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likes | 472 Views
친 환경 구 조 연구실 소식지. 발행인 : 조병완. 편집인 : 박승국. 친 구. Date : Aug 2002 No. 1. < 발행에 앞서 … >. 저 희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친환경구조연구실이 그동안의 작은 노력의 보람으로 국가지정연구실 (National Research Lab) 에 선정되는 큰 경사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
E N D
친환경구조 연구실 소식지 발행인: 조병완 편집인: 박승국 친 구 Date : Aug 2002 No. 1 <발행에 앞서…> 저희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친환경구조연구실이 그동안의 작은 노력의 보람으로 국가지정연구실(National Research Lab) 에 선정되는 큰 경사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국가지정연구실은 국가경쟁력의 요체가 될 핵심기술분야의 국내·외 선도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사업으로 저희 연구실에서는 전세계적으로 크게 문제가 되고있는 산업, 생활,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과 모래, 자갈 , 시멘트 같은 부족한 건설자원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폐기물 재활용 건설 신소재 개발 및 구조적 성능개선 연구」과제를 앞으로 5년 동안 국가지원으로 열심히 성실하게 수행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각종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경제적인 건설신소재를 개발하는 첨단기술로서 국내외 각종환경규제 속에 녹색환경을 보호하고, 깨끗한 건설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국내·외 미래 건설 환경 산업을 주도적으로 선도 할 수 있는 미래형 청정소재 개발기술의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으로 믿어 의 심치 않는 바 입니다 이 자리를 빌어 국가지정연구실 선정에 많은 도움을 주신 많은 선배님분들과 그동안 어려운 환경에서도 아무 말없이 노력해준 연구실 대학원생들에게도 마음 깊은 감사를 전하고 앞으로도 더욱 열심히 공부하는 연구실이 될 것을 약속하면서 인사에 대신합니다. 감사합니다.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친환경구조연구실 교수 조 병 완 1
국가지정연구실 연구과제 연구 Theme 산업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경제적인 건설 신소재를 개발하는 첨단 기술은 국내외 각종 환경 규제 속에 녹색 환경을 보호하고, 개끗한 건설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국내◦외 미래 건설환경 산업을 주도적으로 선도할 수 있는 미래형 청정 소재 개발 기술이다. 연구 배경 <건설:자원고갈> • 국내건설 시장 2001년 약 60조, 세계건설시장 약 4100조원(미 ENR 2000) • 신도시와 사회기반시설의 지속적인 건설로 인해 모래, 자갈과 같은 천연자원 고갈 • 쇄석 골재 생산을 위한 석산 개발로 환경파괴 심각성 • 기존의 콘크리트와 시켐트를 대체할 수 있는 건설소재의 부재 <환경;파괴 및 오염심각> • 무기페기물(석탄회, 폐콘트리트, 폐유리 등), 페합성수지(폐PET, 폐비닐 등)의 환경오염 심각성 • 2001년 부터 폐기물의 매립 및 해양 투기 금지(1993년 런던 협약, 국내폐기물 관리법) • 다이옥신, 환경호르몬 생물의 멸종 지구 온난화, 엘리료 현상 연구 개요 • 석탕회와 같은 무기 폐기물과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한 새로운 건설소재 개발 • 폐기물 종류에 따른 고형화 기술 비교 분서, 경제적인 고형화 기술개발 • 폐기물 재활용 건설소재의 재료적, 역학적, 파괴특성 규명 • 새로운 건설소재의 응력-변형률 규성모델, 시간의존성 건조수축, 강도발현, mechanism 규명 • 폐기물 재활용 새로운 건설소재의 해석 및 설계기수 정립 연구기대효과 • 페기물 대량처리 환경오염 예방 • 시멘트, 골재 자원대체, 환경보호 • 폐기물 재활용 건설소재, 제품 기술수출 • 자원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대한 국민의식 함양 천연 건설자원의 고갈 친환경 고성능◦저비용 재활용 건설소재의 생산 폐기물 재활용 친환경 건설소재 개발 및 구조적 성능 개선 연구 • 재료적 특성 실험 • 역학적 특성 모형화 • 파괴특성평가 • 친환경 건설제품의 해석 및 • 설계기술 개발 폐기물 재활용 건설소재의 개발 필요성 국제수준의 논문발표 - 국제적 선도 핵심기술 환경오염◦파괴의 심각성 - 폐기물 대량처리 시급 환경보호 및 경제적효과 - 폐기물 대량처리 2 친환경구조연구실 소식
업 계 소 식 ► 크라이캘리 코리아는 폐PET병을 재활용하여 재생시킨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생산하 는 업체로서 폐합성수지를 건설부분에서 대량 재활용 되도록 하 수 있게 하였다 향후 CRAY VALLEY의 생산기술과 제품기술을 접목하여 국내시장은 물론 아시아 시장을 주시장으로 하 여 생산능력 5000Ton/년 규모로 증설, 국내 최대 생산규모와 최고의 기술력을 갖춘 회사로 성장할 예정이다. (http://www.cvk.co.kr) ► 산업자원부의 연구개발 사업으로는 산업발전법에 따라 추진하는 ‘산업기반기술개발사업’이 대표적이l다. 그동안 산업계가 요구하는 기술의 개발 지원에 중심을 맞췄던 이 사업은 최근 미래유망 원천기술의 확보로 방향을전환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최근 산자부는 산 업기술 R&D 지원정책 방향으로 ‘유망 신기술의 선진국과 동시개발’‘정부-민간 파트너쉽을 통한 전략기획’‘제품화를 지향하되 원천/기반기술 중심’을 내세우며, 산업기반기술개발사업 궤도의 전면수정에 나섰다. 이는 기존의 ‘선진기술의 확보’‘산업계 수요중심 기획’‘제품화 응 용기술 중심’ 전략에 비교할 때, 획기적인 변화로 분석된다. 이에 발맞춰 산자부는 부품·소재 개발계획 등 장기·대형 사업을 기획 발표하는 등 구체적인 사업을 추진중이다. (http://www.sciencenews.co.kr) ► 환경을 실천하는 기업(주)방태가 세계적인 건설 폐기물 제작업체인 오스트리아 SBM사의 최신 첨단 기계설비를 도입하여 건설 폐기물 재활용 사업을 시작하였다. 첫째, 폐콘크리트의 불법적인 투기해소와 폐기물 감소로 자연 훼손 및 생태계 파괴를 막아서 얻어지는 최고의 환경보존 효과를 들 수 있다. 둘째, 저렴한 재활용 골재를 제공하고 재개발 사업을 추진시켜 건설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셋째,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하여 막대한 재활용가치를 창출하여 자원절약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http://www.bteny.co.kr) 재활용 골재 생산 건설폐기물 수집 운반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3 친환경구조연구실 소식
연 구 실 소 식 ● 국가지정 연구실(NRL) 선정 ► 국가 과학기술혁신역량을 배양하고 핵심산업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해 기술개발촉진법 등에 근거하여 정부가 대규모 연구비를 직접 투입하여 추진하는 국가전략적연구 개발사업의 일 환인 국가지정연구실NRL(National Research Laboratory)에 7월 1일 부로 선정되었다. 국가 지정연구실 사업은 국가경쟁력의 요체가 될 핵심기술분야의 우수연구실을 발굴·육성하여 여 러 산업과 제품의 공통적 기반이 되는 핵심기술을 효과적으로 유지·발전시키고, 국내 산·학· 연의 과학기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99년부터 과학 기술부에서 지원해 오 고 있는 국가 전략적인 연구개발 사업이다. • ► 본 연구에서는 "폐합성수지와 석탄회를 재활용한 친환경 건설 신소재 개발 및 비선형 해석· • 설계기법 연구"라는 주제하에 국·내외 각종 환경 규제 속에 녹색 환경을 보호하는 동시에 대 • 체 건설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미래 건설 환경 산업을 주도적으로 선도하는 미래형 • 청정 소재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해석 및 설계기법 연구로써, 재활용 친환경 건설소재의 재 • 료적·역학적 특성 및 파괴역학 특성을 규명하고,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해석모델의 개발 및 • 검증을 하는데 있다. • ● 조병완 교수 활동 ► 7월 11일 2002 세계한민족과학기술자 공동협의회총회 (The World Congress of Korean and Korean Ethnic Scientists and Engineer 2002)에서 논문 Integrated System Develop ment for Asphalt Pavement Maintenance System을 발표하고,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 ● 입학 및 졸업 현황 ► 2002년 1학기에 석사과정 안제상과 신동훈이 졸업. 현재 안제상군은 대우건설 광양현장에 서 그리고 신동운군은 한양대학교 건설연구소에 근무. ► 2002년 후기 특별전형에서 박사과정 김창현과 석사과정에 권혁미 입학. 4 친환경구조연구실 소식
폐기물 재활용 연구 건설제의 연구 개발<업계, 관계, 학계> 관계자 친목 모임 친◦구가입 초청 • 각종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경제적인 건설신소재, 재품을 개발하는 첨단 기술은, 국내 외 각종 환경규제 속에 녹색 환경을 보호하고, 깨끗한 건설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국내·외 미래 건설 환경 산업을 주도적으로 선도 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서, 이 분야에 관심 있는 업계, 관계, 학계(학생포함) 관련자 들이 모여 On, Off 상에서 폐기물 재활 • 용에 대한 기술정보와 좋은 의견을 나누며 서로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 저희 연구, 친목 모임에 가입을 원하시는 분은 다음 사항을 E-mail 또는 Fax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연락처 E-mail: joycon@hanmail.net • Fax : 02-2292-0323 • ☏ : 02-2290-0327 생년월일: 성명: 주요제품(업무) 내용: 직장명(직위): 연락처 E-mail: C ◦ P :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토막상식 ● 액정화면과 Water은 원수지간 LCD 화면이라고도 하는 액정화면은 끝이 봉해진 두 장의 유리판사이에 액체 수정을 넣어 놓은 화면 장치이다. 작동원리는 지극히 간단하다. 유리판 안쪽에 있는 투명한 전극판에 전압을 걸어주면 두 유리판 사이에 있는 액정이 분자 운동을 일으키는데 이 러한 다양한 분자 운동의 변화로 유리판 사이를 통과하는 빛의 양이 변함으로 우리가 필요한 화면을 표시하는 방식이다. 자 이제는 물과 원수로 살아가야만 하는 액정화면 의 원죄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노트북 화면에 먼지가 묻었다고 휴지에 물을 묻혀 빡빡 닦으면 불을 보듯 뻔하다. 화면이 더러워지면 PC용 스크린 크리너로 닦아야 한다. 누군 할 일없이 PC용 크리너를 만들었겠는가!! 5 친환경구조연구실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