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9

항공우주환경 - 항공우주의학이란 ? -

항공우주환경 - 항공우주의학이란 ? -. 이 용 호.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차 례. 1. 항공우주의학 (Aerospace Medicine) 이란 ? 2. 왜 항공우주의학을 배워야 하는가 ? 3. 항공우주의학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 4. 우리나라 항공우주의학의 현주소는 ? 5. 항공우주의학분야의 활동은 ? 6. 향후 항공우주의학분야의 전망은 ?. 교수소개. - 1977 년 연세의대 졸업 , 보건학 박사 , 항공우주의학 석사 예방의학 및 산업의학 전문의

tad
Download Presentation

항공우주환경 - 항공우주의학이란 ?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항공우주환경 - 항공우주의학이란? - 이 용 호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2. 차 례 1. 항공우주의학(Aerospace Medicine)이란? 2. 왜 항공우주의학을 배워야 하는가? 3. 항공우주의학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4. 우리나라 항공우주의학의 현주소는? 5. 항공우주의학분야의 활동은? 6.향후 항공우주의학분야의 전망은?

  3. 교수소개 - 1977년 연세의대 졸업, 보건학 박사, 항공우주의학 석사 예방의학 및 산업의학 전문의 - 1987년 연세의대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역임 - 2002년 인하의대 부교수, 교수 역임 ㈜ KAL 항공보건의료원장 역임 - 2002년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교학부장

  4. 항공우주의학의 정의는? ( I ) - 항공우주의학 관련분야의 과학적 전문지식과 훈련, 그리고 연구활동 등 학제적 접근을 통하여 고공과 우주공간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의 심신 안녕, 건강, 안전 및 능률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학문 ( Aerospace Medicine is the specialty that address the health aspects of environmental extremes in air and space. ) - 예방의학(Preventive Medicine) 및 산업의학(Occupational Medicine)의 유사점 / 차이점

  5. 항공우주의학의 정의는? ( II ) - 다학제적 접근(Multi-Disciplinary Approach): 항공 우주공학, 전자공학, 경영학, 안전공학, 산업심리학, 생리학, 법학, 기상학, Human Factor - 주제( Issues ) : 건강(Health), 안녕(Well-being), 안전(Safety), 능률(Performance) 유지(Maintenance), 증진(Promotion)

  6. 왜 항공우주의학을 배워야 하는가? ( I ) - 지구상의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 돌파구 지구상의 인류의 3대 위기 환경오염의 확대 인구폭발 자원의 고갈

  7. 왜 항공우주의학을 배워야 하는가? ( II ) • - 기구(Air Balooning), 항공기(Aircraft) 및 우주왕복선 • (Space Shuttle)의 발달과정 ( I ) • 1782년 Montgolfier,s brother:기구비행의 최초 무인비행 성공(프랑스) • 1783년 Pilatre De Rozier: 세계 최초 유인 기구비행 성공(프랑스) • 1784년 Edward Warren: 미국 최초 기구비행 성공 • 1903년 Wright brothers: 세계 최초 동력비행 성공 • 1957년 무인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성공(구 소련)

  8. 왜 항공우주의학을 배워야 하는가? ( III ) • - 기구(Air Balooning), 항공기(Aircraft) 및 우주왕복선 • (Space Shuttle)의 발달과정 ( II ) • 1961년 유인 인공위성 보스토크 1호: Yuri Gagarin 소령이 • 세계 최초로 1시간 48분간 지구 궤도비행 성공 • 1962년 유인 인공위성 머큐리 프리덤 7호: John H. Glenn Jr. • 중령이 4시간55분23초 궤도비행 성공 • 1969년 세계최초로 달 착륙: 미 아폴로 11호 • 우주왕복선(1981) => 국제우주정거장(ISS)건설

  9. 왜 항공우주의학을 배워야 하는가? ( IV ) - 항공우주환경( Aerospace Environment)의 특징 • 대기(Atmosphere)의 물리적 특성: 대기권 • 대기압(Atmospheric Pressure):PSI, mmHg • 가스의 법칙(Gas’s Law):보일,샬,달톤,헨리등

  10. 왜 항공우주의학을 배워야 하는가? ( V ) - 인간의 항공우주여행 수요의 증가 • 연간 15억 명 항공기 여행 (한번이라도) • 평균 수명의 증가 • 평균근로소득의 증가 • 항공기의 현대화

  11. 왜 항공우주의학을 배워야 하는가? ( VI ) - 항공우주생리(Aerospace Physiology)의 이해 • 변압증(Dysbrism) • 저산소증(Hypoxia) • 과호흡증(Hyperventilation Syndrome) • Rapid Decompression Syndrome • 가스교환(Gases Exchange)

  12. 왜 항공우주의학을 배워야 하는가? ( VII ) - 병약승객(Invalid Passengers) • 더 나은 치료시설로 이동 • 지병승객의 항공기내 발작 • 항공여행 적부 판단 • 기내 응급처리 대응책 • 기내 의료장비 응용 증가

  13. 항공우주의학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 I ) • 항공우주환경 • 항공기 및 우주선 내 환경 • 항공기 조종사 및 우주 조종사 선발, 훈련, • 교육시 참여 • 환자승객이 항공 여행에 따른 사전 평가 • 항공기사고조사에 구조, 후송, 신원확인 등 • 조종사 및 우주비행사의 건강관리

  14. 항공우주의학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 II ) • 조종사의 항공신체적성 평가 • 조종사의 건강 유지 증진 활동 • 임상 항공우주의학 • 국제항공우주의학 분야의 학술적 교류 • 조종사와의 관계(래포) 형성 • 항공우주의학의 연구 • 항공우주인적요인 분야 연구

  15. 우리나라 항공우주의학의 현주소는? (I) • 1948년 정부 수립 시 육군항공사령부 의무처 창설 • (초대처장 : 장덕승 대위) • 1949년 10월 1일 육군으로부터 독립 공군의 창설 및 • 공군병원 개원(초대원장:장덕승 중령) • 1950년 공군본부 의무감실 개설(초대 의무감:장덕승 대령) • 및 현재 항공의료원 운영 • 1968년 대한민국항공공사(KNA)내 항공보건관리실 창설 • (초대 실장:계원철 박사) • 1969년 민영화 ㈜대한항공 출범(항공보건관리실 존속) • =>현재 항공보건의료원으로 확대 운영

  16. 우리나라 항공우주의학의 현주소는? (II) • 1975년 김포국제공항 의무실 개원 (연세의료원 위탁 운영) • => 현재 국립의료원김포분원 운영 • 1989년 한국항공우주의학협회 창설 • 1991년 한국항공우주의학회 창설 • 1995년 ㈜아시아나 항공 창립 • (항공의료실 => 현 항공의료팀 운영) • 1997년 인하대병원 항공산업의학센터 설립 • (소장:이용호 교수) • 2001년 인하대병원 인천 국제공항의료센터 운영 • (원장:이용호 교수)

  17. 항공우주의학 분야의 활동은? • 대학에서의 학생교육 및 연구 • 현장에서의 항공우주의학적 실무 적용 • 국내외 항공우주의학 관련 분야의 학술교류 • 대 정부 항공의료정책의 참여 • 편안한 항공여행의 안내 및 홍보 • 항공신체검사전문의사제도 운영 • 한국항공우주의학협회 및 학회 활동

  18. 향후 항공우주의학분야의 전망은? ( I ) • 항공수요의 증가 • 항공기의 현대화 지속(초음속기 개발 등) • 우주여행에 대한 기대 • 항공산업의 인력(공중 및 지상 근무자)의 증가 • 국내 공항의 규모 증대(5개 국제공항)

  19. 향후 항공우주의학분야의 전망은? ( II ) • 병약승객의 항공호송 규모 증대 • 기내 응급환자 발생 및 대응책 강구 • 항공기 사고처리 사전 준비책 강구 • 국내외 항공우주의학분야와의 공동연구 모색 • 우리나라 항공안전본부 신설(2002년도)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