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1

세계 식량 공급 추이

세계 식량 공급 추이. 20 세기 식량 증산 동력 1. 우수 품종의 육종 2. 화학공업의 발전 ( 비료 , 농약 ) 3. 기계화의 진전. 21 세기 식량수급 관련 요인. 1. 식량수요 세계인구증가 축산물소비증가 축산물생산효율 : 소 (-1/7) 돼지 (-1/4) 닭 (1/2.2) 2. 농지확장 '96-6.9 억 ha→2.030-7.0 억 ha 1 인당 경지면적 0.12ha→0.8ha 3. 농업용수 건조지역의 확대 지하수고갈 , 생활 - 산업용수 증대

tayte
Download Presentation

세계 식량 공급 추이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세계 식량 공급 추이 20세기 식량 증산 동력 1. 우수 품종의 육종 2. 화학공업의 발전 (비료, 농약) 3. 기계화의 진전

  2. 21세기 식량수급 관련 요인 1. 식량수요 세계인구증가 축산물소비증가 축산물생산효율 : 소(-1/7) 돼지(-1/4) 닭(1/2.2) 2. 농지확장 '96-6.9억ha→2.030-7.0억ha 1인당 경지면적 0.12ha→0.8ha 3. 농업용수 건조지역의 확대 지하수고갈, 생활-산업용수 증대 4. 토지생산성 지력저하, 염류집적 5. 작물생산능력향상

  3. 유전 : 어버이의 형질이 자손에 전달 ( 형질의 상속) 육종 : 유전의 법칙을 이용하여 인류에게 더욱 우수한 품종으로 개량

  4. 유전학의 성립 - 진화론 (종의기원) : C. Darwin (1882) 생물의 변이 → 자연선발(생존경쟁) cf. 용불용성 (Lamark) - 유전법칙의 발견 : Mendel (1865) - 유전법칙의 재발견 (1900) De Vries Tschermark Correns

  5. Mendel의 유전법칙 1. 우열의 법칙 유전자형 표현형 AA A Aa A aa a 2. 분리의 법칙 Aa × Aa → AA, Aa, Aa, aa 3. 독립의 법칙 각 유전자의 독립적 유전

  6. 유전과 유전현상

  7. 독립적 유전

  8. 혈액형의 유전

  9. 교잡육종의 과정 X 교배 F1, 잡종1세대 F1에서의 생식세포 재조합 유전자 (Random 조합) 후대에서의 고정 유전자형 ( F9이후의 순종, 동형접합)

  10. 품종 (Variety) 유전성 , 균질성 , 영속성 우량품종의 요건 다수성 , 양질성 , 안정성

  11. 육종의 방법 1. 순계 분리 육종법 2. 도입 육종법 3. 교잡육종법 (자식성 작물) 4. 잡종강세 육종법 5. 배수성 육종법 6. 돌연변이 육종법 7. Biotechnology

  12. 교잡육종법

  13. 인공교배

  14. 우리나라 벼 육종성과

  15. 잡종강세 (Heterosis) 다른 두 품종에서 생산된 잡종(F1)이 두 양친보다 우수(왕성)하게 나타나는 현상.

  16. 옥수수 F1 품종육성의 성과

  17. 잡종강세육종의 발전 • 잡종강세 : East ad Shull (1909 ) 우성유전자설 초우성설 유전자의 상호작용 • Double Cross : Jones (1919 ) (A×B) × (C×D) • 잡종종자의 생산 1. 인공제웅 2. 유전적 웅성불임 3. 자가불화합성 4. 농약에 의한 제웅(Gametocyte) 잡종강세육종의 성공 (종자생산비 경감) 1. 이중교잡(doubleCross), 자식열세의 개선 2. 웅성불임을 이용한 종자생산

  18. 돌연변이 육종법 돌연변이 : 새로운 유전형질(인자)의 출현. (염색체, 유전자) 자연돌연변이 인위돌연변이 방사선 : 선, 선, 선 화학물질 : EMS, MNU, 발암물질

  19. 돌연변이 육종의 성과

  20. 염색체수와 배수성 생물의 염색체수 = 2n = 2( s) Genome : 생명체로서의 초소 염색체 단위 2배체 : 2n = 2 (AA) 벼 , 사람 4배체 : 2n = 4 동질4배체 : AAAA (감자) 이질4배체 : AABB (담배) 6배체 : 2n = 6 AAAAAA (귀리) AABBDD (밀)

  21. 배수체식물의 작성

  22. Triticale의 육성

  23. Origins of 3 Brassica species by alloploidyNakaharu U(1935) B.cleracea(2n=18) (양배추, kale) B.carinata(2n=34) B. napus(2n=38) (인도겨자)(유체) B. nigra(2n=16) B.ampestris(2n=20) (갓,겨자)B. juncea(2n=36) (배추) (미국겨자)

  24. 씨 없는 수박 염색체 배가 → × → AAA 3배체 불임 AA AAAA AA Kihara H. (1952): Triploid Watermelons - The 1st Official Report Such work initiated in 1939 and commercially produced 10 years later

  25. 반수체 이용 육종 A(2n) × B(2n) F1(2n) 감수분열 화분(꽃가루) 조직배양 반수체식물(n) 콜히친처리 2n 순계

  26. Double Helix of DNA

  27. Gene expression DNA ® mRNA ® Protein(효소) ® 생리현상 형질전환 Tumer Inducing Plasmids (A) + DNA (cell) Gene Isolation (A) Recombinant DNA (A) (cell) Organism (A)

  28. 형질전환의 이용

  29. 유전공학의 이용 · 미생물 : 화학물질생산 신기능 미생물 · 식 물 : 대량증식, 무병식물생산 세포융합, 화학물질생산 형질전환(제초제저항성, 내병성, 내충성, 화학물질생산) · 동 물 : 인공수정 체외수정 조직재생산 복제동물생산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