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 likes | 560 Views
최근 유가 불안을 계기로 본 에너지 문제와 향후 전망. LG 경영인 포럼 2004 년 6 월 08 일 에너지경제연구원 류 지 철 jcryu@keei.re.kr. 차 례. 1. 최근 유가급등의 원인과 배경 2. 향후 전망과 3 차 오일쇼크 가능성 3.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 4. 중장기 에너지부문의 과제. 1. 최근 유가급등의 원인과 배경 국제유가 (Dubai) 변동 장기 추이. ($/bbl). 45 40 35 30 25 20 15 10 5 0.
E N D
최근 유가 불안을 계기로 본에너지 문제와 향후 전망 LG 경영인 포럼 2004년 6월 08일 에너지경제연구원 류 지 철 jcryu@keei.re.kr
차 례 • 1. 최근 유가급등의 원인과 배경 • 2. 향후 전망과 3차 오일쇼크 가능성 • 3.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 • 4. 중장기 에너지부문의 과제
1. 최근 유가급등의 원인과 배경국제유가(Dubai) 변동 장기 추이 ($/bbl) 45 40 35 30 25 20 15 10 5 0 80 82 84 86 88 90 92 94 96 98 00 02
현 세계 석유 시장 동향 • 석유 위기가 아닌 고유가 상황 • 실물시장 초과공급에도 불구하고 선물시장 초과수요 발생 • 선물시장 초과수요 원인: 중동지역 리스크 악화 + 수급요인 • 하반기 이후 유가는 점차 안정화될 전망
유가 급등의 주요 원인 - 1 수급 요인: 수요 증가 및 재고 감소 • 경기호조에 따른 석유수요 증가 • 세계 석유수요, ’99년 이후 최대 증가율(1.0%) • 중국, 고성장 여파 수입수요 급증 • 미국, 경기호조 영향 석유 수요 증가 • 상업용 석유재고 감소 • 미국 및 OECD 소비국 상업재고 감소 • OPEC의 감산 예고 시행 여부 • 상품선물시장에서 초과수요 발생
세계 석유소비 증감 추이 (만 B/D) 250 200 150 100 50 0 -50 1999 2000 2001 2002 2003 자료 : IEA, Oil Market Report
세계 석유수급 실적, 전망(실물시장에서 원유공급 충족)
유가 급등의 주요 원인 - 2 지정학적 요인 악화: Nymex, 초과수요의 주요인 • 이라크 정정불안 사태 확산 및 지속성 • 시아파 무장세력과 무력대치 상태 지속 • 외국인 등으로 테러범위의 확대 • 미군에 의한 포로학대 파문 확산 • 사우디, 합작석유회사 테러사건 여파 (5월 초) • 이스라엘의 하마스 지도자 암살의 여파 • 알카에다 테러 위협 지속 • 베네수엘라, 나이지리아 산유국 정정불안 요인 잔존
NYMEX, 국제유가 결정에 영향력 • 석유시장의 글로벌화와 IT 발달로 즉시 반영 • 수급통계 및 전망 발표 • 주요 산유/소비국 관계자 발언 • 생산/소비국 정책 및 대기업 전략 변화 • 투기거래자와 거래물량의 증가 • 주식, 채권, 상품시장에서 포트폴리오 구성 • 트레이딩 기법의 발달로 거래물량 급증 • NYMEX, 하루 거래물량 약 7억 Bbl(70만 contracts)
석유위기 아닌 고유가 상황 • 선물시장을 중심으로, 현 중동사태에 대한 비관적 평가와 전망이 유가의 추가 상승을 부추김 • 실물시장의 초과공급 상황과는 큰 괴리 존재 • 이라크 사태의 추가 악화 우려와 사우디 등 산유국 석유 인프라에 대한 추가테러의 우려는 상존 • 그러나 선물시장 투기거래자들의 석유위기에 대한 우려는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음 • 현재의 WTI $40 이상의 고유가 상황이 연말까지 이어지지는 못할 전망 • 실물시장에서의 공급차질로 이어지지 않는 한 유가급락 가능성도 공존.
2. 향후 전망과 3차 오일쇼크 가능성 • 역사적으로 오일쇼크는 공급물량의 실질적 감소를 동반
주요 산유국별 위험 요인들 • 이라크(산유량: 240만 b/d) • 민간정부 이양 이후 내전 등 혼란 가능성 • 사우디(산유량: 850만 b/d) • 사회적 불안 잠재, 친미정책으로 테러의 표적 가능성 • 베네수엘라(산유량: 280만 b/d) • 대통령 신임을 둘러싸고 정치적 갈등 • 나이지리아(산유량: 240만 b/d) • 종족분쟁 등
석유 공급, 점진적으로 확대 전망 • 이라크 석유산업 복구 이후 대규모 증산 전망 • 현재 240만 b/d에서 2010년 약 600만 b/d • 비OPEC, 신기술 통한 증산 및 유전 개발 노력 지속 • 원유가격 $15/B 이상에서 생산활동 지속 • 러시아, 중앙아시아, 서부 아프리카 등 • OPEC, 시장점유율 확보 경쟁 참여 가능성 높아 • 대부분 적자재정과 대규모 외채 어려움
장기적 석유수급의 주요 이슈 • 2020년까지 에너지원의 석유지배구도 유지 • 특히 수송부문 신기술 확산 제한적 전망 • OECD 석유수요 정체, 아시아 수요증가 주도 • 선진국, 수송부문 수요가 주도 • 중국 등 개도국은 전부문에서 소비 증가하면서 소비량 증가분의 약 50% 점유 • OPEC이 증가되는 석유 수요 대부분 공급 • OPEC, 생산능력 확대 필요 • 비OPEC, 카스피해, 서아프리카 해양유전 개발 기대
단기 연평균 유가(Dubai 기준) 전망(현 유가 상황은 고유가 시나리오 근접) • 기준안 : $29 - $31 • 지정학적 위험 완화, OPEC 적정 수준 감산 • 고유가 : $33 - $35 • 지정학적 위험 악화, 주요 산유국 생산 및 수출 제약 • 저유가 : $26 - $28 • 지정학적 위험 해소, 이라크 등 OPEC 주요 산유국 적정수준 산유량 유지
3. 유가 상승의 영향 우리나라 에너지 수급 • 한국의 에너지 위치(2002년) • 에너지소비 세계 10위 : 209.1백만TOE • 석유: 6위 (102.7백만TOE), 수입 4위 • 에너지수급구조의 취약성 • 해외 의존도: 97.3% • 석유 의존도: 49.1% • 원유 중동의존도: 73.4% • 에너지 다소비 산업구조 • 에너지원단위(TOE/천$)는 0.3으로 일본(0.09), 프랑스(0.15),영국(0.18) 등에 비하여 월등히 높음. • 에너지 수입 부담 • 총 수입중 에너지 비중 : 21.3% (380억 달러)
주요 산업별 생산량 변화율 비교(기준 유가: US$26, 2003년 Dubai 평균유가)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2004
주요 산업별 영향 • 석유화학:나프타 가격의 상승으로 제품가격 인상 및 채산 성 악화 • 자동차:직접적인 파급효과 보다 자동차 수요 감소에 따른 채산성 악화 • 섬유:화섬업계를 중심 원가상승 압력과 경쟁력 약화 요인 으로 작용 • 철강:자동차, 조선, 건설 등의 경기동향에 민감 • 정유:석유제품 가격의 연동으로 채산성 영향은 미미 • 음식료품, 일반기계, 도소매업:직접적 영향은 적음 • 반도체:유가 영향은 미미
4. 중장기 에너지부문의 과제 • 에너지 부문의 진화 요인 • 경제 성장 및 소득 증대 • 산업구조 변화 및 기술 발전 • 시장 및 사회 시스템의 능력 • 사회적 인식 및 주변 여건의 변화 • 에너지 정책의 기본 이념 • 국민 생활 보장과 국가경제의 영위 • 에너지의 공익성 확보 • 국가 경쟁력 기반 구축 • 불확실성에 신축적 대응 • 공급 안정성, 소비의 효율성, 산업의 생산성 등 추구 • 적합성 (Desirability),수용성 (Acceptability),타당성 (Feasibility) 확보
미래 여건 변화 • 에너지 욕구의 증대 • 고급화 추세: 전기, 가스 • 에너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 • 환경 및 기후변화협약, 에너지 설비 기피 현상 • 여건의 변화 • 지식 기반 경제-사회, 세계화 및 개방, 자유화 • 남북한 및 동북아 경제 협력 증대 • 국제 환경의 변화 • 석유시장의 불안정성 지속: 중국 석유수요 증가, 中東 석유의존도 상승 • 원자력 발전의 퇴보, 천연가스의 약진 • 새로운 기술의 보급 확대: Fuel Cell, 초미니 발전기기 및 가스 이용 기술
중장기 에너지 수요 전망 2001 2011 2020 석탄46 60 63 석유100 125 140 LNG 21 33 48 수력1 1 1 원자력28 44 52 신재생2 6 9 총에너지198 269 312 Unit: Million TOE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2003
에너지부문의 과제 • 에너지 안보기능의 강화 및 대외 지향적 정책 추진 • 국토의 에너지 설비 수용성 증대 • 해외 자원개발 시장에 진출, 에너지 안보 전략 강화 • 석유위기 관리능력 제고: 전략석유비축 능력의 확충 • 에너지 효율화 지속적 추진 • 에너지 소비의 안정화 및 에너지 탄소집약도 저감 • 지역 친화적 대체에너지 등 국산에너지 보급 활성화 • 에너지산업 및 시장의 효율성 제고 •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통합체계 추진 • 북한의 에너지문제 해결에 공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