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9

미디어 개론

미디어 개론. Contents. 뉴미디어 - 뉴미디어의 개요 - 뉴미디어의 종류 및 특성 방송계 미디어 - 방송계 미디어의 구성 - 방송계 미디어의 종류 및 특성. Media. - medium(=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도달하는 수단 ) 의 복수형 - 어떤 작용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 - ‘ 대중 매체’ , ‘ 매개체 ( 媒介體 )’, ‘ 매체 ( 媒體 )’ - 활자 미디어 , 전파 미디어 , 정보통신 미디어

sukey
Download Presentation

미디어 개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미디어 개론

  2. Contents • 뉴미디어 - 뉴미디어의 개요 - 뉴미디어의 종류 및 특성 • 방송계 미디어 - 방송계 미디어의 구성 - 방송계 미디어의 종류 및 특성

  3. Media - medium(= 메시지가수용자에게 도달하는 수단)의 복수형 - 어떤 작용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 - ‘대중 매체’, ‘매개체(媒介體)’, ‘매체(媒體)’ - 활자 미디어, 전파 미디어, 정보통신 미디어 - 출판, 신문, 잡지, 음반, 라디오, 영화, 텔레비전, 광고, PR(Public Relation), 기타뉴미디어

  4. Old Media 일상생활에서 정보전달수단이나 기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회적 기능이 정착되어 있는 미디어 • 전화 • 전신(電信) • 텔렉스(telex) • 팩시밀리(facsimile, FAX) • TV방송 • 데이터통신 • 무선휴대전화

  5. New Media • 신문, 잡지, 라디오, TV 등 기존 미디어에 대하여 1970년대부터의 일렉트로닉스(electronics)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여러 가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매체 • 음성·문자의 다중방송, 위성으로부터의 직접방송, 대화형(對話型) 방송매체, view data 또는 비디오텍스(videotex), 비디오디스크, 가정용 팩시밀리 장치 등 • New media is a term meant to encompass the emergence of digital, computerized, or network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 Most technologies described as "new media" are digital, often having characteristics of being manipulable, networkable, dense, compressible, and impartial.

  6. 뉴미디어의 분류 ▶ LAN : Local Area Network, 구내 정보 통신망 ▶VAN : Value Added Network, 부가가치 통신망 ▶VRS : Video Response System, 화상(비디오) 응답 시스템 ▶ 다중방송: 多重放送, multiplex broadcasting. ▶DBS : Direct Broadcast(ing) Satellite, 직접 방송 위성

  7. 뉴미디어의 특징 • 디지털화 • 미디어의 종합화 (예) VAN/LAN 등을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으로 통합 • 정보의 양과 채널수의 증가 • 쌍방향성 • 탈대중화 • 비동시성(asynchronism) • 영상화 • 속보성

  8. 디지털 방송 데이터 방송 인터넷 방송 CATV CCTV HDTV 위성 방송 VOD 텔레텍스트 비디오 텍스 텔레라이팅 화상응답 시스템(VRS) 팩시밀리 방송 다원방송 정지화방송 음성 다중 방송 FM 스테레오 방송 FM 다중 방송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방송계 미디어의 구성

  9. 뉴미디어의 종류

  10. Digital Broadcasting • Digital television (DTV) is the sending and receiving of moving images and sound by discrete (digital) signals, in contrast to the analog signals used by analog TV. Introduced in the late 1990s, this technology appealed to the television broadcasting business and consumer electronics industries because it offers new financial opportunities. • Digital television is more flexible and efficient than analog television. When properly used by broadcasters, digital television can allow higher-quality images, sound, and more programming choices than analog does. However, a digital signal does not necessarily carry a higher-quality image or sound than an analog signal.

  11. 디지털 방송의 특성 • 압축(compression)  압축률을 크게 하면 화질이나 음질이 열화됨 • Gradual Degradation(완만한 열화) 기술이 필요  수신 전파가 일정값 이하가 되면 급격히 수신 상태가 열화된다(‘clip effect’라 한다). • 디지털 방송에는 송신과 수신간의 압축 등의 알고리즘(algorithm)을 완전히 결정하여둘 필요가 있다.

  12.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 직교 위상 편이 변조 MSK(minimum shift keying) : 최소 편이 방식 DAP(document application profile) : 문서 적용 프로파일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의 비교

  13. 디지털 방송 방식의 종류

  14. Data Broadcasting - 방송망을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 관련 정보, 기상 정보, 뉴스, 교통 등의 생활정보는 물론 인터넷, 전자상거래 제공 - 인터랙티브(Interactive) 방송, 양방향 TV, 대화형 TV, 디지털 데이터 방송 - 시청자들이 직·간접으로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하고 다양한 형태의 수신 장치 또는 셋톱 박스(set-top box) 등 단말기를 통해 제작자와 의사소통이 가능 - 음성과 영상 방송이 아닌 부호나 데이터의 형태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송 - TV를 시청하면서 뉴스 및 일기예보 검색, 프로그램 안내, 온라인 퀴즈, TV 쇼핑, 인터넷 홈페이지 열람 등 각종 데이터 검색이 가능한 데이터 방송 기술 - 방송 전파에 디지털 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면 수신 장치나 부호 및 데이터를 자동으로 해석, 처리해 그 결과를 수신자가 직접 받아보거나 또는 그 정보에 의해 다른 기계장치 등을 제어하는 특성을 가진 뉴미디어로서 새로운 분야의 방송 - 데이터 방송은 방송망을 이용하고, 프로그램과 함께 정보를 보내준다는 점에서 인터넷 방송이나 인터넷 TV와 다름

  15. 데이터 방송 - 인터넷 방송 - 인터넷 TV 비교

  16. 인터넷 방송의 정의 - 인터넷으로 하는 방송 - 방송이란 전파를 이용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주기적으로 프로그램을 보내는 것이다. ▶지상파 방송 : broadcast ▶ CATV : narrowcast ▶인터넷 서비스: pointcast, 즉 인터넷은 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므로 엄격히 말하면 방송이 아니다. - 미국의 경우 internet broadcasting, web casting이란 용어 사용

  17. 인터넷 방송의 종류 - Data Cast, Word Cast : 문서 정보를 위주로 하며, 현재 많이 제공되지 않음 - Audio Cast: 가장 많이 이용되는 분야 - Video Cast / ANIMACAST: 비디오, 만화 등 제공 (참고) ▶ 인트라넷(Intranet) : 인터넷 기술과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업무를 통합하는 정보시스템. : 인터넷의 언어 및 프로토콜이 기업이나 조직 내의 네트워크에서 그대로 사용되는 환경을 의미 ▶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Protocol) :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Internet Protocol Suite

  18. 인터넷 방송 기술 • 멀티미디어 • 하이퍼텍스트(hypertext) / 하이퍼미디어(hypermedia) • on Demand- VOD : Video on Demand(비디오 제공) - MOD : Movie on Demand(영화 제공) - EOD : Education on Demand(원격 교육) • 푸시(push) • 스트리밍(streaming) 기술 • 인터넷상의 정보 전달 기술 - 유니캐스트(unicast) - 브로드캐스트(broadcast) - 멀티캐스트(multicast) • 엠본(Mbone, virtual Multicast on the internet) : 인터넷 멀티캐스트 백본 • 인터캐스트(intercast) : 인터넷 정보 방송(IIB), 인터넷 데이터 방송

  19. CATV • CATV: Cable Television.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 방송센터와 가입자 사이를 동축 케이블이나 광 케이블로 연결하여 프로그램,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서비스 • 방송의 전파특성(무선)으로 인한 빌딩이나 산으로부터 수신 장애를 받는 지역에 고감도 안테나로 수신한 양질의 TV 신호를 제공하여 주며, 혼선이 거의 없다. • 광전송 방식이 널리 상용화되었고, 각 국가별로 종합정보통신망과 연계하여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다. • CATV 서비스는 영상신호의 전송뿐만 아니라 음향이나 팩시밀리 등 비영상 신호도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쌍방향 전송기능을 부가하면 방송국으로 데이터, 음성, 영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 참조: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www.kcta.or.kr)

  20. CATV 시스템의 기본 구성

  21. CATV의 특징 • 시청자의 요구 수준에 맞는(지역특성) 다양하고 짜임새 있는 프로그램 제작가능 •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채널 확대가 가능 • 공간 전파에서 발생되는 고스트(Ghost) 현상이나 공간파 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혼신 등이 없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 •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므로 수신측에서 가입자 프로그램의 선택이 가능하고, 송신측에서도 시청자의 반응을 알 수 있다. • 디지털 기술에 의한 방송적인 서비스 외에 각종 생활정보서비스(원격검침, 방범·방재, 홈쇼핑, 홈뱅킹 등)가 이루어져 일상생활을 고도로 정보화시킨다.

  22. CATV의 제공 가능 서비스 종류 -단방향 : TV 재송신 : TV 자체 방송 : 음악방송(FM) 서비스 - 양방향 : 프로그램 서비스(영화 / 비디오 / 게임 / 음악)    : 비디오텍스 서비스(정보검색, 전자신문, Data 통신, TV 전화)    : 재택 시스템(학습, 여론조사, 홈뱅킹, 홈쇼핑)    : Security(방범, 방재)    : 전문채널 서비스(HDTV, MTV, 문자다중)    : 기타(자동검침, 건강검진)

  23. 유선 및 무선 CATV 비교

  24. 읽어보기:길종섭 회장 “케이블TV 15년 맞아 국민편익 제공에 최선“

  25. CCTV •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 특정 상호자간을 연결한 TV에 의한 통신시스템 • 호텔, 병원, 학교 등 특정 대상을 위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스템 • 공장, 은행, 백화점, 댐 등 현장 감시용 혹은 가스등 폭발성 위험물질 내 기기의 동작 상황 등을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에 주로 적용

  26. CCTV와 CATV의 비교

  27. CCTV의 구성 • 카메라 등에 의한 촬영장치 • 동축케이블 혹은 광케이블의 전송장치 • CRT, LCD 등 모니터의 표시장치 • 비디오 테이프 등 보존용도의 기록장치

  28. HDTV - High Definition TV - 영화관 스크린처럼 화면이 크며(16:9) 선명하고, 음질이 CD급 - 화면 주사선이 1,125개로 현행 TV보다 2배 이상 많다. - 우리나라, 2002년 월드컵 HDTV로 중계방송 - KBS의 경우 1997년 핵심 기술인 CODEC를 개발하였으며, 1998년 9월 2일 ‘KBS 10대 기획’의 하나인 위성 HDTV 실험 방송을 국내 최초, 세계 3번째로 성공

  29. HDTV 특성 - 고화질, 대화면 - 영상 대역폭 증대: 기존의 4~5배 정보량 증대 가능 - 디지털 신호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기술이 집중적으로 사용된다.

  30. HDTV와 기존 TV의 특성 비교

  31. 위성방송 • 적도 상공 약 36,000km 높이의 원궤도에서 지구의 자전 속도와 같은 주기, 같은 방향으로 위성을 회전시키면 지상에서는 언제나 한곳에 위성이 정지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정지위성). • 직접 위성 방송(DBS : Direct Broadcast Satellite) : 정지위성에서 방송용 송신기로 지상에 있는 각 수신자에게 전파를 직접 보내는 방송 • 위성방송은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과는 달리 지형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넓은 지역을 동시에 커버하는 특성으로 현재 지상파 방송이 지닌 난시청의 완전해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기상의 영향으로 인한 장애와 지역 로컬 방송의 불가능이란 약점을 가지고 있다. • 최초의 위성방송은 일본에서 1984년에 개시하였으며 유럽은 1989년 영국에서 방송을 실시하였으며, 우리나라의 위성산업은 1989년 체신부에서 종합계획이 확정되어 1995년 4월 무궁화호 위성을 발사하고, 1996년 7월 1일 KBS가 최초로 2개 채널의 방송을 실시하였다.

  32. 위성방송의 특성 • 광역성: 지상 중계가 어려운 산간, 낙도 등 전국에 동일한 방송서비스가 실시간에 가능 • 경제성: 1개 위성으로 전국을 커버하므로 지상 중계국의 건설보다 경제적 • 고품질성: 산악, 빌딩에 의한 난시청이 해소되고, 반사파에 의한 고스트(ghost)가 없어지는 고품질의 방송서비스 제공 • 대용량성: 넓은 주파수 대역을 갖기 때문에 여러 채널 혹은 방송 이외 다른 목적으로까지 활용 가능 • 내재해성: 위성이 우주에 있으므로 천재지변의 영향이 없음

  33. 디지털 DSB 방식의 장점 - 다채널화: TV 영상, 음성 등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압축할 수 있고, 디지털 변조 방식을 이용하므로 능률적인 전송이 가능하여 아날로그방식에서는 불가능한 수십 ~ 수백 채널로 분리할 수 있는 다채널 방송이 실현될 수 있다. - 고품질화: 부호이론에 의한 정보 오류정정이 가능하여 깨끗한 화질을 실현할 수 있으며, 고화질 TV(HD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다. - 고기능화: 다양한 정보형태에 의한 멀티미디어형 방송이 가능해지므로 방송과 컴퓨터와의 융합 서비스, 방송과 통신의 융합 서비스 등 다양한 고기능 서비스가 가능하다.

  34. 위성방송 유형과 전송 방식

  35. 위성방송

  36. 주문형 비디오(VOD) • 방송과 통신 융합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는 VOD(Video On Demand)는 가입자가 원하는 비디오 정보를 통신망 내에 있는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가정에서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 VOD는 1992년 미국에서 VDT(Video Dial Tone)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VDT는 넓은 의미에서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라 할 수 있는데, CATV망이 가장 보편화된 미국에서 VDT의 일환으로 VOD 상업을 추진함에 따라 영화, 비디오 상영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받는 서비스가 되었다.

  37. 텔레텍스트(teletext, 문자 다중 방송) • Telex(가입전신) + Text(워드프로세서)로서 Telex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여기서 문서 편집기인 원드프로세서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정보 제공자가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으며, 정보 분배자, 즉 방송국이 필요한 정보를 수집, 가공한 후 컴퓨터에 보관하였다가 같은 내용을 방송하게 된다. • TV 전파를 이용하여 통상의 TV 방송과 함께 문자, 도형 형태의 정보 제공과 수신자가 원하는 정보를 수시로 화면에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방송 시스템 + 데이터 뱅크 + TV 수상기) • 우리의 경우 KBS와 MBC가 문자 방송을 시작하였으나, MBC는 문자 방송의 효율성이 저조한 이유로 1993년부터 문자방송을 중단하였으며 그 효용성은 미지수이다. 특 징 : 단방향 통신 : 뉴스나 일기 예보, 여행안내, 주식 시세 등 각종 생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송 시스템 : 방송 TV 신호의 대역폭 중에서 할당되지 않는 부분을 이용

  38. 비디오 텍스(videotex) • 비디오 텍스: TV와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는 것 • 글자와 그림 등으로 구성된 영상정보가 들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종 정보검색은 물론 예약과 홈쇼핑, 홈뱅킹 등 다양한 서비스를 대화형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쌍방향성 화상정보 시스템이다.

  39. 비디오텍스와 텔레텍스트의 비교

  40. 텔레라이팅(telewriting) • 텔레라이팅:전화회선을 이용하여 음성과 함께 손으로 쓴 문자 및 도형의 그래픽정보를 동시에 전송하는 미디어 • 일반 전화는 음성만을 전달해 주고, 팩시밀리는 그래픽(문자포함)정보만을 전송해 줄 수 있는 데 비하여, 텔레라이팅은 이 두 가지 모두를 서비스해 주는 장점을 갖고 있다.

  41. 텔레라이팅과 팩시밀리 비교

  42. 화상응답 시스템(VRS) • Video Response System • 센터에 각종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파일을 설치해 놓고 수신자의 각 단말기에서 개인별로 정보를 불러내는 서비스로 회화형 정보통신 시스템이다. • VRS의 적용분야는 의료정보, 부동산 정보, 관광안내, 호텔 내 영상정보, 교육정보, 기업 내 정보, 영상도서관 정보 등에 활용된다.

  43. 팩시밀리 방송 • 팩시밀리(facsimile) 방송은 현재 전화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일반 팩시밀리와는 달리, TV 방송 전파에 팩시밀리 신호를 다중화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는 TV 화면 혹은 프린터에 의한 지면으로 받는 방식이다. • 일반 팩시밀리는 공중통신망(전화망)을 통하여 개인 대 개인의 개인통신인 반면, 팩시밀리 방송은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이 가능하여 앞으로는 팩시밀리 방송에 의한 신문이 곧 탄생될 것이다.

  44. 다원방송(多元放送) • 두 지점 이상을 연결하여 그것을 중앙국이나 키(key)국에서 하나로 묶어서 방송하는 시스템 방식으로 위성 발달로 가능해졌다. • 하나의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여러 지역에서 중계를 행하는 방송이다. 서울 스테이션과 부산국, 광주국 등 3개 지역 이상 방송국에서 각기 시청자를 염두에 두면서 방송 라인을 통해 방송 토론을 하는 경우는 다원 방송 혹은 3원 방송이라고 한다. 2개 지역에서 행해질 경우는 2원 방송이 된다. 가령, 총선거 개표실황 생중계의 경우, 전국 투표소와 방송망을 연결하는 경우 (해설) 네트워크(Network) -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방송국들이 동일 시각에 같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방영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방송국을 키국(key station), 수신하는 방송국을 가맹국이라고 한다. - 미국: ABC, CBS, NBC - VTR이나 녹음 테이프를 송부함으로써 행해지는 동시 방송은 네트워크라 하지 않는다. - KBS 네트워크, MBC 네트워크

  45. 정지화 방송 • 정지 화상 1화면만을 전송, 수신측에서 메모리에 축적한 후 연속적으로 읽어 TV 수상기 등에 화상을 표시하는 통신 방식 • 사진, 도형, 문자 등의 정지화면과 음성을 혼성한 방송으로 컬러 정지화 프로를 통상의 TV 전파로 송신하는 방송 •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 구성이 정지 화상(사진, 일러스트레이션 등)에 잘 맞는다는 특징을 이용한 것으로 화상 전송은 1화면을 1회로 하여 프로그램 전송 효율을 획기적으로 올린 방송 방식이다. • 정사진, 도형, 문자 등과 같은 정지화상과 음성으로 구성된 컬러 정지화 프로그램을 각각 일반 TV의 전파로 보내는 시스템으로 동시에 50종류 안팎의 프로그램을 각각 그 프로그램의 음성과 함께 방송하는 것으로, 이 방법은 종래의 TV 시설에 대표적인 변경을 가하지 않고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방송할 수 있고, 수신측에서는 어댑터의 조정으로 정지 화상과 음성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46. 음성다중방송 • 외국 영화 및 뉴스 등의 프로그램을 자기 말과 외국어로 동시 방송하는 시스템 • 종래의 TV 음성에 또 하나의 음성을 부가하여 방송하는 것으로 스테레오 방송이나 2개 국어 방송이 된다. • TV 신호의 빈틈을 이용하여 혼신 방지용으로 남겨둔 전파의 간격이 필요 없게 되어 그 간격을 이용해서 각종 정보를 보내는 것

  47. 음성 다중 방송의 종류 • FM-FM 방식 • Two-carrier 방식 (참고) GCR(ghost canceller reference) - 잔상 제거 방식 - TV 다중 방송의 일환으로 TV 방송 수신에 가장 큰 장애를 일으키는 다중상을 제거하여 맑고 깨끗한 화면을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방식

  48. FM-FM 방식 기존 음성 신호가 15kHz로서 주채널이 구성되며 이에 새로운 15kHz 채널을 부가한 것을 부채널이라고 부르는데 이 부채널 음성 신호를 FM 변조하여 주음성 채널에 다중화시키는 방식으로 일본이 대표적이다. 주채널에 MONO와 스테레오의 L+R, 부채널 신호에 L-R과 2개 국어와 파일럿 신호로 구성 되어 있다. 2개 국어의 분리를 잘되게 하기 위해 신호의 주파수 편이를 15kHz로, 스테레오의 경우는 20kHz로 하고 있으며, 부반송파를 60% AM변조한 파일럿 신호는 변조 주파수로 스테레오 일 때 982.5Hz, 2개 국어일 때 922.5Hz를 사용하고 있다. (장점) - 기존 수상기의 영상에 방해가 거의 없고 음성의 방해도 변조 조건을 주의하면 충분히 적게 할 수 있다. - 부음성의 음질이 비교적 좋다. - 다중 디코드는 회로가 비교적 간단하여 수상기에 부착하기 간단하다. (단점) - 2개의 음성 사이에 상호 방해(cross over)가 일어나기 쉽다.

  49. Two-carrier 방식 각각을 다른 반송파로 음성 채널을 구성하는 방식 변조 주파수는 스테레오일 때 149.85Hz, 2개 국어일 때 276.05Hz를 사용하고 모노일때는 무변조로 되어 있다. FM-FM 방식보다 스테레오일 때 좌우 분리도가 우수하다. (장점) - 부음성 신호의 주파수 특성 일그러짐은 주음성 신호와 동등한 음질이 되어 좋다. - 제 2음성의 반송파 수신은 인터캐리어 수신기에서는 제 1음성 방송파와 동등한 수신 회로를 사용할 수 있어 회로가 간단하다. (단점) - 영상에 방해를 준다. - 제 1음성에 방해, 상측 인접 채널에 방해

  50. FM 스테레오 방송 구 성 - 주채널 신호(주반송파) - 부채널 신호(부반송파) - 파일럿 신호(부반송파) S=(L+R)+(L-R)cosωt+(L+R)cos(ω/2)t 파일럿 신호(pilot signal) FM 스테레오 방송에서 좌·우 음의 신호 차이를 실어 보내는 부반송파를 재현시키기 위하여 동기용으로 보내는 신호.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