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0

최근 겨울이 추운 이유 : 지구온난화의 비선형성

최근 겨울이 추운 이유 : 지구온난화의 비선형성. 국종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llaborators : 장연수 , 정지훈 , 김백민. 10 여년 전의 기후변화 상식 !!. 온실기체 증가에 따른 한반도 온도 변화. : 겨울철 , 봄철에 상승 경향 이 뚜렷함 . : 여름철 강수 증가 경향은 있으나 , 온도 상승은 약함. 2007.12.26. 2007.11.29. 2007.11.27. 최근의 한반도 기후 !. 2012 년 12 월 월평균 기온 , 73 년 이후 역대 두번째 !!.

stu
Download Presentation

최근 겨울이 추운 이유 : 지구온난화의 비선형성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최근 겨울이 추운 이유:지구온난화의 비선형성 국종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llaborators : 장연수, 정지훈, 김백민

  2. 10여년 전의 기후변화 상식!! • 온실기체 증가에 따른 한반도 온도 변화 : 겨울철, 봄철에 상승 경향이 뚜렷함. : 여름철 강수 증가 경향은 있으나, 온도 상승은 약함. 2007.12.26 2007.11.29 2007.11.27

  3. 최근의 한반도 기후! 2012년 12월 월평균 기온, 73년 이후 역대 두번째!! 2012.12.28 2013.01.04 2012.02.02 2011.12.22 2012.09 2012.09 2011.09.16 2010.09.10

  4. 지구온난화 해빙 감소, 해수 밀도 감소 해양 순환 역전 북반구 빙하기, 기상이변

  5. Recent Winters Surface Air Temperature Anomalies 2011/12 DJF 2010/11 DJF 2009/10 DJF WP El Nino year Strong La Nina year Weak La Nina year

  6. 북극 진동이 원인 ? 2012년 기준

  7. 북극 진동이란 ? Thomson and Wallace (1998,GRL) Positive Phase Negative Phase

  8. 북극 진동 패턴 AO일때 온도 (negative AO) Positive AO일때 SLP 패턴

  9. Recent Winters 2011/12 DJF 2010/11 DJF 2009/10 DJF

  10. Relation bet. ART index and Extra-tropical TS COR (ARTI, TS) 1979-2011, DJF 1999-2011, DJF ART Index: Area-averaged Surface temperature over Arctic Ocean (north of 70N)

  11. Teleconnection associated with ART Thickness (300-850) 300 GPH SLP

  12. Role of Ural Blocking

  13. 북극 온난화의 영향 가을철 해빙 감소 겨울철 북극해 온도 증가 우랄 고기압 (블락킹) 강화 시베리아 고기압 강화 동아시아 기압골 강화 동아시아 온도 하강 성층권 온도 상승 음의 북극 진동

  14. 북극진동 vs ART • Is ART independent of AO?

  15. ART vs AO Correlation between AO index and ART index For 1979-2010: COR=0.11 For December: COR=0.19 For January : COR=0.17 For February : COR=0.01

  16. Linear Regression: AO vs ART Surface Air Temperature

  17. Correlation: AO vs ART COR (AOI, SAT) 북극진동 COR (ARTI, SAT)

  18. What control ART warming? • Atmospheric Transport • Sea Ice • Cloud Feedback

  19. Arctic Sea ice Melting 1988-1997 1998-2010 : Arctic (0-360E, 70-90N) : East Arctic (30-150E, 70-80N)

  20. 10 월 북극해 해빙 양과 겨울철 ART의상관관계 Sea-Ice Concentration Precursor of ART

  21. 10월 해빙과 중위도 겨울철 기온 관련성 Correlation between October Barents Sea ice and winter TS Dec Jan Feb 1979~2011 1998~2011

  22. 북극해 해빙 영향: 역학과정 Correlation between October Arctic Sea ice and January Circulation

  23. Trend in recent decade

  24. 최근 겨울철 온도 경향 지면 온도 1998/99-2011/12

  25. 최근 겨울철 온도 및 대기순환 경향 Trend ART 관련 패턴

  26. 최근 한반도 겨울철 온도 경향

  27. Multi-Model Analyses

  28. Multi-Model Framework/CMIP5 Corr. Surface Temperature & ARTI cmip5

  29. Dynamical Processes of Arctic Influence Surface Temperature SLP 300hPa GPH OBS CMIP5 (39models)

  30. Thank You!!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