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 likes | 449 Views
데이터 파일 열기 데이터 편집기 상에서 새로운 데이터 파일을 만들거나 , 혹은 기존의 파일을 불러올 수 있음 . 메뉴바에서 [ 파일 ( F )] 메뉴 중 [ 열기 ( O )] 를 통해 데이터 파일을 열 수 있음. 열기 아이콘을 사용하여 데이터 파일을 열 수 있음. 분석을 위해서는 . sav file 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나 때로는 HWP 나 Excel 에서 coding 작업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 이러한 경우에는 반드시 . txt file 로 저장해야만 SPSS 가 읽을 수 있다.
E N D
데이터 파일 열기 • 데이터 편집기 상에서 새로운 데이터 파일을 만들거나, 혹은 기존의 파일을 불러올 수 있음. • 메뉴바에서 [파일(F)] 메뉴 중 [열기(O)]를 통해 데이터 파일을 열 수 있음.
열기 아이콘을 사용하여 데이터 파일을 열 수 있음. 분석을 위해서는 .sav file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나 때로는 HWP나 Excel에서 coding작업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반드시 .txt file로 저장해야만 SPSS가 읽을 수 있다.
HWP에서의 자료 코딩의 예 HWP에서의 자료 저장 1 2 • 워드프로세서에서 데이터 코딩과 SPSS 10.0에서 데이터 파일 불러오기 • 일반적으로 데이터 파일을 SPSS데이터 편집기 상에서 만드는 것보다 HWP등과 같은 워드프로세서 상에서 코딩하여 텍스트문서 형태로 만드는 것이 보다 간편하기 때문에 이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음. • HWP프로그램 상에서 데이터 코딩을 하고 텍스트문서(.txt) 형태로 저장(텍스트 조합형이나 완성형 모두 가능).
HWP에서의 자료 저장 3 파일 형식 지정 파일 이름 입력
“텍스트 가져오기 마법사” 6 단계 중 1 단계 창이 나타나며, 다음을 통해 2 단계로 넘어간다. 1
“텍스트 가져오기 마법사” 6 단계 중 2 단계 창이 나타남. 2 • 변수배열을 묻는 질문 • HWP에서 데이터 코딩시 응답값들 사이에 쉼표나 탭으로 구분지은 경우 : [⊙ 구분자에 의한 배열(D)] 클릭. • 연속적으로 코딩을 한 경우(예와 같이) : [⊙ 고정너비로 배열(F)] 클릭(기본설정). • HWP에서 데이터 코딩시 변수명은 입력하지 않았으므로 변수이름이 파일의 처음에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 아니오]를 클릭(기본설정).
“텍스트 가져오기 마법사” 6 단계 중 3 단계 창이 나타남. 3 • 데이터 베이스의 첫 번째 케이스는 첫째 줄에서 시작하고, 1개의 줄이 한 케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정(기본설정). • 일반적으로, 처리의 편의를 위해 HWP에서 데이터 코딩시 용지설정이나 폰트설정 등을 통해 한 개의 케이스가 한 줄 내에 모두 코딩되도록 한다.
“텍스트 가져오기 마법사” 6 단계 중 4 단계 창이 나타남. 4 • 화면에 나타난 설명에 따라 변수구분선을 설정. • 변수를 구분하고자 하는 위치에 마우스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해당위치에 수직화살표가 생성됨. • 변수구분선의 위치를 변경하려면 해당 구분선을 마우스로 클릭한 채로 원하는 위치에 끌어당겨(drag) 옮기면 됨. • 변수구분선을 삭제하려면 해당 구분선을 마우스로 클릭한 채로 데이터 미리보기 상자 밖으로 끌어당기변 변수구분선이 삭제됨.
“텍스트 가져오기 마법사” 6 단계 중 5 단계 창이 나타남. “텍스트 가져오기 마법사” 6 단계 중 6 단계 창이 나타남. 5 6
첫 번째 변수가 소수점 두 자리까지 나타나 있는데, 이는 데이터 코딩시 첫 번째 변수를 001, 002, 의 형태로 코딩하였기 때문에 첫 번째 변수의 cell내에서 숫자가 차지하는 자리를 그만큼 많이 할당했기 때문이며, 만약 코딩시 1, 2, 의 형태로 코딩하였다면 첫 번째 변수는 소수점이 없는 정수로 나타나게 됨. • 이를 SPSS의 데이터(.sav) 파일로 저장. • 이외에도 Microsoft Excel을 이용하여 데이터 파일을 입력한 후 SPSS에서 불러와 분석에 이용할 수도 있음.
변수정의 SPSS 10.0에서는 데이터 편집기 창의 아래쪽에 있는 [변수보기] 기능을 이용하여 보다 쉽게 변수정의를 할 수 있음.
변수보기 변수의 이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영문이 경우 8자 이내, 한글의 경우 4자 이내로만 입력할 수 있음.
Cell 당 8자리가지 쓸 수 있으며, 소수점 이하 몇 째 자리까지 쓸 것인지는 사용자가 coding할 data의 최대 소수점 자릿수와 일치시키면 되며, 위에서는 숫자 8자리를 쓸 수 있으며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쓸 수 있다는 것이다. cf) 5.34 : 소수점도 한 자리로 인식: 모두 4 자리를 쓰고 있음. → 유형 다음에 있는 “자리수”와 “소수점이하자리”에 지정된 수치가 나타나게 되며,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 경우 “자리수”나 “소수점이하자리”를 클릭하면 버튼이 생성되며, 이를 눌러서 조정해 주면 됨.
변수에 대한 설명 입력 : 변수명에 입력글자수 제한으로 인하여 충분한 내용을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 변수설명 기능을 이용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을 나타낼 수 있음.
제품태도 자료 입력에 있어서 설문지 각 문항에 대하여 1~5로 응답하게 하고, 각 점수마다 “매우 나쁘다 ~매우 좋다”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 파일에 입력된 값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변수값에서 설정해 줄 수 있음. 입력한 후에는 반드시 “추가”버튼을 눌러야 한다.
데이터를 수집시 응답자들이 고의나 실수로 설문항목 일부에 대한 응답을 빠뜨리는 경우가 발생 → 테이터 코딩시 누락항목을 빈칸으로 처리하고 넘어갈 수도 있지만 이후에 응답에서 누락된 것인지, 혹은 코딩하면서 누락된 것인지를 혼동할 가능성이 있음 → 결측값을 통하여 누락항목에 대하여 특정 값을 주어서 이를 표시.
→ 결측값은 변수값에 없는 임의의 숫자를 설정하며, 보통 한 자리수의 응답일 경우 “9”로, 두 자리 수의 응답에 대해서는 “99”로 설정. • 동시 변수정의 • 여러 개의 변수들이 변수유형, 소수점 자리, 변수값 설정 등이 동일한 경우에는 일단 한 개의 변수를 정의 → 다른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변수에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음. • 변수보기에서 한 개의 변수(태도 a)를 정의한 후의 “값”의 셀을 클릭하여 선택. • 메뉴 중 편집(E) → 복사(C), 혹은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복사”를 선택. • 복사한 내용을 적용시키고자 하는 변수(태도 b)의 “값” 셀을 클릭하여 선택. • 메뉴 중 편집(E) → 붙여넣기(P), 혹은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붙여넣기”를 선택.
1 2 3
새로운 변수 만들기 • 하나의 변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설문항목을 이용하였다면, 각 항목들에 대한 응답치를 평균하여 하나의 변수(예를 들어, 태도)로 통합해야 하는 경우가 있음. • 이 경우, [변화(T)] 메뉴 중 [변수계산(C)] 기능을 이용하여 새로운 변수를 생성하여 이용하면됨. • 제 4 장에서 다시 설명.
분석 : 분석이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순서를 알아보면… • SPSS data file열기. • 메뉴 바에서 “분석(A)”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든 통계적 기법들이 바로 이 안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안에서 적절한 통계분석방법을 선택하고 setting을 해 주게 되면 원하는 통계적 결과물(output)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SPSS뷰어를 통해 그 결과를 보여주게 되는 것이다.
빈도분석 분석을 원하는 data를 변수로 보낸 후 옵션을 통해 원하는 분석을 설정하고 『확인』을 통해 SPSS output을 얻는다.
뷰어를 구성하는 두 개의 화면 중 왼쪽 화면은 통계분석결과(통계량) 및 도표들의 제목이며, 이 제목을 클릭하면 분석결과 내에서 해당되는 위치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음.
분석결과(SPSS output)의 편집 output의 표를 클릭하면 테두리가 생기며, 표의 제목을 변경하려면 표를 더블클릭하고, 제목을 더블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반전이 되며, 반전된 제목을 더블클릭하면, 편집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원하는 제목으로 고칠 수 있음.
도표 편집 표와 같이 그래프를 더블 클릭하면, 우측과 같은『도표편집기』 를 통해 도표를 편집할 수 있다. 도표의 색상, 도표의 유형, 글씨의 크기 및 종류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가로축과 세로축을 바꾸 어줄 수도 있음.
도표의 종류 바꾸기 : 메뉴 바에서 갤러리(G)를 선택하면 선택할 수 있는 도표의 종류가 나타나고, 이중에 하나를 선택하면,
도표에 제목을 붙이거나 바꾸기 위해서는 도표편집기 화면상의 메뉴에서 [도표(C)] 중 [제목(T)]를 클릭하여 제목명과 위치 등을 지정해 주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