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7

배합설계

배합설계. 배합설계의 원칙 배합설계의 순서. 배합설계의 개요.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콘크리트를 얻기 위한 작업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멘트 · 물 · 골재 · 혼화제 · 재 및 적절한 공기량 등의 적절한 배합비를 결정 콘크리트 요구성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압축강도 , 내구성 및 시공성을 좌우하는 컨시스턴시 ( 슬럼프 ) 소요의 강도를 얻을 수 있을 것 (W/C) 적당한 워커빌리티를 가질 것 ( 단위시멘트량 , 잔골재율 ) 소정의 슬럼프 ( 단위수량 ) 내구성을 지닐 것

sutton
Download Presentation

배합설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배합설계 배합설계의 원칙 배합설계의 순서

  2. 배합설계의 개요 •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콘크리트를 얻기 위한 작업 •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멘트·물·골재·혼화제·재 및 적절한 공기량 등의 적절한 배합비를 결정 • 콘크리트 요구성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압축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을 좌우하는 컨시스턴시(슬럼프) • 소요의 강도를 얻을 수 있을 것(W/C) • 적당한 워커빌리티를 가질 것(단위시멘트량, 잔골재율) • 소정의 슬럼프(단위수량) • 내구성을 지닐 것 • 기상작용, 화학적작용, 침식작용에 충분히 저항 • 소정의 공기량(3~5%) • 각 재료의 용적의 합이 1M3 가 됨 • 경제적일 것 정의 요구성능 1/35

  3. 콘크리트의 배합 • 물시멘트비, 단위수량 • 최소의 단위수량- 타설 가능 한 가장 된 반죽질기 • 단위수량증가 • 반죽질기 증가 타설 용이 • 재료분리 현저 • 철근의 부착성능 저하 • 비경제적(소요강도 및 내구성을 얻기 위해 단위시멘트량 증가) • 가능한 최대치수의 굵은 골재 사용 • 단위수량 감소 단위시멘트량 감소  품질개선 • 절대용적배합 • 재료가 공극이 전혀 없는 상태로 가정하여 계산한 절대용적으로 배합표시 • 중량배합 • C:S:G를 중량비율로 하거나 콘크리트 1m3에 소요되는 재료를 중량으로 표시한 배합 • 가장적합 • 골재는 절건 중량 요구성능 결정요소 배합의 표시 2/35

  4. 배합순서 3/35

  5. 배합순서 • 아래 두 식을 만족하도록 적용 • F ≥ Fc + 1.73σ + T • F ≥ 0.8(Fc + T) + 3σ • F:콘크리트 배합강도 • Fc(설계기준강도) = 3 x 장기허용응력도 = 1.5 x 단기허용응력도 • T:기온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 보정치 • σ:사용하는 콘크리트 강도의 표준편차 • 보통 150, 180, 210, 240, 270 사용 배합강도 결정 4/35

  6. 배합순서 • 슬럼프 •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나타내는 지표 슬럼프의 표준값(콘크리트시방기준) 슬럼프 결정 5/35

  7. 배합순서 • 물시멘트비(w/c) • 콘크리트를 비빌 때 붓는 물의 양과 사용하는 시멘트 중량의 비율 • 물시멘트비가 작을수록 콘크리트 강도는 커지고 내구성이 좋아짐 • 물시멘트비 최대값 공사시방으로 결정 •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의 경우 65% • 물시멘트비 최소값 • 40%가 최소값임 (수화반응시 시멘트와 결합하는 결합수 25%, 수화물 표면에 흡착하고 있는 겔수 15%) • 단위수량 • 콘크리트 1 m3에 들어가는 물의 중량 • 작업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능한 적게 • 단위수량은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골재의 입도와 입형, 혼화재료의 종류, 콘크리트의 공기량 등에 따라 다름 • 단위수량이 많아지면 슬럼프값이 증가하나 강도가 저하되며 건조수축이 켜져서 내구성과 수밀성 저하, 블리딩 및 타설 후 침하 물시멘트비 결정 •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 물시멘트비 공식 • W/C = 61 / (f28/K + 0.34) 단위수량 결정 6/35

  8. 배합순서 • 단위시멘트량 • 콘크리트 1 m3에 들어가는 시멘트의 중량 • 원칙적으로 단위수량과 물시멘트비로부터 결정 • 단위시멘트량(kg/m³) = 단위수량(kg/m³) / 물시멘트비(%) × 100 • 단위시멘트량이 많아지면 강도와 수밀성이 커져 내구성이 증대되나 수화열이 증가되므로 큰 부재에서는 시멘트량을 줄이는 것이 좋음 • 잔골재율(S/a) • 콘크리트속의 골재의 절대용적에서 잔골재의 절대용적이 차지하는 비율 • 잔골재율(%)=잔골재의 절대용적/골재의 절대용적 × 100 • 잔골재율 증가 • 점성이 증가하여 슬럼프값이 적어짐 • 필요한 워커빌리티를 얻기 위해 단위수량 증가,강도감소 • 그럴 경우 단위시멘트량도 증가하게 되어 비경제적인 배합 • 따라서 잔골재율은 필요한 콘크리트의 품질을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소가 되도록 결정 단위시멘트량 결정 잔골재율 결정 7/35

  9. 배합순서 • 공기량 • 굳지않은 콘크리트 속에 포함된 공기용적의 콘크리트 용적에 대한 백분율 • 일반적으로 4%이상 6%이내를 많이 적용함 • 굵은골재 최대치수 •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클수록 소요품질의 콘크리트를 얻기 위한 단위수량 및 시멘트량이 일반적으로 감소되어 경제적 • 굵은 골재가 너무 크면 콘크리트 비비기와 다지기가 곤란, 재료분리가 되기 쉬우며, 철근과 철근사이 및 철근과 거푸집의 사이를 자유로이 통과하기 어려움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부재 최소치수의 1/5, 철근피복 및 철근의 최소 순간격의 3/4을 초과해서는 안됨 공기량 결정 굵은골재 최대치수 결정 8/35

  10. 배합설계 예제 • F ≥ Fc + 1.73σ + T 240+43+20=303kgf/cm2 • F ≥ 0.8(Fc + T) + 3σ 0.8(240+15)+75=279kgf/cm2 ∴ F = 303kgf/cm2 • W/C = 61/((F/K)+0.34)=61/((303/370)+0.34) = 53% • 단위수량 (W) = 193 * 0.88(AE사용시 12%절감) = 170kg/m3 절대용적 = 170ℓ/m3 • 단위시멘트량(C) = 170kg/m3*(100/53) = 321kg/m3 절대용적 = 321/3.15=102ℓ/m3 • 단위굵은골재량(G) = (0.58+0.003)*1,650kg/m3 = 962kg/m3 절대용적 = 962/2.60 = 370ℓ/m3 • 단위공기량 = 1000*(4/100)=40 • 단위잔골재량(S) : 1000=(Vw+Vc+Vg+Vs+Va), Vs=318ℓ/m3 S = 절건비중*Vs=2.52*318=801kg/m3 • 잔골재율(S/A)=(Vs/(Vs+Vg))*100=46.2% • AE감수제 사용량 = (0.3/100)*C=0.96kg/m3 계획배합표 • 설계기준강도 : 240kgf/cm2 • 소요슬럼프 : 18cm • 공기량 : 4% • 28일동안 평균기온 : 17도 • 강도표준편차 σ : 25kgf/cm2 • 보통포틀랜드시멘트 • 강도 370kgf/cm2, 비중 3.15 • AE감수제:단위시멘트량 0.3% • 굵은골재단위용적중량 • 1,650kg/m3 • 잔골재 및 굵은골재최대치수 • 5mm, 20mm • 절건비중 : 2.52, 2.60 9/35

  11. 배합설계 예제 • 보정 후 굵은골재량 = 370*2.60*(1+(0.85/100))=970kg/m3 • 보정 후 잔골재량 = 318*2.52*(1+(1.18/100))=810.5kg/m3 • 보정 후 수량 = 170+ 370*2.60 *((1.42-0.85)/100)+ 318*2.52 *((2.21-1.18)/100) = 187.7kg/m3 현장배합표 (골재함수상태에 따른 보정) 10/35

  12. 굳지 않은 콘크리트 워커빌리티 및 반죽질기 재료의 분리 진동효과 응결 블리딩 및 초기용적변화 온도상승

  13.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 조건 • 운반, 부어넣기, 다짐 및 표면마감의 각 단계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 • 시공시 그 전후에 재료분리가 적을 것 • 거푸집 타설 후 균열, 블리딩 등 유해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 • 주요용어 11/35

  14. 굳지않은 콘크리트 성질 • 운반, 타설, 다짐 및 표면마감의 각 시공단계에 있어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것 • 시공시, 시공전후에 있어서 재료분리가 적을 것 • 거푸집에 타설 후 균열 등이 발생하지 않을 것 워커빌리티 시공연도(Workability) 반죽질기(Consistency) 운반에서 타설까지 작업성 및 재료분리 없이 시공가능한 연도를 갖는 것 Workability Consistency 일반적으로 단위수량에 의해 콘크리트의 유동성 정도를 표시한 것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 성형성(Plasticity) 충진성 마감성(Finishability) 거푸집에 쉽게 다져 넣을 수 있고 거푸집을 제거해도 재료가 허물어지거나 분리되지 않는 성질 균등질 마무리 하기 쉬운 정도 Plasticity 점성 Finishability 유동성 마감작업량이 적을 것 12/35

  15. 시공연도의 측정방법 • 슬럼프 시험 • 태핑(tapping) –다짐봉으로 콘크리트 측면을 살며시 두드려 무너지는 형상을 관찰 • 무너지지 않고 떡과 같이 변하는 것이 좋다. • 진동식 컨시스턴시 시험(포장용 콘크리트) 측정방법 13/35

  16. 슬럼프 시험(Slump Test) 14/35

  17. 반죽질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 • 단위수량이 크면 • 슬럼프치 상승, 반죽질기 상승 • 단위수량 1.2% 증가  슬럼프 1㎝ • 재료분리가 생기기 쉽고 워커빌리티가 저하 • 단위시멘트량이 증가하면 • Plasticity가 증가 • 부배합의 경우가 빈배합의 경우보다 시공연도가 좋다. • 분말도가 높을 수록 • 점성의 증가  반죽질기 감소 • 풍화가 진행될수록 • 워커빌리티를 현저하게 약화 단위 수량 단위시멘트량 시멘트의 성질 15/35

  18. 반죽질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 • 깬자갈이나 깬모래 • 워커빌리티 저하  잔골재율 높게, 단위수량 크게 • 적당한 입도 혼합될수록 좋다. • 공기량 1% 증가 • 슬럼프 2㎝ 증가 • 잔골재율 0.5%-1.0% 정도 줄임. 따라서, 동일 슬럼프의 콘크리트 제조에 단위수량 3% 정도 감소 • 감수제, 고성능 감수제 사용 • 단위수량 10-20% 감소(동일 슬럼프치에서) • 포졸란, 플라이애쉬 사용 : 시공연도 증가 • 플라이애쉬 • 구상의 분말  워커빌러티 개선 • 불충분 혹은 과도시 • 시공연도 불량 골재의 입도 및 입형 공기량 혼화재 비빔시간 16/35

  19. 반죽질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 온도 • 온도가 높을수록 반죽질기 저하 • 온도 10℃ 상승  슬럼프 2㎝ 정도 감소 17/35

  20.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 균질하게 비벼진 콘크리트는 어느 부분의 콘크리트를 채취해도 그 구성요인인 시멘트, 물, 잔·굵은 골재의 구성비율은 동일 • 이 균질성이 소실되는 현상을 재료분리 • 본질적으로 비중의 차이에 의해 발생 • 운반 및 타설중에 생기는 굵은 골재의 분리 • 타설 후 콘크리트 입자의 침하에 따라 물이 상승하는 블리딩 현상 재료분리 18/35

  21. 굵은 골재의 분리의 영향요소 • 단위수량이 크고 슬럼프가 클 경우 분리 용이 • 물시멘트 비 ↑  점성 ↓  분리 ↑ • 비중이 클수록 분리 현저 • 편평하고 세장한 골재가 분리 용이 • AE제나 양질의 포졸란은 콘크리트의 점성 증가  분리 감소 • 운반이나 다짐시 심한 진동을 가했을 때 분리 증가 • 압송관이 막혀 파손 발생 • 곰보(Honey comb) 발생 단위수량 골재의 종류 혼화제 및 시공 골재분리 영향 19/35

  22.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곰보발생 20/35

  23.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곰보발생 21/35

  24. 콘크리트의 재료분리-블리딩 • 시멘트 페이스트와 물의 분리 • 굳지 않은 콘크리트나 모르터에 있어서 비중이 가벼운 물과 미세한 물질이 떠오르는 현상 • 철근에 의한 콘크리트 침하(settlement) 구속  철근 배근을 따라 직상부에 격자형 균열 발생 (침하균열) • 골재에 의해 물의 상승이 억제 됨으로써 그 하부에 물이 침체하여 부착강도 및 수밀성 저하 • 콘크리트 침하 현상으로 부터 수평 철근의 상단에 균열이 생기는 일이 발생하는데 이때 콘크리트가 경화하기 전 재 다짐을 함으로써 예방 가능 • 블리딩에 의해 시멘트 중의 유리석회, 석고의 일부가 물에 녹아서 수면 위로 부유하고 수분이 증발한 후 콘크리트 표면에 남는 고형분 • 시공이음시에는 레이턴스를 제거 블리딩(Bleeding) 레이턴스(Laitance) 22/35

  25. 콘크리트의 재료분리-블리딩 • 단위수량 • 물시멘트비가 클 경우 • 단위잔골재량 • 최대치수가 클수록 감소, 골재의 치수가 적을 때 증대 • AE제 및 감수제를 사용시 블리딩량, 침하량 감소 • 치어붓기 높이가 높을수록 침하량이 커짐 • 높이가 높을수록 • 철근 하부의 공극 형성  부착력 저하 • 물시멘트비 변화에 따른 물성변화 • 레이턴스로 신, 구 콘크리트 접촉물량 • 균열발생(Bleeding Channel)으로 구조적 결함 형성 및 내구성 약화 블리딩 원인 블리딩 결과 23/35

  26. 콘크리트의 재료분리-블리딩 24/35

  27. 블리딩에 영향을 주는 요인 • 블리딩의 감소 •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 반응 증가 • 응결시간이 빠를수록 재료 • 블리딩의 증가 • 쇄석 사용  단위수량 증가 • 블리딩의 증가 •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 • 1회의 타설높이를 낮게 • 두드림, 진동이 과할 경우 시공 25/35

  28. 워커빌러티 영향 요인 •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 일수록 점성이 클수록 컨시스턴시도 적어진다. • 분말도가 작은 시멘트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점성이 낮아져 컨시스턴시가 크게 되고 재료분리가 발생하여 워커빌러티가 나빠짐 • 시멘트의 풍화정도와 이상응결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 단위시멘트량이 많을수록 플라스티시티가 증가하므로 일반적으로 부배합의 경우 빈배합보다 워커빌러티가 좋다. • 단위수량이 많을수록 컨시스턴시는 증가 • 지나치게 많으면 재료분리가 발생하고 워커빌러티 오히려 저하 • 골재중에 세립분이 많으면 점성이 높아져 컨시스턴시가 적어지고 • 자갈이 편평하고 긴 모양일수록 골재분리가 생기기 쉽고 워커빌러티가 저하 • 부순자갈/모래를 사용할 경우 강자갈에 비해 잔골재율 및 단위수량을 증가시킴 시멘트 종류 단위시멘트량 사용수량 골재의 입도 및 형상 26/35

  29. 워커빌러티 영향 요인 • AE제 또는 AE감수제를 사용함으로써 미세한 공기에 의한 볼베어링 작용으로 워커빌러티 향상 • 공기량 1% 증가⇒슬럼프값 2cm 증가 • 또는 슬럼프 일정할 경우 단위수량 3% 저감 • 특히 감수제는 컨시스턴시를 증대시킬수 있으며 약 8~15%정도 단위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 플라이애시 또는 실리카 흄 등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볼베어링작용을 하기도 함 • 비빔시간이 너무 길면 시멘트 수화작용을 촉진하여 워커빌러티가 저하 • 너무 짧으면 콘크리트가 균질하지 못해 워커빌러티가 저하 • 동일 배합조건에서 비빔온도가 높을수록 컨시스턴시 저하 공기량 혼화재료 비빔시간 온도 27/35

  30. 진동효과 • 크고 불균일한 공기포가 추출 • 공극의 감소 • 단위용적중량, 강도, 내구성, 수밀성 등이 증대 • 고체입자의 맞물림이 떨어짐 • 액상화하여 유동성이 증가 • 충진상태가 밀실하게 되어 경화 후 각종 성질이 향상 • 재료분리 발생 • AE콘크리트는 공기량 감소 • 삽입간격은 60-75㎝ (유효반경 30-50㎝) • 한 개소의 진동시간은 15-20초 진동효과 진동시간의 과다 진동기의 사용 28/35

  31. 초기 용적 변화 • 수분과 이분의 증발에 따른 수축  블리딩 • 타설 후 2.5시간까지 • 수화반응에 의한 초기 건조수축 • 타설 후 2.5시간에서 8-9시간 까지의 급격한 수축 • 초기수축은 시멘트의 경화수축과 수분발산에 의한 수축으로 구분 •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축에 의해 발생  콘크리트는 골재의 영향으로 수축이 줄어듬 • 시멘트 입자에 의해 도입된 물의 체적보다 시멘트 입자의 팽창량이나 석출물의 체적증가분이 작기 때문 • 온도가 높을수록 초기수축이 크다. 초기용적변화 29/35

  32. 초기용적변화 • 20℃의 경우 약 2.5시간 정도까지 계속 • 어느 정도 응결하여 침강을 방해할 때까지 초기용적변화시간 • 침하량이 증가하는 경우 • 단위수량이 많을 때 30/35

  33. 블리딩과 용적변화 단위수량과 침하 31/35

  34. 콜드조인트 • 콜드조인트 • 콘크리트 타설 중 이어치기 허용시간간격이 지난 후 이어치기를 하여 약간 굳은 상태(응결이 진행된 상태)로 된 이후에 연이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서로 일체화되지 않아 발생하는 시공불량 조인트 • 누수의 원인이 되고, 강도상 취약한 부분 • 대책 • 초결시간(관입저항침 저하치 3.5MPa이하)보다 상당히 빠른 시기에 콘크리트 타설 • 콘크리트 이어치기 허용시간간격 • 25℃ 초과: 2.0시간 • 25℃ 이하: 2.5시간 이내 • 이어치기 허용시간간격이란 콘크리트 비비기 시작부터 하층 콘크리트 타설을 완료한 후 정치시간을 포함하여 상층 콘크리트가 타설되기까지의 시간 • 충분한 공정계획과 응결지연제의 사용을 사전 검토 정의 방지대책 32/35

  35. 온도상승 • 수화반응은 발열을 수반하는 반응 • 온도 상승  온도균열 야기 • 온도강하시의 수축이 구속되는 인장응력 • 단면 내의 온도차에 의한 인장응력이 주원인 • 매스콘크리트의 경우 고려 • 부재의 단면치수 및 형상 • 시멘트의 종류 • 혼화재료 • 단위시멘트량 • 기온, 타설시의 콘크리트 온도 부재의 온도상승 온도상승의 영향요소 33/35

  36. 온도상승 부재의 온도상승 • 형상 치수의 영향 • 보통시멘트 • 단위시멘트량 320㎏/㎥ • 타설온도 20℃ 34/35

  37. 온도상승 부재의 온도상승 • 타설온도의 영향 • 보통시멘트 • 단위시멘트량 300㎏/㎥ • 벽체두께 1.2 35/35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