를 때어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 제 2 이온화 에너지() ……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 1족 최외각전자가1개 는 낮은 에너지 준위의 전자를 때어낼 때의 에너지이므로 보다 매우 크게 나타남 2족 최외각전자가2개 는 낮은 에너지 준위의 전자를 때어낼 때의 에너지이므로 보다 매우 크게 나타남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 4562 1 7733 2 11577 3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이용하여 최외각전자수를 찾을 수 있다
전자친화도 전자친화도 기체 상태의 원자가 전자1개를 받아들일 때, 방출하는 에너지 + → + E 반응을 거꾸로 쓰면 에서 전자 1개 때어낼 때 필요한 E가 된다 전자친화도를 ‘0차 이온화에너지’ 라고도 함 전자친화도는 일정한 주기적 성질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전기음성도 전기음성도 원자가 전자를 끌어당기는 능력 유효핵전하 두 요인을 같이 고려한 수치 핵-전자간 거리
전기음성도 같은 족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할 때 유효핵전하는 비슷하나 핵-전자간 거리가 멀어짐 전기음성도는 감소한다
전기음성도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할 때 유효핵전하가 증가하며, 그로 인해서 핵-전자간 거리또한 짧아짐 전기음성도는 증가한다
전기음성도 주기율표에서 오른쪽 위로 갈수록 전기음성도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주기율표에서 왼쪽 아래로 갈수록 전기음성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F의 전기음성도가 가장 크다
1족 원소의 반응성 최외각 전자가 1개로 전자 1개를 잃고 +1가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이 크다 전자를 쉽게 잃는다 전기음성도가 작다 금속의 반응성: 전자를 잃으려는 경향이 크다 전자를 잘 내놓을수록 금속의 반응성은 크다 1족 원소는 금속성이 큰 원소들이다
1족 원소의 반응성 1족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원자반지름이 증가 전기음성도가 감소 전자를 잃기 쉬워짐 1족 원소의 반응성이 증가한다
1족 원소의 반응성 1족 원소는 반응성이 큰 금속으로 공기 중에서 산소와 쉽게 반응 광택 광택이 사라짐 1족 원소는 물과도 매우 잘 반응하며, 물과 반응하면서 수소기체를 발생 염기성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붉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