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 likes | 640 Views
녹색 새만금 비전 달성을 위한. 새만금 사업 환경관리대책. 2010. 5. 20. 환 경 부 새만금환경 T/F 팀. 순서. 1. 새만금 사업 개요. 2. 내부개발 구상 및 생태 · 환경용지 조성 방향. 3. 녹색 새만금의 비전 및 실천전략. 4. 추진체계. 1. 새만금 사업 개요. 새만금 사업 개요. ▶ 군산 ~ 부안간 방조제 33km 를 축조 , 28,300ha 의 토지를 매립하여 동북아 경제중심지로 개발 하는 사업
E N D
녹색 새만금 비전 달성을 위한 새만금 사업 환경관리대책 2010. 5. 20 환 경 부 새만금환경T/F팀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순서 1 새만금 사업 개요 2 내부개발 구상 및 생태·환경용지 조성 방향 3 녹색 새만금의 비전 및 실천전략 4 추진체계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1. 새만금 사업 개요 새만금 사업 개요 ▶ 군산~부안간 방조제 33km를 축조, 28,300ha의 토지를 매립하여 동북아 경제중심지로 개발하는 사업 *’08.10 기본구상 변경(안) : 농지비율을 7030%로 축소, 다목적 복합개발로 전환 ▶’10.3월 현재 경제자유구역 산업용지 (18.7㎢)와 다기능부지(2㎢) 매립 시행중 추진 경위 ▶ ’91.11.28 방조제 사업 착공 ▶ ’06. 4.21 방조제 물막이 공사 완료 ▶ ’07. 4. 3 새만금 내부토지개발 기본구상 수립 ▶ ’07.12.27 ‘새만금 사업 촉진을 위한 특별법’제정 ▶ ’08.10.21 새만금 내부토지개발 기본구상 변경(안) 국무회의 의결 ▶ ’10. 1.28 새만금 내부토지개발 기본구상 및 종합실천계획 확정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새만금 사업지역의 규모 면적 401㎢ = 육지부 283㎢ + 수면부 118㎢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새만금의 모델도시들 – AMSTERDAM, NETHERLANDS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새만금의 모델도시들 – VENICE, ITALY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새만금의 모델도시들 – BARCELONA, SPAIN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새만금 명품복합도시 조감도(세계수준의 녹색청정도시)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2. 내부개발 구상: 사업 비전 및 추진전략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2-1. 내부개발 구상: 용도별 공간배치(안) ▶ 동북아 경제중심지로서 역할수행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8가지 용도로 지정·개발 ▶ 2020년까지 1단계 개발(총면적의 71.4%), 2021년 이후 수요에 따라 2단계 개발 ※8대 용지 ①산업용지 ②관광·레저용지 ③국제업무용지 ④생태·환경용지 ⑤과학·연구용지 ⑥신·재생에너지용지 ⑦농업용지 ⑧도시용지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새만금 용지별 개발전략 (8대 용지)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새만금 토지이용계획도(안)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단계별 개발 진행도(안)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2-2. 생태환경용지 조성방향 개 요 비전 & 전략 주관부처 주요 생태환경용지 5,021ha(84.4%) → 환경부 농업용지에 접한 생태환경용지929ha(15.6%) → 농식품부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 생태환경용지 조성사업 추진절차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 생태환경용지 투자계획 • 사업기간 : 2011~2035년 • 매립규모 : 총 5,021 ha 중 2,359 ha 매립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3. 녹색 새만금의 비전 및 실천전략 비전: 청정한 물과 자연, 사람이 어우러진 환경 4대 실천전략: 내부 토지개발에 저탄소·녹색성장 전략 최우선 적용 ① 깨끗한 물: 농업용수 수준 적극적 친수 활동이 가능한 수준으로 수질목표 상향 조정 ② 탄소제로 녹색개발 전략 실천 ③ 사업지구내 환경부하 최소화(신재생 에너지 + 자원 리사이클링) ④ 세계 최고 수준의 녹색 생태환경 구현 수질관리 및 생태환경용지 주관부처를 환경부로 일원화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1) 실천전략 1: 강과 호소, 해양을 잇는 깨끗한 물 확보 새만금호 호소 수질현황 (2001-2009) 최근 2~3년간 호소수질 2 ~3등급 유지, 방조제 물막이 (’06.4) 후 오염도 약간 증가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1) 실천전략 1: 강과 호소, 해양을 잇는 깨끗한 물 확보 ·향후 10년간(11~20) 새만금 총사업비의 14.4%(2.99조원)를 수질개선에 투자 ·수질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강-호소-해양 통합모니터링 체계 구축 ·향후 10년간 추진할 제2단계 새만금 수질보전대책 세부 마스터플랜 수립(금년 말) • ▶BOD 배출량 • 축산계 44% • 산업계 29% • 생활계 17% • ▶상류대책 (2조6,145억원) • 하수처리장 • 하수관거 • 마을하수도 • 축산분뇨시설 •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CSOs)등 • ▶호내대책 (2,700억원) • 호소 유입부 침전지 등 • 호소내부 수질정화 습지 등 • ▶해양대책 (1,060억원) • 해양모니터링, 적조방제 등 • ▶수질현황(’09) • 만경강 Ⅳ등급 • 동진강 Ⅲ등급 • 호내 Ⅰb ~Ⅱ등급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수질보전을 위한 세부투자계획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제1단계 수질보전대책(2001-2010) 2001~2010년간 총 1조 4,780억원, 하폐수 처리시설 확충에 집중 투자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새만금호 목표수질 설정방안 ▶ 10.1.29 내부개발 기본구상 및 종합실천계획상의 목표 구체화 - 적극적 친수활동 (다양한 수상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수준)이 가능한 수준 ▶ 새만금호의 수질환경 관리기준이며 수질관리투자의 목표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제2단계 수질보전대책 (2011~2020) 수립 추진 ▶ 제1단계(01~10) 수질보전대책 성과 평가 및 반영 ▶내부개발 계획 변경에 따른 토지이용 및 오염원 변화, 상향 조정된 목표수질 고려 주요내용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새만금유역 수질 모니터링 체계 개편 ▶호소내 기존 모니터링 체계 개편, 주관기관 일원화, 측정지점 추가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2) 실천전략 2: Carbon-Free 녹색개발기법도입 ① 온실가스 배출량 결정요소인 활동량, 에너지소비원단위 등을 감축시키기 위한 도시설계 및 배치기법 적용 ② 녹지, 수변 및 오픈스페이스 등을 활용한 다양한 도시설계로 CO2흡수량을증가시키고 열섬효과 예방, 바람통로 확보 등 도모 ③ 녹색교통 체계 및 교통수단 도입 - 대중교통중심 도시설계 - 친환경 버스운영 -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 구축 등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3) 실천전략 3: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는 에너지·자원관리 ① 새만금 지역이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확산의 전초기지가 될 수 있도록 건물, 주택 등에 대한 신재생 에너지 도입을 적극 추진 예시 1: 그린홈 모델하우스 예시 2: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BIPV) ② 신재생 에너지 생산단지 조성 - 바이오 에너지 원료단지, 풍력발전 시범단지 등 ③ 에너지 및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 -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조성, 재이용 하수처리시설 및 물순환 시스템 구축 등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4) 실천전략 4: 자연·인간이 어우러진 녹색생태도시 조성 ① 수변림 등을 통해 만경·동진강에서 이어지는 생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생태환경용지를 활용하여 자연과 접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생태 네트워크 가이드라인(안)> - 새만금 전체 관통 광역 축 제시: 산림녹지축, 수변습지축, 연안갯벌축 - 토지용도별 적정 생태공간 종류 및 설정방법 제시 등 ②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진 녹색 생태공간 조성 - 개별 용지에 대해 일정면적 이상(약 40%) 을 공원·녹지·친수공간 등으로 조성 ◀ 인공호안 자연형 호안 ▶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4. 추진체계 새만금위원회 새만금 사업의 최고 의사결정기구(국무총리+민간 공동위원장) 새만금사업추진기획단 (국무총리실 설치) 새만금 사업에 관한 사업주관부처 역할 조정 사업주관부처) 새만금 사업 개발계획 수립 및 추진 새만금환경 T/F 팀 새만금 개발사업 관련 환경대책 총괄 (협조: 국립환경과학원, 전주청 새만금유역관리단, 환경정책평가연구원)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
감 사 합 니 다 Land of the future “Saemang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