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0 likes | 1.67k Views
응급상황 및 처치. 치과진료실에서의. 출혈원인. 혈소판수 부족 혈소판감소증 , 골수기능부전 혈소판기능장애 아스피린 복용 혈액응고장애 혈우병. 국소적 원인 염증성 육아조직 , 치조돌기 파절 , 혈관손상 , 연조직 손상. 예방. 사전에 출혈성 소인 여부 인지하고 수술 전 담당의에 의뢰 수술 중 혈관손상 시 지혈처치를 함. 지 혈. 혈관벽 손상후 혈관이 수축되고 혈소판이 모여서 혈관을 폐쇄하는 과정 혈액의 유츨을 막는 과정을 지혈이라고 함 1) 국소적 혈관수축
E N D
응급상황 및 처치 치과진료실에서의
출혈원인 • 혈소판수 부족 • 혈소판감소증, 골수기능부전 • 혈소판기능장애 • 아스피린 복용 • 혈액응고장애 • 혈우병 • 국소적 원인 • 염증성 육아조직, 치조돌기 파절, 혈관손상, 연조직 손상
예방 • 사전에 출혈성 소인여부 인지하고 수술 전 담당의에 의뢰 • 수술 중 혈관손상 시 지혈처치를 함
지혈 • 혈관벽 손상후 혈관이 수축되고 혈소판이 모여서 혈관을 폐쇄하는 과정 • 혈액의 유츨을 막는 과정을 지혈이라고 함 1) 국소적 혈관수축 • 혈소판에 유리된 세로토닌, (<-혈관수축제에 의해 일어남)
2) 혈소판 부착 후 혈전형성 • 혈관벽의 내피세포가 파괴되고 아교질이 노출 • 혈소판 마개를 형성하에 일차적 지혈 • 헤파린, 디쿠마롤 등은 혈소판 마개의 형성 억제
3) 혈액응고 기전 활성화 • 혈장단백질 프로트롬빈 트롬빈 • 크롬보플라스틴, Ca2+가 필요함 • fibrinogen fibrin • 트롬빈 필요 • 형성된 섬유소를 굳혀 고형화
발치창의 지혈방법 • 소독된 거즈를 방치창에물게한다 • 필요 시 국소지혈제 사용 • gelfoam, thrombin, bosmin, oxidized cellulose, surgicel, avitene
에피네프린이 함유된 국소마취제를 주사하고 출혈원인을 찾고 봉합한다 • 골내or 하치조관에서 출혈 시 bone wax 사용 • 전신지혈제는 신중하게 사용 • 급격한 출혈, 쇼크등이 관찰하면 응급처치 후 이송한다
개구장애( 아관긴급) • 저작근의 염증으로 근경련, 동통유발 • 수술 or 외상 후 발생 • 가벼운 운동과 소염진통제 투여 • diazepam(진정제) 투여 • 온찜질한다 • 감염 의심 시 항생제 투여 • 물리치료 병행
표재성 치조골염 ( alveolar osteitis ) • dry socket • 하악구치의발치 후 호발 • 발치창에 혈병이 용해되면서 발생
원인 • 발치 시 외상 • 감염 • 혈액공급 감소 • 전신건강 불량, 영양결핍 • 흡연 • 심한 구강세정 • 과량의 마취제 사용 • 피임제
증상 • 발치 후 3~4일 발생 • 지속적인 심한 동통, 괴사성냄새 • 발치와의 응고된 혈액이 괴사, 오염 • 치조골이 노출
처치 • 따뜻한 생리식염수, 과산화수소 세정 • 유지놀tampon 또는 nu-gauze을 발치창에 삽입 • 재소파술은 금지 • 상기 치료 반복 시 2~3주 후에 완치
술후 감염 ( postoperative infection ) • 감염으로 인한 염증반응 • 발적, 발열, 부종, 동통, 기능상실 • 개구장애, 연하곤란 • 호흡부전 • 감염원을 제거하고 절개 배농한다 ( I & D ) • 항생제를 투여하고 휴식, 수분-영양분 공급
치조골 골절 ( alveolar fracture ) • 발치 시 무리한 힘 작용 • 골수염, 낭종or 종양에 의해 악골 파괴 • 골강직, 백악질 과형성 치아 발치 시 • 골편이 움직이고 동통과 출혈발생
처치 • 골절부위를 정복, 고정한다 • 악간고정, palte and screw 고정, 강선고정
상악동 천공 • 상악동저와근첨과의 뼈 두께가 얇은 경우 • 상악동병변 • 병소 적출, 소파술 시 • 잔근치 발치
진단 및 예방 • 상악동 관통 • 시술부위로 혈액이 빠져나옴 • 비출혈 • 발치 전에 방사선학적 확인
처치 • 천공된 사실을 알리고 치료방법을 설명 • 무리하게 치근을 제거하지 않는다 • 봉합을 하고 지혈한다 ( 지혈제사용 X ) • 항생제 투여 • 심한 재채기를 하지 않도록한다
인접치아 탈구 • 발치와의 부적절한 적용 • 해부학적 치아조건 • 발치 전에 방사선학적 확인 • 골염, 골유착, 치근 모양, 크기, 위치 확인
처치 및 예후 • 올바른 발치기구 사용 • 탈구된 치아를 정복하고 고정한다 • 교합되지 않게 교합조절한다 • 약 6주간의 고정기간이 필요함 • 추후 생활력검사, 근관치료 등이 필요함
기종 • 핸드피스나 주사에 의해 조직내로 가스 or 공기가 들어가면 발생 • 외과적 수술 후 발생할 수 있음 • 종창 • 동통
처치 • 과도한 박리 금지 • 고압으로 공기를 조직 내로 분무하지 않음 • 휴식하고 항생제 복용 • 진통제 투여 • 산소공급 • 주의 깊은 관찰 필요
신경손상 • 안면마비 •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안면신경손상 • 혈종등으로 안면신경의 압박 • 외상 • 과도학 박리를 피함
증상 및 처치 • 표정이 부자연스럽고 • 움직임이 경직됨 • 침이 흐름 • 안구주위근 운동장애로 각막손상이 되지 않도록 상안검을 내림 • 인공누액, 안연고 도포 • 렌즈착용금지 • 직접적 신경손상 시 외과적 수술 요함
감각신경 손상 • 국소마취, 발치, 근관치료, 임플란트식립 시 하치조신경이 손상 • 과도한 피판박리 • 외과기구의 직접적 손상 • 파절된 치아나 임플란트식립체가 신경 압박
증상 및 치료 • 구순, 턱끝, 혀부위의 지각이상 • 객관적인 검사로 기록한다 • 방사선학적 확인 • 직접적인 손상이 아니면 자연 회복됨 • 직접적인 손상 시 외과적 수술 요함
이물질 흡인 • 치과치료 시 환자의 움직임과 의료진의 부주의로 기구 및 재료가 기도로 흡인 • 러버댐을 사용 • 급작스런 돌발행동 방지 • 삼킬 수 있는 기구는 치실로 묶어둔다
증상 • 구토, 호흡곤란 • 식도염, 식도열상 • 폐농양, 질식
처치 • 머리를 가슴아래로 내려서 이물질이 나올수 있게 함 • 기도흡인 시 기도를 확보하고 하임리히법 시행 • 기도확보가 어려운 경우 기관절개술 시행 • 방사선학적으로 확인하고 전문의에게 이송 • 기관지경으로 이물질 제거, 개흉술, 폐절제술 • 대변으로 배출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깊게 관찰
악관절 탈구 • 하악과두가하악와에서 이탈되어 자력으로 정상위치에 돌아갈 수 없는 상태 • 입을 정상범위 이상으로 벌릴 때 • 장시간 입을 벌리고 치료받는 경우 • 외상 • 입을 다물 수 없고 타액이 흐름 • 저작 및 연하곤란 • 발음장애
처치 • 비관혈적 처치 • 환자의 전방에서 환자의 하악체를 잡고 하방으로 당기면서 후상방으로하악와에 밀어 넣는다 • 정복 후 개구를 제한하고 1주일간 소염진통제 투여
관혈적 처치 • 비관혈적 처치 실패 or 재발성 탈구일 경우 • 악관절낭 봉합 • 관절결절 증가술 • 관절결절 젤제술
발치 시 치아의 전위 • 발치 중에 인접 간극으로 전이 • 상악지치, 하악대구치발시 시 호발
처치 • 발치를 중단하고 전이된 치아를 제거 • 흡인기로 흡인하여 제거 • 항생제 투여 • 2~4주 후 추후 발치 여부 판단
피하출혈 • 피판or 뼈의 과도한 외과처치 • 환자의 출혈성 소인 • 출혈성 소인을 제거하고 지혈 • 항생제를 투여
주사침 파절 • 너무 가는 주사침 사용 시 • 국소마취는 짧은 주사침, 전단마취는 긴 주사침을 사용 • 해부학적 위치 확인 • 주입 시 환자가 움직이지 않게 함 • 천천히 주사침을 주입하고 천천히 주입
처치 • 방사선학적 파절된 주사침의 위치 확인 • 국소 or 전신마취 • 주사침 주위로 절개 • 조직을 박리하면서 주사침을 확인하고 지혈겸자로 잡아 제거 • 항생제 투여
술후 동통 • 심인성 통증 • 정신적 불안상태에서 발생 • 주변치아의 우식증, 치근노출, 탈구치아, 뼈의 날카로운 부위 • dry socket • 수술 후 감염
처치 • 진정제 투여 • 원인제거 • 진통제 투여 • 마취가 풀리기 전에 미리 복용
연조직 손상 • blade 오용 시 • 절삭기구에 의한 손상 • 치료 시 환자의 급작스러운 움직임 • 연조직 손상 시 세척하고 국소마취 • 항생제 도포 • 괴사 조직을 제거하고 봉합한다
치아 탈구 • 탈구 시 빠른 시간 내에 발치와에재식립해야한다( 30분 이내 ) • 치근막 세포 손상 최소화 • 치아는 소독된 거즈에 우유나 생리식염수를 적신 거즈에 보관 • 아탈구일경우 발치와에 다시 정복한다
임플란트 시술시의 신경손상 • 통증 • 마취, 진정제 사용 • 출혈 • 망상골내 치조골 삭제 시 발생 • 임플란트fixcture가 식립되면줄어듬 • 필요한 경우 bone wax 사용 • 신경손상 • 하치조신경 손상 시 입술, 이부, 혀의 감각이상 유발 • 상악동 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