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632 Views
의료정보의 표준화. 07606055 이정훈 07606056 한빛나 07606058 최선영. 의료정보 표준화의 필요성과 정의. 표준화 필요성 표준화된 환자의 정보를 진료현장에서 의사에게 제공 진단 및 처방 시 의사결정을 지원 표준화된 정보의 활용에 따른 정보처리 및 관리비용 절감 환자들이 자신의 표준화 된 의료정보를 열람 시 내용 쉽게 이해 표준화된 평생건강기록에 의한 개인의 건강관리 , 공중보건관리 , 정책분석 등 가능
E N D
의료정보의 표준화 07606055 이정훈 07606056 한빛나 07606058 최선영
의료정보 표준화의 필요성과 정의 • 표준화 필요성 • 표준화된 환자의 정보를 진료현장에서 의사에게 제공 • 진단 및 처방 시 의사결정을 지원 • 표준화된 정보의 활용에 따른 정보처리 및 관리비용 절감 • 환자들이 자신의 표준화 된 의료정보를 열람 시 내용 쉽게 이해 • 표준화된 평생건강기록에 의한 개인의 건강관리, 공중보건관리, 정책분석 등 가능 • 전자적인 의료정보시스템의 구축과 정보의 공유를 위한 의료정보망을 형성, 원활한 상호 운영성을 유지 • 산업경쟁력 확보의 중요한 수단
의료정보 표준화의 필요성과 정의 • 표준화 정의 • 표준화 조직에서 표준을 합의하고 제정하여 활용,조직적인 행위 • 기존에 존재하던 수를 줄여 간단하게 한 것을 통일화 및 단순화의 원리 • 표준화 분류 • 산업형 표준 • 집단 또는 기업에서 편의상 표준안을 개발 상호동의 하세 사용하는 표준 • 사실상의 표준 ( 시장형 표준 ) • 시장의 경쟁에서 우위를 파지함으로써 표준이 되는경우 • 정부주도형 표준 ( 정부주도형 표준 ) • 정부기관에서 개발보급 하거나 법률로 제정, 준수하도록 하는 표준 • 사용자 동의형 표준 • 사용자 및 산업종사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개발되는 표준
의료정보 표준화 기구 • 국제 표준화 기구 ( ISO/TC 215 ) • 분야별로 기술위원회 존재 • 각 기술 위원회에는 분과 위원회가 다수 존재 이사회 표준화 추진체계 TC(Technical Committee) SC(Sub Committee) WG(Working Group)
의료정보 표준화 기구 • HL7 • 병원 내 정보시스템 및 의료장비의 접속에 의하여 보건의료정보의 전자적 교환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형성된 조직 • 프로토콜의 설계 및 개발 담당하고 있는 표준개발기구 • 서로 다른 의료데이터의 획득, 처리, 조작 등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의 응용계층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개발 • 표준 • 보건의료정보시스템간 접속표준 • Arden Syntax(의사결정과 지식지원을 위한 논리적 구문 표준) • CCOW(이기종간 산재된 개인의 통합 정보보기 표준)
의료정보 표준화 기구 • MITA ( 의료 영상 및 기술연합 ) • 의료영상장비 제조자, 혁신리더, 제품 개발자 등으로 구성된 단체 • 주요목적 • 의료영상의 가치 인식 및 이해 증진 • 의료영상 기술에 대한 효율적이고 적합한 규정 획득 • 지불보상 및 기술평가정책에 대하여 정부기관과 적절한 교류 • MITA의 디지털 의료영상 통신표준인 DICOM의 범지구적인 수용촉진 • 국제시장에서 의료영상제품들의 규제적 조화를 개선
의료정보 표준 • HL7 • 정의 • 의료정보의 통신규약을 지칭하는 표준 • 의료분야에서의 전자적인 데이터의 교환을 위한 응용 프로토콜 의미 • HL7 표준 • 느슨하게 연결된 이벤트 중심의 프로토콜로서 메시지 단위로 정보를 전송 • 특정한 프로토콜이 필요 하지 않음 • 네트워크상의 하위 6계층을 지원하는 기존 네트워크 접속을 전제
의료정보 표준 • HL7 기본 원리 • 환자의 등록 정보가 발생하면 이것을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 시스템에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는 것 • HL7 구조 • 메시지 • 데이터 전송의 가장 작은 단위로 세그먼트들로 구성 • 메시지 헤더 세그먼트로 시작, 메시지 타입과 트리고 이벤트로 메시지 구별 • 세그먼트 • 정해진 순서가 있는 필드들의 논리적 집합 • 필수 세그먼트와 선택적 세그먼트로 구성 • 필드 • 메시지의 실제 내용을 표현하는 것으로 구성요소들의 집합 • 콤포넌트는 다시 서브콤포넌트로 구성
의료정보 표준 • DICOM의 생성과 관리 • DICOM 생성 • 1983년 미국의 ACR(American College of Radiology)과 NEMA(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s Associate)가 결합된이 조직은 표준을 개발 • 1985년 미국의 ACR-NEMA 300-1985라는 표준안을 RSNA 연례회의에서 발표 후 오류 수정하고 표준안 개선하여 1986년과 1988년에 개정 • 1988년에 발표한 ACR-NEMA 300-1988 즉 2.0판은 출력 장치 지원기능, 이미지 정의를 위한 계층구조의 도입, 이미지 설명을 위한 상세한 데이터 요소 추가 등이 이루어짐 • 1992년 ACR-NEMA-DICOM 즉 version3.0을발표 • DICOM 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영상장비들에서 생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의료영상정보의 전송에 관한 규약이다. • 1993년 ACR-NEMA 각 Working Group이 형성되었고 RSNA에서 처음으로 시험발표 가짐
의료정보 표준 • DICOM의 관리 • DICOM의표준위원회 절차에 따라 표준위원회 회원들은 표준의 사용자들로부터 제안된 요구들을 받아들여 개정제안서를 작성하고, 제안내용은 표준의 개정판에 포함을 위한 심사를 함 • 표준의 개정 요구는 이전 판과 효과적인 양립가능성을 갖도록 함 • DICOM의 유지보수절차는 표준의 퇴거를 포함함
의료정보 표준 • DICOM 표준의 특징 및 내용 • DICOM 표준의 특징 • DICOM 표준은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이 가능 • DICOM 표준은 오프라인 미디어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 • DICOM 표준은 기기들이 표준에 적합한 요구를 하여 자료들이 교환되는 방법을 자세하게 정의함 • DICOM 표준은 다측면(Multi-Part) 문서로 구조화 됨 • DICOM 표준은 형식화 한 정보객체를 이미지, 그래픽, waveform, 리포터, 프린팅 등에 도입함 • DICOM표준은 어떠한 정보 객체도 유일하게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는 기법을 가짐
의료정보 표준 • DICOM 내용 • DICOM 표준 3.0 • 설계 단계에서부터 객체지향 설계방식을 도입하였으며 영상장비를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게 되어 필요한 헤드 정보와 이미지 정보를 결합하여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 • 장비간의 네트워크 연결은 일반 컴퓨터를 연결 할때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TCP/IP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채택하고 OSI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7단계의 구성을 모델로 사용함
의료정보 표준 • DICOMVersion 3.0 • 실제 방사선 업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환자, 영상 정보 및 판독결과들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 모델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방사선과 업무흐름을 고려하여 설계 됨 • DICOM 3.0 내에서 개체-관계모형이라고 하는 데이터 구조의 기본이 됨 • 사용자가 연동을 원하는 두 데이터 요소와 요건들이 어떻게 서로 작용하고 연관되어 있는지 명확히 보여줌 • 일반 병원 전산 시스템들은 각기 다른 업체로부터 제공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네트워크, 데이터 베이스 및 주 컴퓨터를 사용 • 전체 시스템의 운영효율을 높이고 중복된 정보의 저장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스템 간의 연동이 반드시 필요하며 의료영상에 관련된 표준인 DICOM을 사용함
의학 용어 및 코드의 표준 • ICD • 의무 기록 분야에서는 1978년 WHO에서 개발한 ICPM과 ICD-9 CM이 의료기관별로 선택하여 사용 • 의료 보험 분야에서는의료보험 요양 급여 기준 및 진료수가 기준집의 분류체계를 사용하고 있음 • 의료 행위 분류 체계와 달리 질병 분류는 의루기록 분야와 의료보험 분야 모두 ICD-10을 우리 말로 번역한한국표준질병 및 사인분류를 사용하며 완벽성 여부를 떠나 표준화되고 통일된 분류체계를 통한 통계 산출이 가능 • 수술 및 처치 분류는 표준화되고 통일된 분류 체계를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를 산출하는 데 있어 많은 혼란을 빚음
의학 용어 및 코드의 표준 • SNOMED • 보건 의료분야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기록들을 컴퓨터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름과 설명들의 코드화된 목록 • 컴퓨터로 처리하는 의료기록에서 환자에 관한 정보를 색인, 기록, 검색하는 데 목적을 둠 • SNOMED의 구조적 특성 • 조직화, 다축 체계이며, 통계적 • 여러 가지 코드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질병 코드로 나타낼 수 있음
의학 용어 및 코드의 표준 • SNOMED II의 7개 축 • T(Topography) : 모든조직, 기곤, 해부학적 위치와 구조등 인체의 일부 및 부위를 설명한 것 • M(Morphology) : 암의 종류와 같이 세포의 변형, 생성 등 몸의 해부학적인 어떤 변형을 설명한 것 • E(Etiology) : 몸을 치료할 수 있는 화학 제품이나 약품을 포함하여 질병이나 외상의 원인이나 원인이 되는 매개체를 설명한 것 • F(Function) : 인간의 정신이나 몸의 정상 및 비정상적인 기능을 설명한 것 • D(Disease/Diagnosis) : 일반적이고 복합적인 질병의 용어 및 중후군을 ICD-9-CM과 비교할 수 있도록 코드화 한것 • P(Procedures) : 질병이나 외상을 치료하기 위한 행정, 예방, 진단, 치료 활동을 설명한 것 • J(Occupations) : ILO에서 직업을 분류한 것으로 건강한 직업과 한경의 효과를 연결할 수 있도록 코드화 한것
의학 용어 및 코드의 표준 • SNOMED International에서 추가된 5개의 축 • L(Living organisms) : 포유동물의 바이러스나 고등 식물의 균류와 같이 인간의 질병의 원인이 되는 살아있는 생물의 모든 유형을 설명한 것 • C(Chemicals) :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 원소나 화합물, 산업 화학 제품, 살충제, 식물이나 동물의 추출물, 독소 등을 설명한 것 • A(Physical agents and activities) : 질병이나 외상을 일으키는 물리적인 요인, 활동 및 인공 보철물, 인공 장기, 병원 장비, 기구 등을 설명한 것 • S(Social context) : 환자의 종교, 가족 사항, 경제적 조건등을 사회적인 상황을 코드화한 것 • G(General linkage modifiers) : 서로 다른 module에서 나타나는 상세한 요소들과 연관되는 용어를 나타내는 것을 코드화
우리나라 의료정보 표준화 동향 • 표준화 추진 조직 및 현황 • 보건 의료 정보 표준은 주로 보건 복지부 주관으로 개발 • 대한의료정보학회가 보건의료정보 표준화 위원회를 구성하여 ISO/TC 215에 기술 자문과 표준개발 엄무를 수행 • 기술표준원에서 WTO 및 ISO의 표준 개발 및 적용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 • HL7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HL7 한국지부를 협약에 의해 설치하여 조직을 운영하고 우리나라 HL7 관련 표준의 배포 및 교육 등을 담당 • 최근 HER의 개발 및 국가의료정보 하부구조 형성과 관련하여 보건의료정보 표준위원회를 구성하여 세부분야별로 실무위원회를 구성하여 표준화를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