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likes | 521 Views
우리나라 청각장애교육의 역사. 우리나라 청각장애교육의 역사. 개화기 이전 (19 세기 이전 )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 (1900~1945) 광복이후 (1945~1970) 1970 년 이후. 개화기 이전 (19 세기 이전 ). 고려시대 : 장애인들 복업 조선시대 : 세종 27 년 서운관 맹인 10 명 선발.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 1882 년 한미수호통상조약 선교사 파견 : 의료사업 , 교육사업 , 자선사업 1894 년 : 평양에서 오복녀 ( 맹소녀 교육 ) 로제타 셔우드 홀
E N D
우리나라 청각장애교육의 역사 • 개화기 이전(19세기 이전) •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1900~1945) • 광복이후(1945~1970) • 1970년 이후
개화기 이전(19세기 이전) • 고려시대: 장애인들 복업 • 조선시대: 세종 27년 서운관 맹인 10명 선발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 • 1882년 한미수호통상조약 • 선교사 파견: 의료사업, 교육사업, 자선사업 • 1894년: 평양에서 오복녀(맹소녀 교육) • 로제타 셔우드 홀 • 1909년 Hall여사-이익민을 중국에 보내 농교육 • 우리나라 최초 농교육 • 평양맹아학교 • 조선총독부 산하 제생원 • 초등 5년 과정 • 1920년 한국청각장애아협회 발족
일제 강점기 • 1935년 이창호 목사 • 평양 광명맹아학교 설립 • 광복이후(1945~1970) • 제생원 맹아부-국립맹아학교로 변경 • 1949년 교육법 • 특수학교 설립과 특수학급 설치 규정 • 초등 6년, 중학 3년, 고등 3년 과정의 체제가 일반화 • 1952년 국립맹아학교가 서울맹아학교 • 1955년 국립맹아학교가 부산피난-부산맹아학교
광복 이후 • 광복 직후 • 제생원의 맹아부-국립맹아학교 • 1947년 국립맹아학교가 문교부로 직제 개편 • 같은 해 9월 중등과 신설: 한국 특수교육 최초 중등과정 • 1949년 특수학교 설립과 특수학급 설치 초6, 중3, 고3 체제 • 최초 사립특수학교 : 대구 맹아학교(1946년 이영식목사) • 1956년 한국사회사업대학 설립 • 1961년 특수교사 양성을 위한 특수교육과가 최초 설치 • 1950년대와 60년대 청각장애교육은 민간독지가의 주도
광복 후 • 1955년 천주교 재단의 충남 성심농아학교, 인천 성동원을 기반으로 한 인천 농아학교 • 1960년 군산 농아학교, 전남농아학교, 전북농아학교 • 1962년 한국구화학교, 충남농아학교(대전원명학교 전신), 수원 농아학교 • 1965년 부산혜성학교 • 1966년 부산구화학교, 안동농아학교 • 1960년대 9개의 사립 청각장애학교 설립 • 1969년 경남혜림학교가 설립
1970년대 이후 • 1975년 천주교 재단에 의한 서울애화학교, 공립인 춘천계성학교, 전주 선화학교 설립 • 1979년 목포소림학교 • 1980년 울산 메아리 학교 • 1983년 삼성농학교 • 1985년 평택 에바다농학교, 함평영화학교, 구미 금오학교 • 1983년 경북 영광학교 • 1988년 포항 명도학교 • 2007년 현재 전국 144개 특수학교, 특수학교 5753개