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9

200803110 이원종 200803148 조미애

왕도산성. 200803110 이원종 200803148 조미애. 목차. 01 풍납토성. 02 남산신성. 03 공 산 성. 04 수원 화 성. 05 낙안읍 성. 06 부소 산 성. 왕도산성 이란 ?. 왕도 ( 王都 ) : 왕궁이 있는 도시. 산성 ( 山城 ) : 산세를 따라 산에 쌓은 성. 왕도산성 이란 ?. 성곽 : 적의 습격에 대비하여 흙 , 돌로 구축한 방어시설의 총칭. 용도에 의한 분류 : 도성 , 산성 , 읍성 , 장성

Download Presentation

200803110 이원종 200803148 조미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왕도산성 200803110 이원종 200803148 조미애

  2. 목차 01 풍납토성 02 남산신성 03 공산성 04 수원화성 05 낙안읍성 06 부소산성

  3. 왕도산성이란? 왕도(王都): 왕궁이 있는 도시 산성(山城): 산세를 따라 산에 쌓은 성

  4. 왕도산성이란? 성곽 : 적의 습격에 대비하여 흙, 돌로 구축한 방어시설의 총칭 • 용도에 의한 분류 : 도성,산성,읍성,장성 • 재료, 구조에 의한 분류 • - 목책 • - 토성 (판축법/ 성토법 / 삭토법 ) • - 석성 (협축/ 내탁) • 형태에 의한 분류 • - 테뫼형 / 포곡형

  5. 01 풍납토성

  6. 풍납토성 황토색으로 길게 된 부분이 풍납토성.

  7. 풍납토성 • 사적 제 11호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판축토성 폭이 40m, 높이 9m에 이르는 동양 최대의 판축토성

  8. 한강변에 남아 있는 백제 초기의 유적이다. 원래는 둘레가 3.5km에 달하는 큰 규모의 토성이었으나 1925년 한강의 대홍수로 일부가 유실, 현재는 약 2,250m 가량이 남아 있다. 광주 풍납리 토성이란 이름은 1963년 사적으로 지정할 당시 이곳의 행정구역이 경기도 광주군 풍납리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풍납토성

  9. 풍납토성 왜 ? 1. 도성인 위례성? 2. 방어를 위한 방어성?

  10. 풍납토성

  11. 어떻게 ? 성벽은 돌이 없는 평야지대에서 성을 쌓는 방식으로 고운 모래를 한층 씩 다져 쌓았다 – 판축법 100만명의인원이 동원됨 풍납토성 • 맨 처음 성벽을 쌓을 때 흙을 시루떡처럼 다져쌓는판축법을 적용하고 다음으로 안팎의 표면에 강돌을 덮었던 흔적을 확인 • 두 차례에 걸쳐 성 안쪽으로만 성벽을 덧쌓은 것으로 드러남.

  12. 판축법 콘크리트와 같은 효과

  13. 풍납토성 언제? 국립문화재연구소)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3세기에 완성 했을 것으로 본다. 2000년 4월에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이 성이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3세기에 축성된 것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성벽 최하부까지는 아직 측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최초로 축성한 것은 최소한 기원전 2세기 이전으로 잡고 있다

  14. 풍납토성 풍납토성에서 백제가 수도로 삼았을 가능성은 있지만 백제가 축성한 것은 아니다. 누가? 학계에서는 풍납토성을 기원후 5세기까지 활달하게 사용되었다고 설명하려 하는데 풍납토성에서 발견되는 가장 오래된 부분은 백제의 연대에 맞지 않다. 이는백제가 초축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다. 그럼 누가? 풍납토성을 축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유력한 후보는 고조선의 준왕과 마한이 있다.

  15. 풍납토성

  16. 02 남산신성

  17. 신라의 유적이 많이 남아있는 경주의 ‘문화재 지도’이다. 경주 남산신성이 위치한 곳.

  18. 남산신성 사적 제22호로 지정 면적은 약 7.08km2

  19. 남산신성 진평왕 때는 고구려와 백제의 급박한 침입에 대처하고, 문무왕 때는 당나라와의 싸움에서 도성을 지키기 위한 요새였던 것 명활산성(明活山城), 서형산성(西兄山城)과 함께 신라의 서울인 경주를 지키는 중요한 산성이었다 왜 ? 남산에 있는 마애석가여래좌상

  20. 남산신성 어떻게 ? 남산신성의 성벽만 남은 모습. 포곡식산성

  21. 남산신성 • 동창지, 서창지, 중창지 등의 대규모 창고지가 남아 있다. • 이 외에도 병사지 2개소, 망루지, 문지 2개가 남아있다. • 축조에 관한 주요한 기록이 남아 있는 비석이 남아있다. • 남산신성비는 당시의 신라 사회상과 부역 동원체계 및 금석문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시사점 남산신성비

  22. 어떻게 ?

  23. 03 공산성

  24. 공산성

  25. 공산성 백제와 고구려와의 전쟁 때문에 개로왕이 죽고 위례성이 함락된다. 문주왕은급히 공주로 옮겨 수도를 웅진성이라 칭하고공산성을 지었다. 왜 ?

  26. 공산성 공산성의 모습

  27. 공산성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

  28. 공산성

  29. 공산성의 변천 백제 ~ 통일신라 인조 때

  30. 04 수원화성

  31. 수원화성

  32. 수원화성의 특징 : 옹성, 성문, 암문, 산대, 체성, 치성, 적대 , 포대, 봉수대 등을 모두 갖춤 한국 성곽 건축 기술을 집대성

  33. 수원화성

  34. 수원화성 화성 신도시 건설 왜 ? • 1.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좋은 터로 옮기기 위해 • 2. 왕권 강화를 위해 어떻게? • 성의 규모를 줄이는 대신 방어 시설을 가득 • 설치 • 31세의 젊은 다산 정약용에게 화성 공사계획을 • 맡김

  35. 수원화성 어떻게? 3. 화포에 대항하기 위하여 4. 벽돌의 사용

  36. 수원화성 어떻게? 5. 다양한 장비를 사용 : 거중기 ,유형거, 녹로 유형거 녹로

  37. 수원화성 축조의 시사점 1. 다양한 장비의 사용 및 개발 : 거중기, 유형로, 녹로 2. 화성성역의궤 : 화성 건설공사의 기획부터 완공까지의 전말을 빠짐없이 기록 : 부정과 부패를 막으려 했던 의지가 담김

  38. 05 낙안읍성

  39. 낙안읍성 • 사적 제30호 • 둘레 1,384m • 높이 4m • 너비 3~4m • 현재 성벽과 • 동, 서, 남문지, • 옹성 등이 남아 • 있다.

  40. 낙안읍성 • 읍성은 대개의 성곽이 산이나 해안에 축조되었는데 반해, 들 가운데 축조된 야성이다. • 성곽을 따라 동서남북 4개의 성문이 있었으나 북문은 호환(虎患)이 잦아 폐쇄하였다고 전하여 오고 있다. • 1983년 6월 14일 성과 마을(동내리, 남내리, 서내리)이 국내 최초로 함께 사적지(사적 제302호)로 지정 되었다.

  41. 낙안읍성 언제 ? 1. 조선 태조 6년(1397년) 왜구가 침입하자 이 고장 출신 양혜공(襄惠公)김빈길 장군이 의병을 일으켜 토성을 쌓고 왜구를 토벌하였다. 그 후 인조 4년(1626년 5월 ∼ 1628년 3월) 낙안 군수로 부임한 충민공(忠愍公)임경업(林慶業) 군수가 석성으로 개축하였다고 전해 오고 있다. 2. 그러나 조선왕조실록 세종편에 의하면 세종6년(1423) 전라도 관찰사의 장계 내용에 왕이 승낙하여 세종9년(1426) 되던 해에 석성으로 증축하기 시작하였다고 하는 이설이 있다. 세종9년(1426)에 석성으로 증축하기 시작 조선 태조 6년 (1397년) 1626년 5월에 석성으로 개축

  42. 낙안읍성 고려 후기에 왜구가 자주 침입하여 왜구를 방어할 목적으로 왜 ? 누가 ? 양혜공(襄惠公) 김빈길 장군이 의병을 일으키고 그후충민공(忠愍公) 임경업 (林慶業) 군수가 석성으로 개축하였다

  43. 낙안읍성 어떻게 ? 성벽은 성돌의 축조방법이 전형적인 조선초기의 읍성형식(邑城形式)을 취하고 있다. 성벽은 아래에서부터 위로 오르면서 석재가 차츰 작아지고 기울기를 주어 쌓았다. 안쪽에서 성벽 위로 오르는 계단 모양의 좁은 통로도 만들어져 있어 세종대에 새로 규정한 「축성신도(築城新圖)」의 규식과 매우 흡사한 것이다. 낙안읍성의 성벽

  44. 낙안읍성 옆의 지도는 광여도에 나오는 낙안군낙안읍성이다. 낙안읍성은 동,서,남문과 함께 사각형으로 형태를 이룬 읍성임을 알 수 있으며 읍성 안에는 아사와 창, 객사가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

  45. 낙안읍성의 가치 • 낙안읍성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선시대 지방계획도시로서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곳이다. • 현재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 등재를 신청하고 낙안읍성의 가치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전통적인 가옥과 옛 건물터가 남아있어 고풍을 간직한 가장 전형적인 고장으로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옛 고을의 기능과 전통적인 주거공간에서 생활하는 서민의 모습을 통해 오늘날에도 보고 느낄 수 있는 살아있는 전통문화로서,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

  46. 06 부소산성

  47. 부소산성

  48. 부소산성 용도는 ? • 도성을 방어 • 평상시에는 왕과 귀족들이 아름다운 경관을 즐기는 비원으로 활용

  49. 어떻게 ?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